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소닉홀딩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종류 = [[주식회사]]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35년]] [[12월 15일]]
| 창립 = [[1935년]] [[12월 15일]]
| 시장 정보 = {{tyo|6752}}<br />{{NAG|6752}}<br />{{NYSE|MC}}
| 시장 정보 = {{tyo|6752}}<br />{{NAG|6752}}<br />{{NYSE|MC}}<br />[[닛케이 225]] 구성 요소(TYO)<br />[[TOPIX]] Large70 구성 요소(TYO)
| 국가 = {{국기나라|일본}}
| 국가 = {{국기나라|일본}}
| 장소 = [[오사카부]] [[가도마시]] [[오오아자 가도마]] 1006
| 장소 = [[오사카부]] [[가도마시]] [[오오아자 가도마]] 1006

2021년 7월 26일 (월) 15:36 판

파나소닉 주식회사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형태주식회사
창립1935년 12월 15일
창립자마쓰시타 고노스케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시장 정보도쿄: 6752
나고야: 6752
NYSE: MC
닛케이 225 구성 요소(TYO)
TOPIX Large70 구성 요소(TYO)
ISINJP3866800000
산업 분야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
본사 소재지오사카부 가도마시 오오아자 가도마 1006
핵심 인물
마쓰시타 고노스케 (일본어: 松下幸之助),
츠가 가즈히로 (회장)
쿠스미 ​​유키 (대표이사 사장)
제품가전제품, 리튬 이온 배터리
매출액연결: 7조 4,900억 6,0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영업이익
연결: 2,937억 5,0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연결: 2,257억 1,0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자산총액연결: 6조 2,200억 엔
(2020년 3월 기준)
순자산연결: 6조 2,185억 1,800만 엔
(2020년 3월 기준)
종업원 수
25만 9,385명
(2021년 3월 기준)
자회사파나소닉 항공 공사
파나소닉 에코 시스템즈 주식회사
파나소닉 사이클 텍 주식회사
파나소닉 시스템 솔루션즈 재팬 주식회사
파나소닉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주식회사
파나소닉 조명 장치 주식회사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산요 파나소닉 에이지 프리
파나소닉 라이팅 시스템즈 주식회사
자본금2조 1,600억 엔
(2020년도 3월 기준)
슬로건A Better Life, A Better World
웹사이트http://www.panasonic.co.jp

파나소닉 주식회사(일본어: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anasonic Corporation)는 일본의 가전제품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기업이자 굴지의 리튬 이온 전지 제조사이다. 본사는 오사카부 가도마시. 창업자는 마쓰시타 고노스케(일본어: 松下幸之助)이다. 2008년 9월 30일까지의 기업 명칭은 마쓰시타 전기산업 주식회사(일본어: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이었다.[1]

파나소닉 오사카 본사

브랜드

마쓰시타 전기산업 주식회사는 굴지의 전자기업으로 군림할때 여러 브랜드 네임을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일본 내수제품에서는 주로 나쇼날(일본어: ナショナル 나쇼나루[*])브랜드를 사용하였다. 일부 국내향 오디오제품과 대부분의 해외 수출용 제품은 파나소닉(일본어: パナソニック 파나소닛쿠[*])을 사용하였다. 오디오 장비는 주로 테크닉스(일본어: テクニクス 테쿠니쿠스[*])를 사용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80년대 이전에는 나쇼날 브랜드가 널리 알려졌고 90년대 이후에는 파나소닉 브랜드가 더 많이 알려졌다. 이는 1999년부터 한국에서 일본제품 수입자유화 조치가 취해졌기 때문에 수출브랜드 파나소닉이 90년대 이후부터 들어오기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역사

창업자 마쓰시타 고노스케1918년전기소켓을 만드는 '오사카 전등'이라는 회사에서 독립하여 '마쓰시타 전기기구 제작소'를 창업하였다. 마쓰시타는 포탄형의 자전거 램프를 고안해 '내쇼널 램프'라고 만들어 히트를 친다. 이후 1932년에 '마쓰시타 전기산업'으로 개명되었고, 당시 마쓰시타 전공, 마쓰시타 통신공업 등 마쓰시타라는 이름이 붙은 14개의 대기업군을 가지고 있었으며 세계 40개국에 진출해서 나쇼날(National), 파나소닉(Panasonic), 테크닉스(Technics) 등의 유명 브랜드로 다양한 제품을 팔았다. 그룹의 규모가 이리 크다 보니 일본 가전제품 시장을 쥐고 흔들 수 있는 기업으로 손꼽혔다. 비디오 테입 규격을 놓고 VHS베타가 격돌할 때 다들 마쓰시타가 어떻게 나서느냐에 따라서 판정이 났었다. 마쓰시타는 1990년 미국 할리우드 영화사 MCA를 61억달러에 사들였다. 하지만 손실을 보고 1995년 캐나다 시그램에 70억달러에 팔았다.

마쓰시타 통신공업은 가전용이 아닌 산업, 업무용 전자제품의 수요가 증대할 것이라는 마쓰시타 고노스케의 예견에 따라 1958년에 설립되었다. 설립 후 자산내용, 수익 등에 있어서 줄곳 마쓰시타 그룹의 우등생으로 군림. 관서(關西) 지방에 본부를 둔 그룹의 약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도쿄도의 위성도시인 요코하마에 본사를 둔 마쓰시타 통신공업은 ‘이용자를 위한 하이테크형 효율기업’이라는 모토를 가지고 주로 통신기기, 정보기기를 생산하여 2000년 초중반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 부문에서 NEC와 치열한 시장경쟁을 펼쳤다.

쇠퇴

2008년 회사 이름을 마쓰시타에서 수출용 브랜드 파나소닉으로 바꾸었다. 2009년 거액인 6천 600억엔을 들여서 부진에 시달리던 산요전기를 인수하였으나 이 무리한 인수가 파나소닉 몰락의 주범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거기에다가 기껏 인수한 산요의 브랜드를 없애고, 리튬이온배터리 사업만 챙기고 가전부문은 중국 하이얼에 넘기면서 일본 가전시장 안방을 중국에 헌납했다는 비난까지 쏟아졌다.[2]

파나소닉은 TV 시장에서 브라운관, PDP에 투자를 잘못해서 위기에 몰렸으며, 2014년 히메지 공장으로 LCD 생산을 집중하였는데도 적자에 시달려, 끝내 2016년 TV용 액정패널 생산을 중단하였다. 2021년까지 모든 종류의 액정패널 사업을 중단할 계획을 세웠다. 2019년 11월 28일 파나소닉이 반도체 사업을 중화민국 누보톤에 넘기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90년대에 전세계 반도체회사 10위 안에 들던 파나소닉이 철수하는 것이다. 그래서 한때 세계시장을 석권하던 일본 반도체 산업의 쇠락을 여실히 상징하는 사례로 보도되었다. 이렇듯이 파나소닉은 적자를 보는 사업을 모두 정리하고 있다.[3]

파나소닉이 힘을 쏟아온 리튬 이온 전지 사업에도 경고등이 켜지기 시작하였다. 2018년 상반기 전기자동차 배터리 1위 사는 종래의 파나소닉이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 CATL이었다.[4] 또한 2014년 사업 초기부터 파나소닉으로부터 배터리를 독점 공급 받아온 미국 테슬라가 파나소닉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하여, 2019년에 직접 배터리 셀을 만드려고 하는 움직임이 감지되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테슬라는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공장에서 대한민국LG화학과도 협력하기로 하였다. 반면 파나소닉은 상하이에 진출하지 않는다.[5] 2020년 1월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에서 한국 기업들인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의 점유율 합계가 30%를 초과하여 27%의 파나소닉을 추월한 것으로 드러나, 기존 파나소닉 1강 체제가 퇴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이후에도 파나소닉의 시장 점유율은 급격한 추락을 계속하여 같은 해에 LG화학에게 추월당하였다.[7]

2020년 12월 파나소닉은 2022년 4월까지 사명을 파나소닉 홀딩스로 교체하고 일본 내수용 가전 제품 등 극히 일부의 사업만을 행하는 지주회사로 전환하기로 하였으며, 향후 사업 자회사 단위로 매각 등도 가능하다고 밝혀 103년 역사를 가진 굴지의 기업집단으로서의 파나소닉이 그 수명을 다 하였음을 알렸다.[8] 파나소닉은 얼마 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을 앞두고 50세 이상 직원들을 대대적으로 구조조정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는 평생 고용을 모토로 삼았던 창업자 마쓰시타 고노스케의 이념마저 포기하는 것을 뜻하기에 일본 여론은 크게 동요하였다.[9]

2021년 5월에는 고급 모델을 제외한 대부분의 텔레비전 생산을 중단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자기업 TCL에 브랜드 라이센싱을 통한 위탁 생산을 맡길 것임을 발표하였다. 파나소닉은 급속히 쇠락하고 있는 일본의 주요 전자 회사들 가운데 유일하게 가전제품의 국내 기획 및 양산체제를 유지하며 '종합 가전기업'이라는 정체성을 지켜오고 있던 기업으로 비춰져왔기 때문에 이 소식은 일본 사회에서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졌다.[10]

스폰서

같이 보기

각주

  1. 한자를 사용하고 있는 중화권은 예외적으로 공식사명을 마츠시타전기산업을 아직도쓰고있다.
  2. 이충원 (2012년 2월 19일). "日 파나소닉, 산요 인수로 거액손실". 2020년 4월 1일에 확인함. 
  3. “파나소닉, 반도체 사업 철수…대만 업체에 매각”. 2019년 11월 28일. 2020년 4월 1일에 확인함. 
  4. www.etnews.com (2018년 7월 3일). “中 CATL, 전기차 배터리 출하량 파나소닉 제치고 첫 세계 1위”. 2020년 4월 18일에 확인함. 
  5. Kolodny, Lora (2019년 6월 26일). “Tesla has a secret lab trying to build its own battery cells to reduce dependence on Panasonic” (영어). 2020년 4월 1일에 확인함. 
  6. “LG화학, 中 CATL 제쳤다…韓 배터리 점유율 첫 30% 돌파”. 2020년 3월 2일. 2020년 4월 18일에 확인함. 
  7. “지난해 세계 전기차 3분의 1, 한국 배터리 달고 질주…LG에너지솔루션 2위”. 2021년 2월 1일.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8. "뉴노멀 대비"…소니·파나소닉, 사명 바꾸고 지주사 전환”. 2021년 3월 7일.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9. 파이낸셜뉴스 (2021년 5월 17일). "퇴직금에 4억 더 주겠다"...파나소닉, 버블세대 구조조정”. 2021년 6월 11일에 확인함. 
  10. NEWSIS (2021년 4월 30일). "日파나소닉도 TV사업 축소…中 TCL에 생산 위탁". 2021년 5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