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한국: 출처 표기(신라의 경우는 삼국사기에 나타나 있음. 기본적인 사료라 따로 출처는 표기하지 않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고구려]]===
===[[고구려]]===
{{출처 필요}}
*연수(延壽 : [[장수왕]] 연간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
*연수(延壽 : [[장수왕]] 연간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
*연가(延嘉 : [[안원왕]] 연간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
*연가(延嘉 : [[안원왕]] 연간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
*영락(永樂 : [[광개토대왕]] 연간에 사용, 391 - 413)
*영락(永樂 : [[광개토대왕]] 연간에 사용, 391 - 413)
*건흥(建興 : [[장수왕]] 또는 [[안원왕]] 또는 [[영양왕]]의 연호로 추정)
*건흥(建興 : [[장수왕]] 또는 [[안원왕]] 또는 [[영양왕]]의 연호로 추정)
*영강(永康 : 연대 미상)
*영강(永康 : 연대 미상)<ref>이상의 모든 출처는 정운용,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의 연호〉</ref>


===[[신라]]===
===[[신라]]===
{{출처 필요}}
#건원(建元 : [[법흥왕]], [[진흥왕]] 연간에 사용, 536 - 551)
#건원(建元 : [[법흥왕]], [[진흥왕]] 연간에 사용, 536 - 551)
#[[개국 (신라)|개국]](開國 : [[진흥왕]] 연간에 사용, 551 - 567)
#[[개국 (신라)|개국]](開國 : [[진흥왕]] 연간에 사용, 551 - 567)

2009년 2월 13일 (금) 04:48 판

연호(年號)는 한문을 사용하는 동양의 군주국가에서 쓰던 기년법을 말하며, 해(年)의 차례를 나타내기 위해 붙이며, 원호(元號) 또는 다년호(大年號)라고도 한다. 본래는 당시에 재위하는 군주의 재위년을 연호로 사용하였는데, 전한무제(武帝) 때에는 재위년과 별도의 연호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 한 군주가 필요에 따라 연호를 바꾸어 쓸 수 있었으나, 명나라 때부터는 한 군주가 한 연호만 사용하는 일세일원제가 확립되었다. 서기(西紀), 단기(檀紀), 불기(佛紀) 등도 연호에 속한다.

이러한 연호는 동양에서는 황제국의 상징으로서, 굳이 황제가 군주인 명목상의 황제국이 아니더라도 황제국과 동급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때 연호는 군주의 통치권이 물리적 공간, 곧 국토는 물론이고 시간에까지 이름을 상징한다. 다시 말해 연호는 군주가 시간까지 지배함을 뜻한다.

한국

연호 외에도 《조선왕조실록》의 경우처럼 해를 헤아리는 다른 방법이 있었다. 칭원법(稱元法)이라 하여 국왕의 즉위한 해 또는 즉위한 다음 해를 원년으로 삼는 기년법이다.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주요 역사서에서 나타난다.

그런데 왕위를 계승하는 해[年]를 전(前) 왕의 해라고 보아야 하는지 새 왕의 해라고 보아야 하는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삼국시대 : 새 왕이 즉위한 해를 원년(元年)으로 계산하였다. - 즉위년칭원법
  • 고려·조선시대 : 새 왕이 즉위한 해는 그대로 전왕의 연호(年號)를 사용했고, 즉위한 다음 해를 원년(元年)으로 계산하였다. - 유년칭원법
  • 예외:
    • 고려시대 금석문 : 고려시대 자료이나 삼국의 전통에 따라 즉위년칭원법을 사용하였다.
    • 동국사략》 : 조선 태종에 의해 권근 등이 집필한 역사서로, 삼국의 연기들마져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으로 고쳐 썼다.
    •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 조선 성종노사신 등이 집필하였는데 삼국의 기록은 당시 표기대로 즉위년칭원법을 따랐다.
    • 동국통감(東國通鑑)》 : 조선 성종 때 서거정 등이 집필하였는데 삼국의 기록은 즉위년칭원법을, 고려의 기록은 유년칭원법을 사용하였다.
    • 조선의 경우도 시조(始祖)인 태조(太祖)나 정변(政變)에 의해 왕조(王朝)가 개체(改替)된 세조, 중중(中宗), 인조(仁祖)의 경우는 즉위년이 곧 원년이 되었다.
    • 그밖에 1907년 순종황제가 즉위하면서 순종 즉위년을 융희원년(隆熙元年, 순종원년)으로 삼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 삼아 일제고종황제를 강제 퇴위시켜 정상적인 황위 계승이 되지 못한 역사의 흔적이다.

고구려

신라

  1. 건원(建元 : 법흥왕, 진흥왕 연간에 사용, 536 - 551)
  2. 개국(開國 : 진흥왕 연간에 사용, 551 - 567)
  3. 대창(大昌 : 진흥왕 연간에 사용, 568 - 572)
  4. 홍제(鴻濟 :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연간에 사용, 572 - 583)
  5. 건복(建福 : 진평왕, 선덕여왕 연간에 사용, 584 - 634)
  6. 인평(仁平 : 선덕여왕 연간에 사용, 634 - 647)
  7. 태화(太和 : 진덕여왕 연간에 사용, 647 - 650)
    • 경운(慶雲 : 장안국의 김헌창, 822)

발해

  1. 인안(仁安 : 무왕 연간에 사용, 719 - 736)
  2. 대흥(大興 : 문왕 연간에 사용, 737 - 793)
  3. 보력(寶曆 : 문왕 연간에 사용, 774 - 781?)
  4. 중흥(中興 : 성왕 연간에 사용, 794)
  5. 정력(正曆 : 강왕 연간에 사용, 795 - 808)
  6. 영덕(永德 : 정왕 연간에 사용, 809 - 812)
  7. 주작(朱雀 : 희왕 연간에 사용, 813 - 817)
  8. 태시(太始 : 간왕 연간에 사용, 817 - 818)
  9. 건흥(建興 : 선왕 연간에 사용, 818 - 830)
  10. 함화(咸和 : 대이진 연간에 사용, 830 - 858)

정안국

  1. 원흥(元興 : 오현명, 976 - 986)

흥료국

  1. 천경(天慶 : 대연림, 1029 - 1030)

대원국

  1. 융기(隆基 : 고영창, 1116)

후백제

  1. 정개(正開 : 견훤, 900 - 936)

태봉

  1. 무태(武泰 : 궁예, 904 - 905)
  2. 성책(聖冊 : 궁예, 905 - 910)
  3. 수덕만세(水德萬歲 : 궁예, 911 - 914)
  4. 정개(政開 : 궁예, 914 - 918)

고려

  1. 천수(天授 : 태조 연간에 사용, 918 - 943)
  2. 광덕(光德 : 광종 연간에 사용, 950 - 951)
  3. 준풍(峻豊 : 광종 연간에 사용, 960 - 963)
  4. 태평(太平 : 경종 연간에 사용,)
    • 천개(天開 : 대위국의 묘청, 1135 - 1136)

조선

  1. 개국(開國 : 고종 연간에 사용, 1894 - 1895)
  2. 건양(建陽 : 고종 연간에 사용, 1896)

대한제국

  1. 광무(光武 : 고종황제(광무제) 연간에 사용, 1897 - 1907)
  2. 융희(隆熙 : 순종황제(융희제) 연간에 사용, 1907 - 1910)

대한민국 임시정부

  1. 대한민국(大韓民國 : 독립운동 진영에서 사용, 1919 - 1948)

대한민국

  1. 대한민국 (大韓民國 : 1948)
  2. 단군기년 (檀君紀元 : 1948 - 1962)
    • 1962년 이후 서력기원(西紀) 사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주체(主體 : 1912 -)

중국

일본

주석

  1. 사마천, 《사기》, 〈효무본기〉, 서기전 1세기 / 재위년은 연호가 아닌 연수(年數)라고 하여 따로 취급하기도 한다.
  2. 이상의 모든 출처는 정운용,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의 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