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승인 국가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87번째 줄: 187번째 줄:
* {{국기|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1994년]]~[[2013년]]): 2012년 11월 29일, 유엔은 팔레스타인을 표결권이 없는 옵서버 단체에서 옵서버 국가로 격상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2013년 이후 국제 연합 옵서버 국가로 인정받으면서 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팔레스타인국의 정부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아직도 [[팔레스타인]]을 미승인국으로 보기도 한다.
* {{국기|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1994년]]~[[2013년]]): 2012년 11월 29일, 유엔은 팔레스타인을 표결권이 없는 옵서버 단체에서 옵서버 국가로 격상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2013년 이후 국제 연합 옵서버 국가로 인정받으면서 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팔레스타인국의 정부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아직도 [[팔레스타인]]을 미승인국으로 보기도 한다.
* {{국기|티베트}} [[티베트 왕국]] ([[1912년]]~[[1951년]]): [[청나라]]의 일부였다가 [[청 왕조]]가 붕괴된 직후 독립 국가를 수립한 티베트는 청나라를 계승한 [[중화민국의 역사|중화민국]]으로부터 주권 국가로 인정되지 않았다. 1951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자치구]]로 합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현재도 티베트 지역을 자국의 영토로 규정해 티베트 지역 전체에 [[중국군]](중공군)을 파견해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 {{국기|티베트}} [[티베트 왕국]] ([[1912년]]~[[1951년]]): [[청나라]]의 일부였다가 [[청 왕조]]가 붕괴된 직후 독립 국가를 수립한 티베트는 청나라를 계승한 [[중화민국의 역사|중화민국]]으로부터 주권 국가로 인정되지 않았다. 1951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자치구]]로 합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현재도 티베트 지역을 자국의 영토로 규정해 티베트 지역 전체에 [[중국군]](중공군)을 파견해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 {{국기|동투르키스탄}} [[신장 독립운동|동튀르키스탄 공화국]] ([[1944년]]~[[1949년]]): [[1933년]] 11월 [[동투르키스탄 제1공화국|동투르키스탄이슬람공화국]]이 처음으로 건국되었으나 3개월 만에 소멸되었고, [[1944년]] 다시 [[동투르키스탄 제2공화국|동투르키스탄공화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공화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병합되었고, [[1955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되었다.
* {{국기|동투르키스탄}} ([[1944년]]~[[1949년]]): [[1933년]] 11월 [[신장 독립운동|동튀르키스탄 공화국]]이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동튀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처음으로 건국되었으나 3개월 만에 소멸되었고, [[1944년]] 다시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동튀르키스탄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공화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병합되었고, [[1955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되었다.
* {{국기나라 그림|Flag of Adjara.svg}} [[아자리야 공화국]] ([[1991년]]~[[2005년]]): [[조지아 (국가)|조지아]]의 자치공화국으로, [[1991년]]에 독립을 선언하였으나, [[2005년]]에 이 나라의 독재자인 아슬란 아바시제가 추방당한 후, 주민들의 요구로 독립을 철회했으나 아자리야 자치 공화국으로 지금까지 현재에 남아있는 국가로 이르고 있다.
* {{국기나라 그림|Flag of Adjara.svg}} [[아자리야 공화국]] ([[1991년]]~[[2005년]]): [[조지아 (국가)|조지아]]의 자치공화국으로, [[1991년]]에 독립을 선언하였으나, [[2005년]]에 이 나라의 독재자인 아슬란 아바시제가 추방당한 후, 주민들의 요구로 독립을 철회했으나 아자리야 자치 공화국으로 지금까지 현재에 남아있는 국가로 이르고 있다.
* {{국기나라 그림|KNOFLAG.PNG}} [[카친 주|카친]] ([[1962년]]~[[1994년]])
* {{국기나라 그림|KNOFLAG.PNG}} [[카친 주|카친]] ([[1962년]]~[[1994년]])
199번째 줄: 199번째 줄:
* {{국기나라 그림|Flag of the Dadao Municipal Government of Shanghai.svg}} [[상하이 시 다다오 정부]] ([[1937년]]~[[1938년]]): [[중일전쟁]]의 전투 중 하나인 제2차 상하이 사변으로 인해 건국되어 8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존재했던 [[일본 제국]]의 괴뢰국.
* {{국기나라 그림|Flag of the Dadao Municipal Government of Shanghai.svg}} [[상하이 시 다다오 정부]] ([[1937년]]~[[1938년]]): [[중일전쟁]]의 전투 중 하나인 제2차 상하이 사변으로 인해 건국되어 8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존재했던 [[일본 제국]]의 괴뢰국.
* {{국기|로자바}} ([[2013년]] ~ ): [[시리아]] 북부에 있는 [[쿠르드족]]이 세운 사실상 시리아의 자치구. [[쿠르디스탄]]의 서부 지역. [[로자바 혁명]]의 기원으로 탄생한 국가이다. 현재 [[시리아 내전]]에 참여하고 있다.
* {{국기|로자바}} ([[2013년]] ~ ): [[시리아]] 북부에 있는 [[쿠르드족]]이 세운 사실상 시리아의 자치구. [[쿠르디스탄]]의 서부 지역. [[로자바 혁명]]의 기원으로 탄생한 국가이다. 현재 [[시리아 내전]]에 참여하고 있다.
* {{국기|베트남|1945}} [[베트남 제국]] ([[1945년]]): [[바오다이|바오 다이]]가 [[일본 제국]]과 협력해 [[베트남]] 지역에 세운 명목상 [[일본 제국]]의 괴뢰국.
* {{국기|베트남|1945}} ([[1945년]]): [[바오다이|바오 다이]]가 [[일본 제국]]과 협력해 [[베트남]] 지역에 세운 명목상 [[일본 제국]]의 괴뢰국.
* {{국기|라오스 왕국}} ([[1945년]]): [[일본 제국]]이 [[라오스]] 지역에 세운 괴뢰국.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라오스 국경을 넘자 미얀마로 가는 길을 터주고 사이좋게 이 지역을 이중으로 수탈하던 비시 프랑스 정부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는 1944년 [[비시 프랑스]]가 몰락하자 [[자유 프랑스]] 쪽에 갈아타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불안감을 느낀 일본이 [[쿠데타]]를 일으켰다. 1945년 3월 [[프랑스 총독부]]를 폐지시키고 행정권까지 장악한 후 [[프랑스인]]들을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몰아낸 다음 각 지역의 명목상 군주들을 수반으로 한 괴뢰국을 세웠다.
* {{국기|라오스 왕국}} ([[1945년]]): [[일본 제국]]이 [[라오스]] 지역에 세운 괴뢰국.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라오스 국경을 넘자 미얀마로 가는 길을 터주고 사이좋게 이 지역을 이중으로 수탈하던 비시 프랑스 정부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는 1944년 [[비시 프랑스]]가 몰락하자 [[자유 프랑스]] 쪽에 갈아타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불안감을 느낀 일본이 [[쿠데타]]를 일으켰다. 1945년 3월 [[프랑스 총독부]]를 폐지시키고 행정권까지 장악한 후 [[프랑스인]]들을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몰아낸 다음 각 지역의 명목상 군주들을 수반으로 한 괴뢰국을 세웠다.
* {{국기|미얀마|1943}} [[버마 (1943-1945)|버마]] ([[1943년]]~[[1945년]]): [[일본 제국]]이 [[미얀마]] 지역에 세운 괴뢰국.
* {{국기|미얀마|1943}} ([[1943년]]~[[1945년]]): [[일본 제국]]이 [[미얀마]] 지역에 세운 괴뢰국.
* {{국기|필리핀|1943}} [[필리핀 제2공화국]] ([[1943년]]~[[1945년]]): [[일본 제국]]이 [[필리핀]]에 세운 괴뢰국.
* {{국기|필리핀|1943}} [[필리핀 제2공화국]] ([[1943년]]~[[1945년]]): [[일본 제국]]이 [[필리핀]]에 세운 괴뢰국.
* {{국기|캄보디아|1942}} [[캄보디아 왕국 (1945)|캄보디아 왕국]] ([[1945년]]): [[일본 제국]]이 [[캄보디아]] 지역에 세운 괴뢰국. 1940년에는 [[일본군]]이 [[인도차이나]]에 침공하였고, 이 기회를 틈타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은 [[1945년]] [[3월 12일]]에 [[캄보디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1946년]]에는 다시 [[프랑스]]의 보호 하로 돌아와 독립은 소멸하게 된다.
* {{국기|캄보디아|1942}} ([[1945년]]): [[일본 제국]]이 [[캄보디아]] 지역에 세운 괴뢰국. 1940년에는 [[일본군]]이 [[인도차이나]]에 침공하였고, 이 기회를 틈타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은 [[1945년]] [[3월 12일]]에 [[캄보디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1946년]]에는 다시 [[프랑스]]의 보호 하로 돌아와 독립은 소멸하게 된다.


=== 아프리카 ===
=== 아프리카 ===
221번째 줄: 221번째 줄:
* {{국기|몰타 기사단}} ([[1080년]] ~ ): [[1080년]]에 [[예루살렘]]으로 가는 [[기독교]] 순례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기사단이었다. 성 요한 기사단으로도 불리며, [[아크레]], [[로도스 섬]], [[몰타 섬]] 등으로 본부를 옮겼다가, [[1798년]]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정복당하여 영토를 상실하였고 [[이탈리아]]의 [[로마]]로 본부를 옮겨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제 사회에서는 몰타 기사단을 사실상의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나, 현재는 자선구호단체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다.
* {{국기|몰타 기사단}} ([[1080년]] ~ ): [[1080년]]에 [[예루살렘]]으로 가는 [[기독교]] 순례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기사단이었다. 성 요한 기사단으로도 불리며, [[아크레]], [[로도스 섬]], [[몰타 섬]] 등으로 본부를 옮겼다가, [[1798년]]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정복당하여 영토를 상실하였고 [[이탈리아]]의 [[로마]]로 본부를 옮겨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제 사회에서는 몰타 기사단을 사실상의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나, 현재는 자선구호단체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다.
* {{국기나라 그림|State Flag of Serbian Krajina (1991).svg}}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1991년]]~[[1995년]]): 1991년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에 세운 나라이다. 1995년 크로아티아에 의해 멸망했으며 동부 [[슬라보니아]]에 남겨진 일부는 [[1998년]]까지 국제연합 감시 하에 있다가 크로아티아 영토에 복귀하였다.
* {{국기나라 그림|State Flag of Serbian Krajina (1991).svg}}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1991년]]~[[1995년]]): 1991년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에 세운 나라이다. 1995년 크로아티아에 의해 멸망했으며 동부 [[슬라보니아]]에 남겨진 일부는 [[1998년]]까지 국제연합 감시 하에 있다가 크로아티아 영토에 복귀하였다.
* {{국기|크림 공화국}} [[크림 공화국 (미승인 국가)|크림 공화국]] ([[2014년]]):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으로 위기를 느낀 [[크림 자치 공화국]]과 [[세바스토폴]]이 [[2014년]] [[3월 11일]]에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후 [[3월 16일]]에 러시아로의 편입을 위한 주민 투표가 실시되어 압도적인 비율로 찬성하였다. 그 후, [[3월 18일]]에 [[러시아-크림 공화국 병합 조약]]이 체결되었고, [[3월 21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최종 서명하여 [[러시아 연방]]의 [[크림 연방관구]]로 편입되었다.
* {{국기|크림 공화국}} ([[2014년]]):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으로 위기를 느낀 [[크림 자치 공화국]]과 [[세바스토폴]]이 [[2014년]] [[3월 11일]]에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후 [[3월 16일]]에 러시아로의 편입을 위한 주민 투표가 실시되어 압도적인 비율로 찬성하였다. 그 후, [[3월 18일]]에 [[러시아-크림 공화국 병합 조약]]이 체결되었고, [[3월 21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최종 서명하여 [[러시아 연방]]의 [[크림 연방관구]]로 편입되었다.
* {{국기|노보로시야 연방국}} [[노보로시야 연방국]] ([[2014년]]~[[2015년]]) : 2014년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 일대 지역이 모여 결성한 미승인국이다. 하지만 도네츠크와 루간스크가 자치권을 보장받고 우크라이나에 재통합한다는 2차 민스크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 [[2015년]] [[5월 20일]] 노보로시야 측은 계획을 중단하기로 밝혔다.그러나 아직까지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휴전의 조건을 이행하지 않아, 노보로시야의 구성국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은 여전히 독립된 미승인 국가로 남아 있다.
* {{국기|노보로시야 연방국}} ([[2014년]]~[[2015년]]) : 2014년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 일대 지역이 모여 결성한 미승인국이다. 하지만 도네츠크와 루간스크가 자치권을 보장받고 우크라이나에 재통합한다는 2차 민스크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 [[2015년]] [[5월 20일]] 노보로시야 측은 계획을 중단하기로 밝혔다.그러나 아직까지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휴전의 조건을 이행하지 않아, 노보로시야의 구성국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은 여전히 독립된 미승인 국가로 남아 있다.
* {{국기나라 그림|Flag of Catalonia.svg}} [[카탈루냐 공화국]] ([[2017년]]): [[2017년 카탈루냐 독립 국민투표]]에 따라 [[스페인의 자치 지방]]으로 남아 있던 [[카탈루냐]] 지방이 [[스페인]]에서 독립을 선포했으나 국제적으로 [[주권]]을 승인 받지는 못한 상태이다. 10월 31일 독립국가 지위를 일시 중지함을 선포하면서 독립 국가로써의 공화국은 멸망하였다.
* {{국기나라 그림|Flag of Catalonia.svg}} [[카탈루냐 공화국]] ([[2017년]]): [[2017년 카탈루냐 독립 국민투표]]에 따라 [[스페인의 자치 지방]]으로 남아 있던 [[카탈루냐]] 지방이 [[스페인]]에서 독립을 선포했으나 국제적으로 [[주권]]을 승인 받지는 못한 상태이다. 10월 31일 독립국가 지위를 일시 중지함을 선포하면서 독립 국가로써의 공화국은 멸망하였다.
* [[아일랜드 공화국 (1919년-1922년)|아일랜드 공화국]] ([[1919년]]~[[1922년]])
* {{국기나라 그림|Irish Republic Flag.svg}} [[아일랜드 공화국 (1919년-1922년)|아일랜드 공화국]] ([[1919년]]~[[1922년]])


=== 오세아니아 ===
=== 오세아니아 ===

2020년 11월 23일 (월) 07:05 판

  어떤 국가에게도 승인받지 못함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을 받음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을 받은 유엔 비회원국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을 받지 못한 유엔 회원국

미승인 국가(未承認國家)란 지정학적으로 실질적인 독립국가이나 기존의 국가에게 주권국가외교적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단체)를 의미한다. 외교적 승인은 각국의 정치적 이해와 결부된 문제이기 때문에 미승인 국가로 여겨지는 나라들도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외교적 승인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은 나라들을 아래 목록에 나열하였다.

어떤 국가에게도 승인받지 않은 유엔 비회원국

이름 상태 다른 주장 추가 정보 출처
서토고랜드 1960년 4월 27일가나로부터 독립하여, 독일령 토고와 함께 토고가 건국되었다. 2020년 서토고랜드는 가나로부터 분리 독립(주권)을 선언했다. 가나는 서토고랜드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서토고랜드 인민해방위원회(WTRF)가 실질적으로 통치중이다. 대외 관계 [1][2][3][4][5][6][7][8]
암바조니아 2017년 10월 1일카메룬으로부터 독립하여 카메룬 내에 암바조니아 민족주의 운동으로 남카메룬 암바조니아 컨소시엄 연합전선(SCACUF)에 의해 무국적 대우를 받고 있는 영어권 민족이 건립한 미승인국이다. 2017년 암바조니아는 카메룬으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카메룬은 암바조니아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카메룬 정부가 실질적으로 통치중이다. 대외 관계 [9][10][11][12][13]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이름 상태 다른 주장 추가 정보 출처
소말릴란드 소말릴란드 1960년영국령 소말릴란드로부터 독립하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와 함께 소말리아가 건국되었다. 1991년 소말릴란드는 소말리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중화민국이 소말릴란드와 수교를 맺으며 독립을 승인하였다. 소말리아는 소말릴란드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대외 관계 [14]
아르차흐 공화국 아르차흐 1991년아제르바이잔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야,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나고르노-카라바흐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은 아르차흐 공화국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아르메니아가 1994년 휴전합의 이후 실질적으로 통치중이다. 대외 관계 [15][16][17][18]
트란스니스트리아 트란스니스트리아 1990년몰도바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아르차흐 공화국, 남오세티야, 압하지야가 승인하였다. 몰도바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대외 관계 [19]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2014년노보로시야 연방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야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우크라이나는 노보로시야 연방국과 그의 구성국들과 함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을 강제로 군사적으로 자신들의 영토를 점령한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기에 노보로시야 연방국을 인정하지 않는다. 우크라이나가 실질적으로 통치중이다.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제외) 대외 관계 [20][21]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2014년노보로시야 연방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야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우크라이나는 노보로시야 연방국과 그의 구성국들과 함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을 강제로 군사적으로 자신들의 영토를 점령한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기에 노보로시야 연방국을 인정하지 않는다. 우크라이나가 실질적으로 통치중이다.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제외) 대외 관계 [20][21]

하나 이상의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이름 상태 다른 주장 추가 정보 출처
남오세티야 남오세티야 1991년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회원국인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4개국이 승인하였고, 비회원국인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 아르차흐 공화국이 승인하였다.[22][23] 조지아는 남오세티야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대외 관계 [24][25][26]
북키프로스 북키프로스 1974년 터키의 개입으로 키프로스의 북부에서 터키계 정권이 수립되었다. "터키령 키프로스 연방주"라는 이름을 유지하다가 1983년에 독립을 선언하였고, 현재 유엔 회원국인 터키만이 승인하였다. 이슬람 회의 기구는 "터키계 키프로스"라는 이름의 참관국(observer)으로 참여하고 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541호는 북키프로스의 성립을 불법이라고 규정했다.[27] 키프로스는 북키프로스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터키의 괴뢰국이라고 주장한다. 대외 관계
키프로스 분쟁
[28]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과 모로코 모두 서사하라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1976년 독립을 선언한 후 총 83개 유엔 회원국과 아프리카 연합의 승인을 받았다. 후에 일부 국가는 승인을 취소하거나 보류하였다.[29] 현재 서사하라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으로 분류되었다. 모로코가 서사하라의 2/3을 점령 중이다. 대외 관계 [30]
압하지야 압하지야 1992년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회원국인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4개국이 승인하였고,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야, 트란스니스트리아, 나고르노카라바흐가 승인하였다.[22] 조지아는 압하지야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대외 관계 [24][25][31][32]
중화민국 중화민국 1912년 난징시를 수도로 세워진 중화민국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발한 국공 내전 중에 중국 공산당이 세운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영토의 대부분을 빼앗기고 동중국해의 몇 가지 도서 지방만으로 영역이 축소되었다. 유엔은 창립 시부터 전승국이었던 중화민국을 '중국'의 정식 대표로로 승인하였으나,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이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대표로 인정하고 있으며, 중화민국의 주권에 대한 사항까지도 법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것으로 간주하게 되었다. 다만 개별 회원국들은 중화민국의 승인에 관해 다양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33] 국가별 관계의 경우 영국, 소비에트 연방, 프랑스, 인도 등은 2758호 결의 이전에 번복하였고, 미국, 일본, 대한민국 등 결의 이후에 번복한 국가들도 있다. 따라서 현재 20개 유엔 회원국과 성좌(바티칸 시국)만이 중화민국과 정식 수교를 유지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의 독립적인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중화민국이 보유한 권리 일체를 자국의 권리라고 주장한다. 대외 관계
타이완 문제
하나의 중국
중국의 재통일
코소보 코소보 코소보2008년에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109개 유엔 회원국 및 중화민국, 몰타 기사단, 쿡 제도, 니우에가 코소보의 독립을 승인한 상태다. 유엔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224호에 따라 1999년부터 2008년 6월까지 코소보를 사실상 통치하였다.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대외 관계
국제적 승인
[34][35]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1988년알제리에서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이스라엘과의 오슬로 협정에 따라 1994년에 수립된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PNA)를 통해 제한적인 자치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결국 영토 상당 부분의 지배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꽤 많은 나라가 팔레스타인을 승인했으나, 제각기 세부적인 표현은 애매하게 설정된 상황이다. 2005년에는 117개 국가[36], 2010년에는 130개 국가[37] 가 팔레스타인을 승인했다고 판단된다. 명확하게 "독립"을 승인한 나라는 아랍 연맹이슬람 회의 기구 가맹국이 대부분이다. 현재 팔레스타인은 유엔에 참관국(observer) 자격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현재 서안 지구 상당 지역을 점령 중이다. 대외 관계 [38][39][40][41][42][43][44]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지 않은 유엔 회원국

이름 상태 다른 주장 추가 정보 출처
대한민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8년 한반도에서 분단국가로 각자 수립된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 전쟁냉전의 시기를 거치면서, 할슈타인 독트린처럼 진영 논리에 따라서 폐쇄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1970년대에 불어온 탈냉전의 영향으로 동시수교를 허용하기 시작하였고, 1991년 양측 모두 유엔에 가입하면서 현재는 분단국가보다 독립된 두 나라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현재 대한민국과 일본[45], 이스라엘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4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을[47] 승인하지 않았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두 자신들이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하며, 서로의 주권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단국가의 관계에 있다[48].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한반도 분단
한국의 재통일
[49][50][45][51][52]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1991년에 독립한 아르메니아를 파키스탄은 승인하지 않았다. 파키스탄은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에서 아제르바이잔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외 관계 [53][54]
이스라엘 이스라엘 1948년에 독립한 이스라엘은 중동 전쟁 등의 국제 분쟁으로 인해 현재 19개 유엔 회원국이 승인하지 않았다.[55]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이 점유하고 있는 가자 지구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대외 관계 [56][57]
키프로스 키프로스 1960년에 독립한 키프로스는 유엔 회원국인 터키와 비회원국인 북키프로스가 승인하지 않았다. 북키프로스는 키프로스의 일부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대외 관계 [58][59][60][61]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 중화민국으로부터 독립, 건국한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임에도 불구하고, 2013년 기준으로 21개 유엔 회원국들과 비회원국인 중화민국에게 승인받지 못한 상태이다.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유엔에서 '중국'의 유일한 대표로 인정하고 있다. 하나의 중국 정책의 영향으로 어떤 국가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을 동시에 승인할 수는 없다. 부탄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어느 쪽도 승인하지 않은 유일한 유엔 회원국이다. 중화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몽골의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62]

옛 미승인/부분승인 국가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영토를 사실상 통제했으나 부분적으로 인정된 정부

같이 보기

각주

  1. “Western Togoland suspected separatists fresh attack for Ghana”. 《BBC News Pidgin》. 2020년 10월 1일에 확인함. 
  2. “UNPO - Members”. 《unpo.org》.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3. “Western Togoland suspected separatists fresh attack for Ghana”. 《BBC News Pidgin》. 2020년 10월 1일에 확인함. 
  4. “One dead, two injured after ‘Western Togolanders’ capture of Juapong”. 《www.ghanaweb.com》. 2020년 9월 25일.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5. though the Republic of Ghana claims to have gained intel on those clashes before they occurred.
  6. “Government’s intelligence claim on Volta separatist attack false – Security Analyst”. 《www.ghanaweb.com》. 2020년 9월 29일.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7. “One dead, two injured after ‘Western Togolanders’ capture of Juapong”. 《www.ghanaweb.com》. 2020년 9월 25일.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though the Republic of Ghana claims to have gained intel on those clashes before they occurred.
  8. “Government’s intelligence claim on Volta separatist attack false – Security Analyst”. 《www.ghanaweb.com》. 2020년 9월 29일.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9. Roger, Jules, and Sombaye Eyango. "Inside the Virtual Ambazonia: Separatism, Hate Speech, Disinformation and Diaspora in the Cameroonian Anglophone Crisis" (2018).
  10. Doho, Gilbert. "From literary concept to self-proclaimed state: three generations of Anglophone-Cameroonians at war." Journal of the African Literature Association (2020): 1-20.
  11. “Cameroon's English-speakers call for independence”. 《www.aljazeera.com》. }
  12. “Who are Cameroon's self-named Ambazonia secessionists? | DW | 30.09.2019”. 《DW.COM》 (영국 영어). 2020년 1월 7일에 확인함. 
  13. “UNPO: Ambazonia”. 《unpo.org》. 2020년 1월 7일에 확인함. 
  14. BBC Country Profiles: Regions and territories: Somaliland. Retrieved 14 September 2009.
  15. BBC Country Profiles: Regions and territories: Nagorno-Karabakh. Retrieved 14 September 2009.
  16. (러시아어) Transnistria wants to join Russia Archived 2008년 12월 16일 - 웨이백 머신 (translated title), September 2008.
  17. (러시아어) Moldova Archived 2011년 10월 8일 - 웨이백 머신, September 2008.
  18. “In detail: The foreign policy of Pridnestrovie”. Pridnestrovie.net. 2008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19. “Abkhazia: Ten Years On”. BBC 2. 2001. 2009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6일에 확인함. 
  20. Babiak, Mat (2014년 5월 22일). “Welcome to New Russia”. 《Ukrainian Policy》. 
  21. “Donetsk, Lugansk People's Republics unite in Novorossiya”. 《Voice of Russia》. 2014년 5월 24일. 
  22. South Ossetia opens embassy in Abkhazia The Tiraspol Times”. 2008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6일에 확인함. 
  23. http://lenta.ru/news/2009/12/16/nauru/
  24. Russia recognises Georgian rebels - BBC, 2008-08-26 [1]
  25. “Venezuela's Chavez draws closer to Moscow”. 《로이터》. 2009년 9월 10일.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26. Stojanovic, Srdjan (2003년 9월 23일). “OCHA Situation Report”. Center for International Disaster Information. 2007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27.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0 (1966) on Cyprus”. Un.int. 2003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28. Hadar, Leon (2005년 11월 16일). “In Praise of 'Virtual States'. AntiWar.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29. Australia Western Sahara Association (2006년 11월). “About Western Sahara”. 2010년 1월 4일에 확인함. 
  30. Sahrawi Arab Democratic Republic (1976년 2월 27일). “Sahrawi Arab Democratic Republic”. Western Sahara Online. 2008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31. Clogg, Rachel (2001). “Abkhazia: Ten Years On”. Conciliation Resources. 2008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6일에 확인함. 
  32. John Pike. “Georgia mocks Nauru's recognition of Abkhazia”. Globalsecurity.org.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33. 현재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측 모두 법적으로 ‘하나의 중국’임을 주장하며, 각자가 중화의 정통성을 주장하고 있다.
  34. “Kosovo MPs proclaim independence”. BBC News. 2008년 2월 17일.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35. “Kosovo” (PDF). 2008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36. Kurz, Anat N. (2005) Fatah and the Politics of Violence: the institutionalisation of a popular Struggle. Brighton: Sussex Academic Press ISBN 1-84519-032-7, ISBN 978-1-84519-032-3p. 123
  37. Boyle, Francis A. (2010년 9월 30일). “The Impending Collapse of Israel in Palestine”. MWC News. 2011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8일에 확인함. 
  38. “Official website of the Palestinian National Authority”. 2006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4월 4일에 확인함. 
  39. Venezuela Pledges Support for Palestinian Statehood during Abbas Visit, November 2009.
  40. Costa Rica Recognizes Palestinian State, February 2008. {{ Archived 2009년 9월 4일 - 웨이백 머신
  41. “South African Representative Office to the Palestinian National Authority”. Sarep.org. 2010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42. “Embassy of the State of Palestine to the Republic of Uzbekistan, Central Asia and Azerbaijan”. Palestineuzbek.com.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3. “Embassies of Palestine”. Webgaza.net.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44. “Embassy of the State of Palestine in Bratislava”. Palestine.sk. 2009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45.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2008년 10월 27일에 확인함. 
  46. 미국, 프랑스, 에스토니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만 없을 뿐이다.
  47. 시리아, 쿠바는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만 없을 뿐이다.
  48. 대한민국의 경우 헌법 제3조의 영토 조항. 그 외에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에서도 북한은 미수복 지역이라 표현한다.
  49. US Library of Congress (2000년 10월 7일). “World War II and Korea”. Country Studies.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50. Sterngold, James (1994년 9월 3일). “China, Backing North Korea, Quits Armistice Commission”. The New York Times. 2008년 2월 29일에 확인함. 
  5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IME. 1966년 8월 19일. 2008년 2월 29일에 확인함. 
  52. Scofield, David (2005년 1월 4일). “Seoul's double-talk on reunification”. Asia Times. 2008년 2월 29일에 확인함. 
  53. Pakistan Worldview - Report 21 - Visit to Azerbaijan Archived 2009년 2월 19일 - 웨이백 머신 Senate of Pakistan —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2008
  54. Nilufer Bakhtiyar: "For Azerbaijan Pakistan does not recognise Armenia as a country" 13 September 2006 [14:03] - Today.Az
  55. “Khartoum Resolutio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4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2일에 확인함. 
  56. Government of Israel (1948년 5월 14일). “Declaration of Israel's Independence 1948”. Yale University. 2008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57. 'Reply' Online Book Chapter 1”. Mythsandfacts.org.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58. http://www.europarl.europa.eu/meetdocs/2004_2009/documents/nt/553/553930/553930en.pdf
  59. CIA World Factbook (2008년 2월 28일). “Cypr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60. “Cyprus exists without Turkey's recognition: president”. XINHUA. 2005년 10월 1일. 2008년 3월 7일에 확인함. 
  61. http://www.europarl.europa.eu/activities/committees/studies/download.do?file=20800#search=%20Turkey
  62.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Documents Database. 2011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63. “Tuareg rebels declare the independence of Azawad, north of Mali”. Al Arabiya. 2012년 4월 6일. 2012년 4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