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Bass0709(토론)의 편집을 Ted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41번째 줄: 41번째 줄:
* <math>c_p(E)</math>는 <math>E</math>의 기초 국소 인자(elementary local factor)이다.
* <math>c_p(E)</math>는 <math>E</math>의 기초 국소 인자(elementary local factor)이다.
* <math>\Omega_E(E)</math>는 <math>E</math>의 실수 주기(real period)의 단순 배수(simple multiple)이다.
* <math>\Omega_E(E)</math>는 <math>E</math>의 실수 주기(real period)의 단순 배수(simple multiple)이다.
버치와 스위너턴다이어는 원래 영점의 차수 <math>r</math>만을 추측하였다. 이후 [[존 테이트]]가 영점의 계수를 수론적인 데이터로 추측하였다.
버치와 스위너턴다이어는 원래 영점의 차수 <math>r</math>만을 추측하였다. 이후 [[존 테이트]]가 영점의 계수를 수론적인 데이터로 추측하였다. 살구는 못생겼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1년 1월 18일 (월) 22:08 판

수론에서,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영어: Birch and Swinnerton-Dyer conjecture)은 수체 상의 타원곡선 E의 점들이 이루는 아벨 군의 계수와 그 하세-베유 L-함수 L(E, s)의 s = 1에서 갖는 근의 차수가 같다는 추측이다. 수학의 주요 미해결 문제의 하나이다.

역사

1965년에 브라이언 버치(영어: Bryan Birch)와 피터 스위너턴다이어(영어: Peter Swinnerton-Dyer)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에드삭 컴퓨터를 사용한 수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추측을 발표하였다.[1]

2014년에 이 추측은 계수가 1 이하인 경우 중에서도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만 증명되어 있다. 이는 지난 40여년 간 미해결 문제로서 많은 연구를 유발시켰으며, 현재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클레이 수학 연구소는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을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로 선정하고, 그 증명에 대해 백만 미국 달러의 상금을 걸었다.

정의

수체 에 대한 타원곡선 유리점를 생각하자. 모델-베유 정리에 따라, 이는 유한 생성 아벨 군을 이룬다. 유리점군 의 (아벨 군으로서의) 계수를 타원곡선 계수(영어: rank) 라고 한다. 이는 항상 음이 아닌 정수이다.

또한, 이 타원곡선에 대하여 하세-베유 L-함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복소 변수이며, 해석적 연속을 통해 복소 평면 전체로 연장시킬 수 있다.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에 따르면, 하세-베유 L-함수 에서의 테일러 급수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2]

여기서 에서의 영점의 계수는 타원곡선 의 수론적인 데이터로 주어진다.

  • 는 타원곡선 테이트-샤파레비치 군(Tate–Shafarevich group)의 원소의 개수이다. (이 군은 유한군인 것으로 추측되나, 증명되지 않았다.)
  • 는 타원곡선의 유리점꼬임 부분군의 원소의 개수이다.
  • 의 기저를 잡아, 그 높이(height)로 정의한 행렬의 행렬식이다.
  • 의 기초 국소 인자(elementary local factor)이다.
  • 의 실수 주기(real period)의 단순 배수(simple multiple)이다.

버치와 스위너턴다이어는 원래 영점의 차수 만을 추측하였다. 이후 존 테이트가 영점의 계수를 수론적인 데이터로 추측하였다. 살구는 못생겼다

참고 문헌

  1. Birch, Bryan; Peter Swinnerton-Dyer (1965). “Notes on elliptic curves II”.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영어) 1965 (218): 79–108. doi:10.1515/crll.1965.218.79. ISSN 0075-4102. Zbl 0147.02506. 
  2. Wiles, Andrew (2006). 〈The Birch and Swinnerton-Dyer conjecture〉 (PDF). Carlson, James; Jaffe, Arthur; Wiles, Andrew. 《The Millennium prize problems》 (영어).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1–44쪽. ISBN 978-0-8218-36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