경원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
Theoteryi (토론 | 기여)
Reverted to revision 2991248 by 123.212.77.90. (TW)
1번째 줄: 1번째 줄:
{{합병|수도권 전철 중앙선}}
{{합병|수도권 전철 중앙선}}
<!--주의: 이 글은 현존하는 전철 노선을 설명하는 게 아니라, 예전에 있었던 노선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현재의 수도권 전철 정보에 맞추어 수정하지 마십시오.-->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
|노선명 =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
27번째 줄: 28번째 줄:
|영업최고속도 =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은 [[2005년]] [[12월 15일]]까지 운영되었던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처럼 운행되었으며, 폐지 당시의 운영 기관은 [[한국철도공사]], 시설 담당 기관은 [[한국철도시설공단]]이었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대체되었다.
}}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은 [[2005년]] [[12월 15일]]까지 운영되었던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처럼 운행되었으며, 폐지 당시의 운영 기관은 [[한국철도공사]], 시설 담당 기관은 [[한국철도시설공단]]이었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대체되었다.


== 역 정보 ==
== 역 정보 ==
아래의 표는 이 [[운행 계통]]이 폐지된 당시의 정보이다(현재의 역 정보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 참조).
아래의 표는 이 [[운행 계통]]이 폐지될 당시의 정보이다(현재의 역 정보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 참조).


표는 상행이 위로, 하행이 아래로 가게 하였다<ref>[[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체는 성북·창동 방면이 상행이지만, [[경원선]]만 놓고 보았을 때는 반대로 용산 방면이 상행이 된다</ref>.
표는 상행이 위로, 하행이 아래로 가게 하였다<ref>[[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체는 성북·창동 방면이 상행이지만, [[경원선]]만 놓고 보았을 때는 반대로 용산 방면이 상행이 된다</ref>.
51번째 줄: 50번째 줄:
|Yongsan
|Yongsan
|龍山
|龍山
|[[경부선]]<br /><small>[[호남선]]·[[전라선]]·[[장항선]]</small>
|[[경부선]]<br />(<small>[[호남선]]·[[전라선]]·[[장항선]] 일반열차</small>)
|align="right"|-
|align="right"|-
|0.0
|0.0
102번째 줄: 101번째 줄:
|Wangsimni
|Wangsimni
|往十里
|往十里
|{{수도권 지하철|2}}<br />{{수도권 지하철|5}}
|{{수도권 지하철|2}}<BR />{{수도권 지하철|5}}
|align="right"|1.4
|align="right"|1.4
|align="right"|10.3
|align="right"|10.3
|-
|-
!K125
!K125
|[[청량리역 (지상)|청량리]]<br /><small>(지상)<small>
|[[청량리역 (지상)|청량리]](지상)
|Cheongnyangni
|Cheongnyangni
|淸凉里
|淸凉里
|[[중앙선]]<br />[[경춘선]]
|[[중앙선]]<br />[[경춘선]]<br />(<small>[[무궁화호]]</small>)
|align="right"|2.4
|align="right"|2.4
|align="right"|12.7
|align="right"|12.7
146번째 줄: 145번째 줄:
|align="right"|1.4
|align="right"|1.4
|align="right"|17.1
|align="right"|17.1
|rowspan="2"|[[서울 노원구|노원구]]
|rowspan="3"|[[서울 노원구|노원구]]
|-
|-
!120
!120
155번째 줄: 154번째 줄:
|align="right"|1.1
|align="right"|1.1
|align="right"|18.2
|align="right"|18.2
|-
!119
|[[월계역|월계]]<br /><small>(인덕대학)</small>
|Wolgye
|月溪
|
|align="right"|1.1
|align="right"|19.3
|-
!118
|[[녹천역|녹천]]
|Nokcheon
|鹿川
|
|align="right"|1.4
|align="right"|20.7
|rowspan="2"|[[서울 도봉구|도봉구]]
|-
!117
|[[창동역|창동]]
|Chang-dong
|倉洞
|{{수도권 지하철|4-UNDER}}
|align="right"|1.0
|align="right"|21.7
|}
|}



2009년 4월 12일 (일) 15:45 판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 병합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
성북행 전동차. 현재는 덕소·팔당·국수행으로 대체되었다.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운행 계통
체계수도권 전철
상태폐지
기점용산역 (경원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성북역 (경원선)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유 노선경원선
폐지일2005년 12월 15일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C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2005년 12월 15일까지 운영되었던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처럼 운행되었으며, 폐지 당시의 운영 기관은 한국철도공사, 시설 담당 기관은 한국철도시설공단이었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대체되었다.

역 정보

아래의 표는 이 운행 계통이 폐지될 당시의 정보이다(현재의 역 정보는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중앙선 참조).

표는 상행이 위로, 하행이 아래로 가게 하였다[1].

역 번호 역명 영어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135 용산 Yongsan 龍山 경부선
(호남선·전라선·장항선 일반열차)
- 0.0 서울특별시 용산구
K131 이촌 Ichon 二村 [[]] 1.9 1.9
K130 서빙고 Seobinggo 西氷庫 1.7 3.6
K129 한남
(단국대앞)
Hannam 漢南 1.9 5.5
K128 옥수 Oksu 玉水 [[]] 1.6 7.1 성동구
K127 응봉 Eungbong 鷹峰 1.8 8.9
K126 왕십리 Wangsimni 往十里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1.4 10.3
K125 청량리(지상) Cheongnyangni 淸凉里 중앙선
경춘선
(무궁화호)
2.4 12.7 동대문구
124 회기
(경희대앞)
Hoegi
(Kyunghee Univ.)
回基
(慶熙大앞)
서울 지하철 1호선[2] 1.4 14.1
123 외대앞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外大前 0.8 14.9
122 신이문 Sinimun 新里門 0.8 15.7
121 석계 Seokgye 石溪 서울 지하철 6호선 1.4 17.1 노원구
120 성북
(광운대앞)
Seongbuk 城北 경춘선 1.1 18.2
119 월계
(인덕대학)
Wolgye 月溪 1.1 19.3
118 녹천 Nokcheon 鹿川 1.4 20.7 도봉구
117 창동 Chang-dong 倉洞 [[]] 1.0 21.7

세부적인 운행 계통은 다음과 같다.

  1. 용산→성북, 성북→용산: 일반적인 운행 계통이다.
  2. 용산→청량리(지상): 1 다음으로 많이 운행되는 계통이다. 청량리(지상·지하)-회기 구간의 평면 교차로 인한 선로 용량의 포화로 인해 청량리(지상)까지만 가는 운행 계통이다.
  3. 창동→용산: 평일과 (공휴일이 아닌) 토요일 아침에 1회만 운행하였다. 하루에 1번만 운행되었기 때문에 안내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운행차량

개통 초기 이 구간에는 4량 편성 전동차가 투입되었다. 1983년부터 1991년 7월까지는 가와사키 디젤 동차가 투입되었는데 그 이전에 비둘기호로 지선 구간을 운행하던 가와사키 동차를 고상홈에 맞게 개조하여 운행하였다. 1량으로만 운행하던 일도 있었으나 대개의 경우 평일에는 3량 편성으로, 공휴일에는 2량 편성으로 운행하였다. 그 때문에 가운데에 부수 객차를 삽입했는데, 마찬가지로 과거 비둘기호에서 사용하던 객차를 고상홈에 맞게 개조하여 연결 운행하였다. 하지만, 가속력이 전동차에 비해 떨어지고 많은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데다, 차량 내구연한이 도래하게 되어 다시 4량 편성 전동차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94년 4월에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한 이후부터는 기존의 청량리역안산역 구간, 혹은 인덕원역산본역 구간을 운행하던 전동차가 넘어오면서 6량 편성 전동차로 운행하기 시작하였고, 1996년부터 10량 편성 전동차로 운행하였다.

노선도 표시 규정(운행 계통 폐지 당시 기준)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의 노선 색은 1호선과 같은 군청색이었다. 다만 1호선 본선 계통과 구분하기 위해, 본선과 겹치지 않는 용산-회기 구간은 수도권 전철 내 여타 노선들보다 가는 선으로 처리하도록 규정되었다. 그러나 이 규정은 점차 잘 지켜지지 않았다. 실제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운행을 담당하는 5·6·7·8호선의 차내 부착 노선도는 이 규정을 무시하여 제작되었다.

2005년 12월 16일에 이 운행 계통이 중앙선으로 대체되어 1호선과 분리됨에 따라, 용산-덕소 구간은 옥색으로 칠해지게 되고 선의 굵기도 다른 노선들과 같게 되었다.

명칭 문제

이 운행 계통에 대한 명칭은 명확하지가 않았다. 단순히 경원선(실례: 용산역 내 안내판)이라고 하거나 국철이라고 되어 있었다.

그러나 두 명칭은 모두 적절한 명칭이라 할 수 없어 일부에서 반론이 있었다. ‘국철’은 ‘국유 철도’의 약어로, 대한민국 내에 있는 국철은 용산-성북(또는 용산-창동) 노선만이 아니었기 때문에 적절한 명칭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국철이라는 용어 사용을 수도권 전철 내로 제한하여 따져도 문제가 되는데, 수도권 전철 내에는 이 운행계통의 용산-회기 구간을 제외하더라도 철도청에 속한 노선이 더 있었기 때문이다. ‘경원선’의 경우는 공식적으로 용산-월정리역(2005년 12월 기준) 구간을 가리키는 철도명이기 때문에 용산-성북 계통만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쓰는 것은 부적절했다. 수도권 전철 내에서만 따질 경우에도, 경원선에는 성북 - 의정부북부 구간도 포함되기 때문에 용산-성북 운행계통만 경원선이라 부르는 것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었던 것이다.

운행 계통의 명칭 문제는 용산-덕소선으로 대체된 후 까지에도 국철, K1호선, 중앙선, 경원선 등으로 불려 문제가 있었으나, 용산-덕소선이 팔당까지 연장된 후 ‘중앙선’이라는 명칭이 확정되어 해결되었다.

주석

  1.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체는 성북·창동 방면이 상행이지만, 경원선만 놓고 보았을 때는 반대로 용산 방면이 상행이 된다
  2. 인입선로를 통해 접속하는 노선이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