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독자 연구}}
{{다른 뜻 넘어옴|GDP}}
{{다른 뜻 넘어옴|GDP}}
[[파일:Countries by GDP (Nominal) in 2014.svg|섬네일|370px|GDP(명목) 크기별 세계 경제 지도. 단위: 미국 달러. 2014년, [[세계 은행]].<ref name="CIA">{{웹 인용|url=http://databank.worldbank.org/data/download/GDP.pdf|title=GDP (Official Exchange Rate)|publisher=[[World Bank]]|accessdate=August 24, 2015}}</ref>]]
[[파일:Countries by GDP (Nominal) in 2014.svg|섬네일|370px|GDP(명목) 크기별 세계 경제 지도. 단위: 미국 달러. 2014년, [[세계 은행]].<ref name="CIA">{{웹 인용|url=http://databank.worldbank.org/data/download/GDP.pdf|title=GDP (Official Exchange Rate)|publisher=[[World Bank]]|accessdate=August 24, 2015}}</ref>]]

2020년 11월 17일 (화) 19:45 판

GDP(명목) 크기별 세계 경제 지도. 단위: 미국 달러. 2014년, 세계 은행.[1]

국내총생산(國內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은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재화용역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것을 의미하며 보통 1년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1980년대까지는 한 나라의 경제규모 등을 나타내는 국민소득의 지표로 국민 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의 실제적인 복지를 측정하는 데에는 GDP가 더 적합하다는 의식하에 지금은 GDP가 널리 쓰이고 있다.

국내총생산지역내총생산(GRDP)의 합이다.

산출

국내 총생산은 소득이 소비(저축은 예비소비)량이나 생산량과 같다는 국민 소득 삼면 등가의 법칙에 입각하여 구한다. GDP를 구하는 데에는 다음 세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1. 최종 생산물의 가치의 합: 모든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합한 것이다. 중간재의 가치는 고려하지 않는다.
  2. 부가 가치의 총액의 합: 각 생산단계별로 얻을 수 있는 부가가치의 합을 구하는 방법이다.
  3. 총 생산물의 가치의 합 - 중간재 가치의 합: 거의 쓰이지 않는다.

한계

국내 총생산은 가계의 구매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생산만 하더라도 해당 상품의 가격만큼 수치가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국내 총생산은 특정 국가 내 일반적인 경제 주체의 생활 수준을 그대로 반영하기 어렵다.

각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합할 경우 국내 총생산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게 된다.

  • 가계에 부담되는 일정한 소비 수치의 증가가 국내 총생산의 증가 요인으로 된다.
  •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파괴나 재해 등은 고려하지 못한다.
  •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초과 생산 등으로 수치가 부풀려질 수 있다.
  • 시장을 통하지 않고 거래되는 재화와 용역(마약 등의 지하 경제)은 국내 총생산 계산에서 제외된다.
  • 전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산비용의 증가도 국내 총생산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
  • 총량 개념이기 때문에 소득 분배 상황을 보여 주지 못한다.

명목 GDP 실질 GDP 개념

재화, 재(財)= 패(貝)조개 + 재(才)재주, 조개를 모으는 재주, 상(商)나라때 귀하게 취급하는 특별한 조개 껍질을 화폐로 사용했고, 돈을 모으고 불리는 기술을 의미한다. 화(貨)= 인(人)사람 + 비(匕)숟가락 + 패(貝)돈, 사람이 먹고 사는데 필요한 상품과 채권을 의미한다.

전(錢)돈을 번다는 것은, 금(金)황금, 과(戈)창을 쌓듯이 황금(상품)을 쌓는 것이다.

재화1= 상품1=상품을 갚겠다는 약속(화폐+국채)인 채권1로 구성되고, 채권은 갚아야 할 채무와 한몸 동전의 양면으로, 채무자가 갚지 않으면 0 휴지가 된다.

재화1=생산 상품1=화폐1 발행 고정에선 화폐1 상품 가치 1로, 상품1을 구매할 수 있다.

재화1=생산 상품1=화폐2 발행 변동에선 화폐1 상품 가치0.5로, 상품1을 구매하려면 화폐2가 필요하다.

고정 환율에서 시장 상품 값은 수요와 공급 차이 값으로 결정 등락하고, 물가 상승 추세는 없다.

변동 환율에선 화폐 발행 주체가 생산 상품 보다 더 많은 화폐를 발행하는만큼 수요 공급값 + 화폐 추가 공급량 = 물가 상승 추세가 발생한다.(상품값 10년 평균 200% 상승)

전세계엔 200개 넘는 국가가 있고, 많은 국가들이 서로 다른 종이 화폐(채무=채권)를 발행하는데, 그나라 생산 상품 GDP 규모에 맞춰서 화폐를 균형 발행한 상태에서 국내총생산=실질 GDP가 되겠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은 경기 부양을 이유로, GDP 대비 세율 = 재정 수입보다 더 많은 재정 지출로 재정적자=없는 돈을 채권 발행해서 쓰기 때문에, 시장에서 생산된 상품 보다 항상 더 많은 화폐+국채=채권이 시장에 공급되고, 고정 환율이 아닌, 변동 환율이기 때문에 상품 가격 상승 추세가 발생하는 것이다.

명목 GDP는 변동 환율에서, 서로 다른 국가 화폐 발행 주체들, 화폐 공급량 다르기 때문에, 같은 상품량을 생산 했더라도, 채권 공급량이 더 많으면 GDP가 높게 측정되는 유동성 거품있는 비교 잣대가 된다.

세계 무역 기축통화로 쓰이던 스페인 영국 화폐가, 1,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이 전쟁중인 유럽에 상품을 수출하면서 미국엔 엄청난 황금이 쌓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국이 발행하는 약속인 달러가 영국 파운드를 대체하게 됐다.

원자재 + 노동 = 생산 상품 GDP = 같은 가치 황 1온스 = 35달러 고정에서 화폐1=상품1 화폐 상품 가치 1을 신용 할 수 있다.

세계대전이 끝나고, 부자가 된 미국에 유럽과 전세계가 상품 수출했고, 경제 상황이 역전, 미국은 생산하는 상품 보다 더 많은 상품을 다른 국가에 달러를 주고 수입 소비하는 무역적자를 지속했고, 미국에 쌓였던 황금은 빠르게 소진되면서 1971년 닉슨쇼크=달러 부도, 미국이 발행한 달러를 가져와도 황금(상품)을 상환하지 않겠다, 외상값 떼먹겠다고 선언했다.

닉슨쇼크로 종이에 숫자를 쓴 화폐 상품 가치를 믿을 수 없게 되면서, 화폐 발행 주체를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 생산 상품 대비 화폐 추가 공급량 사기는 없는지, 화폐 발행자를 믿고 확인, 믿는 신용에 따라서 화폐 상품 가치가 변하는 변동 환율이 현재 국제 상품 무역 달러 결제 시스템이다. 부도나서 휴지가 된 달러를 계속 쓰기로 하면서, 국제 결제 화폐 달러 발행국 미국 GDP 보다 더 많은 화폐 공급 세계 시장에 하고 있기 때문에, 달러를 받고 상품 수출하는 후진국들 국내 시장은 항상 상품 유출 달러채권 유입으로, 상품1=화폐2 비율되기 때문에, 높은 물가 상승 추세가 발생, 노동으로 예금한 화폐 가치가 하락, 필요한 상품 구매하기 위해선 추가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게 되는 구조다.

동일한 상품 가격은 기술력 차이가 없다면, 미국인이 생산하던, 한국인이 생산하던, 중국인이 생산하던, 미국에서 100만원 받을 수 있다면, 중국에서도 100만원 받는 것이 상식인데, 기술력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미국인 생산 상품 650만원 중국인 생산 상품 100만원 품질 차이 값 있었는데, TV 냉장고 세탁기 생산 기술력 차이는 큰 것이 아니며, 10년 20년이 흐르면서 기술 격차가 사라진 현재, 미국인 생산 상품 노동 비용은 $65,112 중국인 생산 상품 노동 비용은 $10,098 6.5배 큰 차이를 수긍할 소비자는 재벌이나 정신나간 사람외엔 없다. 그래서 14억명 중국이 저임금 바탕으로 세계의 상품 생산 공장 역할로 20년 동안 국가 GDP 크게 성장했고, 달러를 주고 중국 생산 상품 소비하는 미국은 무역적자=재정적자=경기부양 미국채 발행 유동성 거품이 높은 노동 비용 $65,112를 조성하면서 전세계 최대 채무국가=채무 채권인 달러 발행 $7조=7,980조원 다른 국가에 갚아야 할 상품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재정적자 누계 $26.7조 미국 1년 재정 세금 수입 $4~6조원으론 감당할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무제한 양적완화= 종이로 달러를 찍어서 시장에 공급, 애플 시총 $2조가 넘게 됐는데, 과도한 화폐 발행 휴지가 됐던 짐바브웨 달걀값도 그정도 됐다.

실질 GDP는 상품 생산 GDP 대비 화폐 추가 공급으로 발생하는 환율 차이 값을 뺀 순수 상품 생산량을 측정하려는 노력이다. 고정 국내총생산, 또는 구매력 평가 다른 단어로 순수 GDP를 표현한다.

핵심은 내가 노동1로 생산한 상품1 주고 받은 화폐1로 다른 상품1을 구매할 수 있는지 여부로, 재화1=상품1=화폐1 고정 환율에서, 변동 환율 화폐2 발행하면 시간 흐르면 상품값은 자동 2가 되기 때문에, 노동1 대가로 받은 돈 저축을 채권이 아닌 상품으로 저축하는 것이 유동성 거품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다. 시간이 흘러도 품질이 변하지 않고, 휴대 보관이 쉽고, 누구나 좋아하기 때문에 쉽게 다른 상품으로 바꿀 수 있는 환금성 높은 상품 실물 화폐황금이다.

2020년 10월 20일 현재 금 1온스 값1,910.72 ÷ 1971년 닉슨 쇼크때 금 1온스 값은 35달러 = 금값 49년 동안 5,459% 상승했습니다.

(1,910.72 ÷ 35)^(1÷49년)-1= 금값 평균 연복리 이율 8.5% 상승했습니다.

현재 은행예금 이율은 0.6%~1.85%로, 35달러 x (1+(1.85% ÷ 1))^49년 = 35달러 은행예금 49년 원금과 이자 합계 86달러 ÷ 35달러 = 은행예금 49년 245% 상승합니다.

49년전에 금(상품) 1온스 구매 보유자 1,910달러 - 은행예금자 86달러 = 35달러 49년전 상품과 채권 선택 결과 1,824달러 상품 보유자 이익 채권 보유자 손해입니다.

국내총생산 통계와 환율을 보는 이유는, 내가 흘린 땀 대가 지키기 위한 것이고, 국가 GDP 역시 마찬가지로, 화폐 유동성 무제한 공급 국제 금융사기 환경에선 정신차리지 않으면, 글로벌 통합경제 환경에서, 조세저항없는 화폐 발행 국제 징세하는 미국에 납세 평생 유노동 무소비 일만하게 됩니다.

1인 GDP x 국가 인구 수 = 국가 GDP 이므로, 현재 세계 경제 질서는 인구 14억명 중국 + 인구 14억명 인도 = 성장하는 인구 대국 투톱 체제로 재편되는 과도기입니다. 재화=상품+채권에서 핵심은 내가 소비할 수 있는 상품 생산 노동력입니다. 고정 환율이라면 명목GDP 경제 규모 큰 선진국들 국부 효용 가치 있지만, 상품 생산 증가 없이 찍어내는 화폐 유동성 공급 시장 거품 낀 변동 환율에선, 명목 GDP 주요 선진국 경제 규모는 뜯어보면 일본 부채 비율 236%가 넘는 채권 발행 빚일 수 있습니다. 종이로 엔화 찍어내서 종이로 찍어낸 미국채 매입, 빚으로 빚을 구매한 일본 외환보유고 90%가 미국채 일본 GDP 내용입니다. 내 재화 가치 극대화 관점에선, 채권 발행 남발하는 미국 일본 영국과 교역하는 것 보단, 상품 생산하는 인도 중국과 교역하는 것이, 재화 실물인 상품 수입 채권 유출 내 삶의 질 개선될 가능성 높고, 아시아가 선망하는 선진 대한민국 한류 상품 경쟁력이면 충분히 채권 발행 금융 선진국 될 수 있습니다.

미국 달러, EU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국제 상품 무역 지원 국제통화기금 회원국 가맹비로 준비한 황금 2,814톤 근거로 발행하는 특별인출권 SDR 가치 평가 기준 환율 계산하는 5개 화폐중에서 중국 위안을 제외한 4개 화폐가 GDP 대비 화폐 공급 M2를 증가시키는 경기부양=재정적자 집행, 코로나19로 상품 생산 위축된 시장에 유동성 거품 낀 상태인데, 1인 GDP $10,098 후진 상품 생산국인 중국은 전체주의 독재 공산당 집권 코로나19 봉쇄로 조기 진압, 상품 생산 수출 큰 변화없이 2019년 중국 GDP $14조 2020년 $15조로 증가, $21조에서 $20조로 3% 감소한 미국과 명목 GDP 격차 $7조에서 $5조로 줄였고, 구매력 평가 GDP는 중국 $27조 미국 $20조로 몇년전 이미 역전됐고, 트럼프 집권이후 높은 관세 부과와 시장경제 비상식적인 중국 제재로 무역적자 개선 시도했지만, 글로벌 미국 기업 생산 공장이 중국에 있기 때문에, 개선 효과없이 무역적자 악화 그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정말 무역적자 개선하고 싶다면, 미국이 해야 할 일은 우리가 1997년에 했던 IMF 고통스런 구조 조정이 정답, $65,112 대비 $10,098 높은 노동 비용 격차부터 해소 할 필요 있다. 트럼프 대중국 제재로 피해를 본 것은 중국이 아닌, $31,430 한국과 $40,847 일본 생산 공장이 미국으로 이전하는 효과만 봤고, $10,098 중국 공장은 임금이 더 낮은 $2,740 베트남, $2,172 인도로 삼성전자 생산 공장 이전했을뿐이다. 유럽의 경우 $15조로 성장한 중국 내수 시장과 세계 최대 중국 외환보유고 $3.3조 상품 구매력 버리는 선택하지 않았다.

국가별 GDP 순위

같이 보기

각주

  1. “GDP (Official Exchange Rate)” (PDF). World Bank. 2015년 8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