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고자리 베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37번째 줄: 37번째 줄:
}}
}}


'''거문고자리 베타'''(β Lyrae, β Lyr)는 [[거문고자리]] 방향에 있는 [[다중성계]]이다. [[히파르코스 (인공위성)|히파르코스 임무]] 중 얻은 [[시차 (천문학)|시차]] 수치에 따르면 베타별은 [[태양]]으로부터 약 {{Convert|960|ly|pc|abbr=off|lk=on}} 떨어져 있다.
'''거문고자리 베타'''(β Lyrae, β Lyr)는 [[거문고자리]] 방향에 있는 [[다중성계]]이다. [[히파르코스 (인공위성)|히파르코스 임무]] 중 얻은 [[시차 (천문학)|시차]] 수치에 따르면 베타별은 [[태양]]으로부터 약 960 광년 떨어져 있다.


이 별은 맨눈에 광점 하나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겉보기등급]] 14.3 이상의 항성 여섯 개로 이루어져 있다. 거문고자리 베타 A 명칭을 받은 가장 밝은 구성원은 그 자체가 다시 삼중성계로 [[식쌍성|식쌍성계]] Aa와 단독성 Ab로 구성되어 있다. 식쌍성계 Aa의 구성원 둘은 거문고자리 베타 '''Aa1'''(항성계의 전통적 명칭 '''셸리아크''' ''Sheliak'' 를 공식 명칭으로 부여받았음)과<ref name="IAU-LSN">{{웹 인용|title=Naming Stars|url=https://www.iau.org/public/themes/naming_stars/|accessdate=18 June 2018|publisher=IAU.org}}</ref> Aa2이다. 계의 나머지 구성원 다섯(거문고자리 베타 B, C, D, E, F)은 현 시점에서 모두 단독성으로 추정된다.<ref name=SIMBAD/><ref name=SIMBADB/><ref name=SIMBADC/><ref name=SIMBADD/><ref name=SIMBADE/><ref name=SIMBADF/>
이 별은 맨눈에 광점 하나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겉보기등급]] 14.3 이상의 항성 여섯 개로 이루어져 있다. 거문고자리 베타 A 명칭을 받은 가장 밝은 구성원은 그 자체가 다시 삼중성계로 [[식쌍성|식쌍성계]] Aa와 단독성 Ab로 구성되어 있다. 식쌍성계 Aa의 구성원 둘은 거문고자리 베타 '''Aa1'''(항성계의 전통적 명칭 '''셸리아크''' ''Sheliak'' 를 공식 명칭으로 부여받았음)과<ref name="IAU-LSN">{{웹 인용|title=Naming Stars|url=https://www.iau.org/public/themes/naming_stars/|accessdate=18 June 2018|publisher=IAU.org}}</ref> Aa2이다. 계의 나머지 구성원 다섯(거문고자리 베타 B, C, D, E, F)은 현 시점에서 모두 단독성으로 추정된다.<ref name=SIMBAD/><ref name=SIMBADB/><ref name=SIMBADC/><ref name=SIMBADD/><ref name=SIMBADE/><ref name=SIMBADF/>

2021년 5월 8일 (토) 10:35 판

거문고자리 베타
Diagram showing star positions and boundaries of the Grus constellation and its surroundings

거문고자리 베타의 위치(붉은 원)
명칭
다른 이름 전체: 셸리아크, 셸야크, 실리아크, WDS 18501+3322[1]
A: 10 Lyrae, AAVSO 1846+33, BD+33 3223, FK5 705, HD 174638, HIP 92420, HR 7106, SAO 67451/2
B: HD 174664, BD+33 3224, SAO 67453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거문고자리
적경(α) 18h 50m 04.79525s[2]
적위(δ) +33° 21′ 45.6100″[2]
겉보기등급(m) 3.52[3] (3.25 – 4.36[4])
절대등급(M) A: −3.82[5]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A: −19.2 km/s[6]
B: −14±5 km/s[7]
적경 고유운동 A: 1.90 mas/yr[2]
B: 4.373±0.087 mas/yr[8]
적위 고유운동 A: −3.53 mas/yr[2]
B: −0.982±0.098 mas/yr[8]
연주시차 A: 3.39 ± 0.17 mas[2]
B: 3.0065 ± 0.0542 mas[8]
성질
광도 Aa1: 26,300 L
Aa2: 6,500 L
나이 Aa2: 2300만 년
분광형 B6-8II[9][10] + B[3] + ? + B7V + ? + B2 + K3V + G5 + G5
U-B 색지수 −0.56[11]
B-V 색지수 +0.00[11]
변광성 분류 β Lyr[4]
추가 사항
질량 Aa1: 13.16 ± 0.3 M
Aa2: 2.97 ± 0.2 M
반지름 Aa1: 6.0 ± 0.2 R
Aa2: 15.2 ± 0.2 R
표면온도 Aa1: 30,000 ± 2,000 K
Aa2: 13,300 K
표면 중력 (log g) Aa1: 4.0 ± 0.1 cgs
Aa2: 2.5 ± 0.1 cgs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거문고자리 베타(β Lyrae, β Lyr)는 거문고자리 방향에 있는 다중성계이다. 히파르코스 임무 중 얻은 시차 수치에 따르면 베타별은 태양으로부터 약 960 광년 떨어져 있다.

이 별은 맨눈에 광점 하나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겉보기등급 14.3 이상의 항성 여섯 개로 이루어져 있다. 거문고자리 베타 A 명칭을 받은 가장 밝은 구성원은 그 자체가 다시 삼중성계로 식쌍성계 Aa와 단독성 Ab로 구성되어 있다. 식쌍성계 Aa의 구성원 둘은 거문고자리 베타 Aa1(항성계의 전통적 명칭 셸리아크 Sheliak 를 공식 명칭으로 부여받았음)과[12] Aa2이다. 계의 나머지 구성원 다섯(거문고자리 베타 B, C, D, E, F)은 현 시점에서 모두 단독성으로 추정된다.[1][13][14][15][16][17]

명명법

거문고자리 베타(β Lyrae)는 이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요한 바이어가 1603년 우라노메트리아에서 창안)으로 표기한 명칭이다. WDS J18501+3322는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 등재된 명칭이다. 거문고자리 베타 A, B, C(또는 WDS J18501+3322A, B, C)와 WDS J18501+3322D, E, F 그리고 A를 이루는 구성원들의 이름인 거문고자리 베타 Aa, Aa1, Aa2, Ab는 워싱턴 다중성 목록(Washington Multiplicity Catalog, WMC)이 정한 방식에서 유래한 명칭이며 국제천문연맹이 채택했다.[18]

거문고자리 베타의 고유명칭 셸리아크(가끔 셸리야크 또는 실리아크로도 불림)는 이슬람 천문학에서 거문고자리를 부르는 이름들 중 하나인 아랍어 الشلياق '실리야크' 또는 '알 실리야크'에서 유래했다.[19]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명칭실무단(WGSN)[20]은 고유명칭을 계 전체가 아닌 구성원 하나하나에 별개로 붙이기로 했다.[21] 2016년 8월 21일 WGSN은 거문고자리 베타 Aa1에 셸리아크(Sheliak)를 부여했으며 이 명칭은 현재 IAU 공인 항성명칭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2]

동아시아 천문학에서 거문고자리 베타는 점태(漸台)에 속해 있다. 점태는 거문고자리 델타2, 감마, 요타로 이루어져 있는데[22] 이들 중 베타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점태2(漸台二)이다.

특징

카라 선열(CHARA array)을 이용하여 거문고자리 베타 계 구성원들을 분리한 모습.

거문고자리 베타 Aa는 분광형 B6-8의 주성과, 주성과 같은 B형으로 추정되는 반성으로 이루어진 반분리형 쌍성계이다. Aa 계에서 가벼운 쪽인 주성은 과거에 반성보다 질량이 컸으며 이로 인해 먼저 주계열을 이탈하여 거성이 되었다. 두 별은 가깝게 붙어 있기 때문에 거성이 된 별은 자신의 로슈엽을 채운 뒤 갖고 있던 질량의 대부분을 반성으로 넘겨줬다.

현 시점에서 주성보다 질량이 커진 반성은 이 질량 이동으로 생긴 강착원반에 둘러싸여 있으며 원반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제트 비슷한 쌍극분출을 보여주고 있다.[3] 이 강착원반은 반성을 가려 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하며, 반성의 겉보기 광도를 낮춰 분광형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아내기 어렵게 만든다. 반성으로 이동하는 물질의 양은 대략 연간 태양 질량의 2 × 10−5 배로(다르게 표현하면 5만 년 동안 태양 1 개와 맞먹는 물질이 이동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공전 주기가 1년에 약 9 초씩 길어지고 있다. 거문고자리 베타의 스펙트럼에는 강착원반이 만드는 방출선들이 나타난다. 이 원반은 계 밝기의 약 20 %를 만들어낸다.[3]

밝기 변화

서로 가까이 붙어 있는 식쌍성계의 밝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모형.

1784년 영국 아마추어 천문학자 존 구드릭은 이 계의 밝기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했다.[23] 베타 계의 궤도면은 지구로부터의 시선 방향과 거의 일치하게 놓여 있기 때문에 계를 구성하는 두 항성은 주기적으로 서로를 가린다. 이 때문에 거문고자리 베타의 겉보기등급은 공전 주기 12.9414 일에 걸쳐 +3.2에서 +4.4까지 변화하며 타원체 '접촉' 식쌍성의 원형 별이기도 하다.[4]

계의 구성원 둘은 매우 가까워서 광학 망원경으로 분리하여 관측할 수 없어 분광쌍성으로 분류된다. 2008년 카라 선열 간섭계와 미시간 적외선 결합기를 이용하여, 근적외선 H 대에서 계의 주성과, 반성에 둘린 강착원반을 분리 관측했으며 최초로 계의 궤도요소들을 계산해 냈다.[24][25][3]

규칙적인 식현상 외에도 베타 계는 밝기에 보다 작고 느린 변화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강착원반에서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분광선(특히 방출선)들의 프로파일과 강도가 변화하는 현상이 동반된다. 이 변화는 규칙적이지는 않으나 282 일 주기를 지닌다.[26]

동반 천체

거문고자리 베타 외에 동반 천체 여럿도 천체목록에 실렸다. 거문고자리 베타 B는 각거리상으로 주성으로부터 45.7" 떨어져 있으며 분광형은 B7 V에 겉보기 등급은 +7.2이고 쌍안경으로 쉽게 볼 수 있다. B의 광도는 태양의 약 80 배이다. B는 1962년 공전주기 4.348 일의 분광쌍성으로 인식되었으나[27] 분광쌍성궤도목록(Catalog of Spectroscopic Binary Orbits)의 2004년 SB9 판에서 거문고자리 베타가 삭제되었기에 지금은 단독성으로 여겨진다.[13]

다음으로 밝은 동반 천체들은 거문고자리 베타 E와 F이다. E의 겉보기 등급은 10.1v, 각거리는 67"이며 F의 겉보기 등급은 10.6v, 각거리는 86"이다. 두 별은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로[28] 둘 다 Ap 별로 등재되어 있다. 다만 종종 F를 Am 별로 분류하기도 한다.[29]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더 어두운 반성 C와 D 둘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성으로부터 각각 47", 64"만큼 떨어져 있다.[30] 구성원 C는 지금까지 밝기가 1 등급을 넘게 변화해 왔으나 변광의 유형은 밝혀지지 않았다.[31]

구성원 A, B, F 셋은 거문고자리 베타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같은 성군(星群)의 구성원들로 생각되며, 나머지는 그저 우연히 같은 방향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29] 2차 가이아 데이터 방출(Gaia DR2)로 얻은 측성자료를 분석한 결과 거문고자리 베타 근처에 대략 100 개의 항성들(베타로부터 거의 비슷한 거리에 놓여 있다.)로 이루어진 성군이 있음이 드러났다. 이 별들의 무리는 '가이아 8'로 명명되었다. 이 성군의 구성원들은 모두 주계열성이며, 별들의 나이는 전향점이 나타나지 않아 정확히 계산할 수는 없으나 3천만 ~ 1억 년 사이로 추정된다. 성군 구성원들의 Gaia DR2 시차 평균값은 3.4 밀리초각이다.[9]

가이아 우주선은 베타 계 구성원들(WDS에 수록)의 자료를 아래와 같이 제공했다.

구성원[32] 분광형 겉보기등급 (G) 고유운동 시선속도 (km/s) 연주시차 (mas) Simbad
적경 (mas/yr) 적위 (mas/yr)
A[8] B7Ve[a] 3.25 – 4.36 1.569 ± 0.582 -2.523 ± 0.594 2.20 ± 0.7 1.0851 ± 0.3398 [1]
B[8] B7V 7.19 4.373 ± 0.087 -0.982 ± 0.098 -14 ± 5 3.0065 ± 0.0542 [13]
C[8] B2 13.07 -1.936 ± 0.024 -1.824 ± 0.030 ? 0.2384 ± 0.0151 [14]
D[8] K3V 14.96 -0.108 ± 0.062 -17.792 ± 0.074 ? 0.8378 ± 0.0368 [15]
E[8] G5 9.77 1.649 ± 0.051 0.719 ± 0.053 1.4 1.6209 ± 0.0339 [16]
F[8] G5 10.10 1.258 ± 0.047 -3.793 ± 0.052 -16.83 ± 1.41 3.5222 ± 0.0307 [17]
  1. Gaia DR2가 제공한 거문고자리 베타 A의 측성학적 품질은 '최악'(terrible)으로 간주된다.[9]

각주

  1. “bet Lyr -- Eclipsing binary of beta Lyr type”,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Zhao, M.; 외. (September 2008), “First Resolved Images of the Eclipsing and Interacting Binary β Lyrae”, 《The Astrophysical Journal》 684 (2): L95–L98, arXiv:0808.0932, Bibcode:2008ApJ...684L..95Z, doi:10.1086/592146. 
  4.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5.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6.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0, Bibcode:1953GCRV..C......0W. 
  7. Evans, D. S. (1967).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30: 57. Bibcode:1967IAUS...30...57E. 
  8. Brown, A. G. A. (2018), “Gaia Data Release 2”, 《A&A》 616 (A1): 22, doi:10.1051/0004-6361/201833051. 
  9. Bastian, U. (2019). “Gaia 8: Discovery of a star cluster containing β Lyrae”. 《Astronomy & Astrophysics》 630: L8. Bibcode:2019A&A...630L...8B. doi:10.1051/0004-6361/201936595. 
  10. Mourard, D.; Brož, M.; Nemravová, J. A.; Harmanec, P.; Budaj, J.; Baron, F.; Monnier, J. D.; Schaefer, G. H.; Schmitt, H.; Tallon-Bosc, I.; Armstrong, J. T.; Baines, E. K.; Bonneau, D.; Božić, H.; Clausse, J. M.; Farrington, C.; Gies, D.; Juryšek, J.; Korčáková, D.; McAlister, H.; Meilland, A.; Nardetto, N.; Svoboda, P.; Šlechta, M.; Wolf, M.; Zasche, P. (2018). “Physical properties of β Lyrae a and its opaque accretion disk”. 《Astronomy and Astrophysics》 618: A112. arXiv:1807.04789. Bibcode:2018A&A...618A.112M. doi:10.1051/0004-6361/201832952. 
  11. 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Observatory》, Bibcode:1978ppch.book.....N. 
  12. “Naming Stars”. IAU.org. 2018년 6월 18일에 확인함. 
  13. “bet Lyr B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14. “bet Lyr C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15. “UCAC3 247-141831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16. “BD+33 3222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17. “BD+33 3225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18.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 
  19.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New York》: 287, Bibcode:1899sntm.book.....A. 
  20.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21.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PDF). 5쪽.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22.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3 日
  23. Hoskin, M. (1979), “Goodricke, Pigott and the Quest for Variable Stars”,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10: 23–41, Bibcode:1979JHA....10...23H, doi:10.1177/002182867901000103. 
  24. ten Brummelaar, Theo; 외. (July 2005), “First Results from the CHARA Array. II. A Description of the Instrument”, 《The Astrophysical Journal》 628 (453): 453–465, arXiv:astro-ph/0504082, Bibcode:2005ApJ...628..453T, doi:10.1086/430729. 
  25. Monnier, John D.; 외. (2006), “Michigan Infrared Combiner (MIRC): commissioning results at the CHARA Array” (PDF), 《Proceedings of the SPIE》, Advances in Stellar Interferometry 6268 (62681P): 62681P, Bibcode:2006SPIE.6268E..1PM, doi:10.1117/12.671982. 
  26. Carrier, F.; Burki, G.; Burnet, M. (2002). “Search for duplicity in periodic variable B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5 (2): 488. Bibcode:2002A&A...385..488C. doi:10.1051/0004-6361:20020174. 
  27. Abt, Helmut A.; Jeffers, Hamilton M.; Gibson, James; Sandage, Allan R. (1961년 9월 20일). “The Visual Multiple System Containing Beta Lyrae”. 《The Astrophysical Journal》 135: 429. Bibcode:1962ApJ...135..429A. doi:10.1086/147282. 
  28. Skiff, B. A. (2014).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2016)”. 《VizieR On-line Data Catalog》. Bibcode:2014yCat....1.2023S. 
  29. Abt, H. A.; Levy, S. G. (1976). “Visual multiples. III. ADS 11745 (beta Lyrae group)”. 《The Astronomical Journal》 81: 659. Bibcode:1976AJ.....81..659A. doi:10.1086/111936. 
  30.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31. Proust, D.; Ochsenbein, F.; Pettersen, B. R. (1981). “A catalogue of variable-visual binary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44: 179. Bibcode:1981A&AS...44..179P. 
  32. “ADS 11745”.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