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3번째 줄: 3번째 줄: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는 도시철도법에 따라 건설되어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철도를 이르며, 이는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철도]]와 의미가 구분된다. 그러나 환승이나 [[직결 운행]] 등으로 명목상으로만 구분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도시철도 구간은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만 해당하며, [[서울 지하철 7호선]] 중 [[까치울역]]에서 [[석남역]]까지는 [[2021년]] [[5월 22일]]부터 [[인천교통공사]]에서 별도로 관리한다.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는 도시철도법에 따라 건설되어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철도를 이르며, 이는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철도]]와 의미가 구분된다. 그러나 환승이나 [[직결 운행]] 등으로 명목상으로만 구분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도시철도 구간은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만 해당하며, [[서울 지하철 7호선]] 중 [[까치울역]]에서 [[석남역]]까지는 [[2021년]] [[5월 22일]]부터 [[인천교통공사]]에서 별도로 관리한다.


더욱이, 1기(일산)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의 일환으로, [[1996년]] [[1월 30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3호선]] 일부 구간인 [[일산선]]의 경우,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의 나목을 충족하지 않아 도시 철도로 분류되기 때문에, 열차 운행 및 차량의 검수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수탁 관리하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운영하는 [[동해선 광역전철]]의 경우, 엄연히 [[부산 도시철도]]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일산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의 일환으로, [[1996년]] [[1월 30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3호선]] 일부 구간인 [[일산선]]의 경우,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의 나목을 충족하지 않아 도시 철도로 분류되기 때문에, 열차 운행 및 차량의 검수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수탁 관리하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운영하는 [[동해선 광역전철]]의 경우, 엄연히 [[부산 도시철도]]의 역할을 수행한다.


== 종류 ==
== 종류 ==

2021년 12월 22일 (수) 21:14 판

도시 철도(都市 鐵道)는 도시 혹은 광역권 내부 지역 간의 교통을 담당하기 위해 건설 된 철도이다. 도시철도는 도시 내부의 교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 주목적이므로, 보통 단거리 수요가 중심된다.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는 도시철도법에 따라 건설되어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철도를 이르며, 이는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철도와 의미가 구분된다. 그러나 환승이나 직결 운행 등으로 명목상으로만 구분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도시철도 구간은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만 해당하며, 서울 지하철 7호선까치울역에서 석남역까지는 2021년 5월 22일부터 인천교통공사에서 별도로 관리한다.

더욱이, 일산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의 일환으로, 1996년 1월 30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3호선 일부 구간인 일산선의 경우,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의 나목을 충족하지 않아 도시 철도로 분류되기 때문에, 열차 운행 및 차량의 검수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수탁 관리하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운영하는 동해선 광역전철의 경우, 엄연히 부산 도시철도의 역할을 수행한다.

종류

지하철

노면 전차

경전철

모노레일

통근철도

강삭철도

신교통 시스템

유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