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epiabronze(토론)의 29938240판 편집을 되돌림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위키백과:봇_편집_요청/2021년_10월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다른 뜻}}
'''열대야'''(熱帶夜)는 본래 [[일본 기상청]] 용어로 야간의 최저 기온이 25[[섭씨|]] 이상인 밤을 뜻한다. 일본의 기상 [[수필가]] [[구라시마 아쓰시]]({{lang|ja|倉嶋厚}})가 만든 말이다. 단, 일본 기상청이 통계로 하는 것은 야간 최저기온에 의한 열대야가 아니고 하루(0~24시) 중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날이며 이에 관련해서 특별한 명칭은 없다.<ref>{{언어링크|ja}} [http://www.jma.go.jp/jma/kishou/know/yougo_hp/kion.html#G33 일본 기상청 예보 용어]</ref>
'''열대야'''(熱帶夜)는 본래 [[일본 기상청]] 용어로 야간의 최저 기온이 25[[섭씨|°C]] 이상인 밤을 뜻한다. 일본의 기상 [[수필가]] [[구라시마 아쓰시]]({{lang|ja|倉嶋厚}})가 만든 말이다. 단, 일본 기상청이 통계로 하는 것은 야간 최저기온에 의한 열대야가 아니고 하루(0~24시) 중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날이며 이에 관련해서 특별한 명칭은 없다.<ref>{{언어링크|ja}} [http://www.jma.go.jp/jma/kishou/know/yougo_hp/kion.html#G33 일본 기상청 예보 용어]</ref>


[[하이쿠]]에서는 여름의 [[계어]](季語)의 하나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근대 기상학을 전제로 하는 말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하이카이]](俳諧)와 [[메이지 시대|메이지]] 무렵 근대 초기의 하이쿠에서는 이 단어를 사용한 예가 없다.
[[하이쿠]]에서는 여름의 [[계어]](季語)의 하나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근대 기상학을 전제로 하는 말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하이카이]](俳諧)와 [[메이지 시대|메이지]] 무렵 근대 초기의 하이쿠에서는 이 단어를 사용한 예가 없다.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2009년]] [[7월 24일]]부터 밤 최저기온(오후 6시 1분 ~ 다음날 오전 9시)이 25℃ 이상인 날을 '''열대야'''로 지칭하고 있다. 종전에는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열대야를 일본기상청과 마찬가지로 일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로 정의하였었다.<ref>[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91120 기상청 보도자료 - 열대야의 기준 재정립]</ref>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2009년]] [[7월 24일]]부터 밤 최저기온(오후 6시 1분 ~ 다음날 오전 9시)이 25°C 이상인 날을 '''열대야'''로 지칭하고 있다. 종전에는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열대야를 일본기상청과 마찬가지로 일 최저기온이 25°C 이상인 날로 정의하였었다.<ref>[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91120 기상청 보도자료 - 열대야의 기준 재정립]</ref>


== 사례 ==
== 사례 ==
최근에는 [[도시 열섬]](UHI) 현상의 영향으로 특히 대도시에서 열대야 현상을 보이는 날이 크게 증가하고, 나타나는 기간 또한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하루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날수는 1940년대 이전에는 거의 없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연간 10일가량 나타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ref>[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70643 최근 한반도 열대야 발생에 관한 통계 분석]</ref>
최근에는 [[도시 열섬]](UHI) 현상의 영향으로 특히 대도시에서 열대야 현상을 보이는 날이 크게 증가하고, 나타나는 기간 또한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하루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날수는 1940년대 이전에는 거의 없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연간 10일가량 나타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ref>[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70643 최근 한반도 열대야 발생에 관한 통계 분석]</ref>


[[도쿄]]에서는 그 현상이 더욱 두드러져서, 하루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날수는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대부분이 연간 10일 이하인 반면, 1990년대 이후는 연간 30~40일에 이르는 것이 드물지 않게 되었다.<ref>{{언어링크|ja}} [http://www.data.jma.go.jp/obd/stats/etrn/view/annually_s.php?prec_no=44&prec_ch=%93%8C%8B%9E%93s&block_no=47662&block_ch=%93%8C%8B%9E&year=&month=&day=&view=a2 일본 기상청 과거 기상 데이터 검색. 도쿄 기온의 매년 수치]</ref>
[[도쿄]]에서는 그 현상이 더욱 두드러져서, 하루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날수는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대부분이 연간 10일 이하인 반면, 1990년대 이후는 연간 30~40일에 이르는 것이 드물지 않게 되었다.<ref>{{언어링크|ja}} [http://www.data.jma.go.jp/obd/stats/etrn/view/annually_s.php?prec_no=44&prec_ch=%93%8C%8B%9E%93s&block_no=47662&block_ch=%93%8C%8B%9E&year=&month=&day=&view=a2 일본 기상청 과거 기상 데이터 검색. 도쿄 기온의 매년 수치]</ref>


또한 일본 [[혼슈]] 지역에서는, 이전에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정도까지 열대야가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6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있어 그 경향이 장기화 되고 있다.
또한 일본 [[혼슈]] 지역에서는, 이전에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정도까지 열대야가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6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있어 그 경향이 장기화 되고 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 대한민국에서도 [[국립국어원]] 신어 자료집 2004년도 판에서 초열대야란 신어에 대해 "방 밖의 온도가 섭씨 25도보다 훨씬 더 높은, 아주 무더운 밤"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 대한민국에서도 [[국립국어원]] 신어 자료집 2004년도 판에서 초열대야란 신어에 대해 "방 밖의 온도가 섭씨 25도보다 훨씬 더 높은, 아주 무더운 밤"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 [[2013년]] [[8월 8일]] [[대한민국]] 기상관측 사상 처음으로 [[강릉]]의 최저기온이 30.9℃를 기록하여 이 현상이 나타났다.
* [[2013년]] [[8월 8일]] [[대한민국]] 기상관측 사상 처음으로 [[강릉]]의 최저기온이 30.9°C를 기록하여 이 현상이 나타났다.


* 2018년 7월 초부터 시작된 이른 폭염이 계속됨에 따라 7월 23일 강원도 강릉에서 일 최저기온이 31℃인 초열대야 현상이 다시 기록되었다. 또한, 기록적인 폭염이 한반도에 이어진 가운데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서, 8월 2일 일 최저기온이 30.3℃인 초열대야 현상이 한국 기상관측 사상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 2018년 7월 초부터 시작된 이른 폭염이 계속됨에 따라 7월 23일 강원도 강릉에서 일 최저기온이 31°C인 초열대야 현상이 다시 기록되었다. 또한, 기록적인 폭염이 한반도에 이어진 가운데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서, 8월 2일 일 최저기온이 30.3°C인 초열대야 현상이 한국 기상관측 사상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1년 10월 28일 (목) 20:53 판

열대야(熱帶夜)는 본래 일본 기상청 용어로 야간의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밤을 뜻한다. 일본의 기상 수필가 구라시마 아쓰시(倉嶋厚)가 만든 말이다. 단, 일본 기상청이 통계로 하는 것은 야간 최저기온에 의한 열대야가 아니고 하루(0~24시) 중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날이며 이에 관련해서 특별한 명칭은 없다.[1]

하이쿠에서는 여름의 계어(季語)의 하나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근대 기상학을 전제로 하는 말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하이카이(俳諧)와 메이지 무렵 근대 초기의 하이쿠에서는 이 단어를 사용한 예가 없다.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2009년 7월 24일부터 밤 최저기온(오후 6시 1분 ~ 다음날 오전 9시)이 25°C 이상인 날을 열대야로 지칭하고 있다. 종전에는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열대야를 일본기상청과 마찬가지로 일 최저기온이 25°C 이상인 날로 정의하였었다.[2]

사례

최근에는 도시 열섬(UHI) 현상의 영향으로 특히 대도시에서 열대야 현상을 보이는 날이 크게 증가하고, 나타나는 기간 또한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하루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날수는 1940년대 이전에는 거의 없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연간 10일가량 나타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3]

도쿄에서는 그 현상이 더욱 두드러져서, 하루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날수는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대부분이 연간 10일 이하인 반면, 1990년대 이후는 연간 30~40일에 이르는 것이 드물지 않게 되었다.[4]

또한 일본 혼슈 지역에서는, 이전에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정도까지 열대야가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6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있어 그 경향이 장기화 되고 있다.

초열대야

  • 최저 기온이 30°C 이상인 밤을 가리키는 공식적인 용어는 없지만, 열대야라는 단어를 만든 구라시마초열대야(超熱帶夜)라는 표현을 소개하여 일본 미디어 보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대한민국에서도 국립국어원 신어 자료집 2004년도 판에서 초열대야란 신어에 대해 "방 밖의 온도가 섭씨 25도보다 훨씬 더 높은, 아주 무더운 밤"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 2018년 7월 초부터 시작된 이른 폭염이 계속됨에 따라 7월 23일 강원도 강릉에서 일 최저기온이 31°C인 초열대야 현상이 다시 기록되었다. 또한, 기록적인 폭염이 한반도에 이어진 가운데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서, 8월 2일 일 최저기온이 30.3°C인 초열대야 현상이 한국 기상관측 사상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