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태그: m 모바일 웹
31번째 줄: 31번째 줄:


== 생애 ==
== 생애 ==
위만은 연나라 사람이다. 기원전 195년경에 [[전한]](前漢)의 연왕(燕王) [[노관]](盧綰)이 모반하여 [[흉노]]로 달아나자 위만은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위만은 [[준왕]]에게 서쪽의 번병(藩屛)이 되기를 청하였고 [[준왕]]은 위만을 [[박사]](博士)로 삼아 100리의 땅을 주고 서쪽 변방을 지키게 하였다. 위만은 변방을 지키면서 연(燕)의 망명한 무리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키웠으며 기원전 194년 무렵에 수도인 왕검성을 공격하여 준왕을 쫓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위만은 [[연나라]] 사람이다. 기원전 195년경에 [[전한]](前漢)의 연왕(燕王) [[노관]](盧綰)이 모반하여 [[흉노]]로 달아나자 위만은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위만은 [[준왕]]에게 서쪽의 번병(藩屛)이 되기를 청하였고 [[준왕]]은 위만을 [[박사]](博士)로 삼아 100리의 땅을 주고 서쪽 변방을 지키게 하였다. 위만은 변방을 지키면서 연(燕)의 망명한 무리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키웠으며 기원전 194년 무렵에 수도인 왕검성을 공격하여 준왕을 쫓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위만은 형식적으로 한나라의 외신(外臣)이 되어 그 대가로 병력과 재물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번군|진번]](眞番)과 [[임둔군|임둔]](臨屯) 등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침략하여 복속시켜 수천리의 영토를 가지게 되었다. 이후의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위만은 형식적으로 한나라의 외신(外臣)이 되어 그 대가로 병력과 재물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번군|진번]](眞番)과 [[임둔군|임둔]](臨屯) 등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침략하여 복속시켜 수천리의 영토를 가지게 되었다. 이후의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0년 10월 31일 (토) 23:48 판

위만
衛滿
위씨 고조선의 1대 국왕
대관식 위만(衛滿)
전임 준왕(단군조선)
후임 (2대)불명
(3대)우거왕
부왕 ?
재위 기원전 194년경~기원전 147년
이름
위만(衛滿)
별호 없음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연호 없음
신상정보
출생일 기원전 227년
출생지 ?
사망일 기원전 147년
사망지 ?
왕조 고조선(古朝鮮)
가문 ?
부친 ?
모친 ?
배우자 ?
종교 없음
묘소 없음

위만(衛滿, 기원전 227년 ~ 기원전 147년경, 재위: 기원전 194년경 ~ 기원전 147년)은 중국 춘추전국시대 (燕)나라 사람으로 고조선에 망명하여 준왕(準王)을 쫓아내고 왕위를 차지한 사람이다.

생애

위만은 연나라 사람이다. 기원전 195년경에 전한(前漢)의 연왕(燕王) 노관(盧綰)이 모반하여 흉노로 달아나자 위만은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위만은 준왕에게 서쪽의 번병(藩屛)이 되기를 청하였고 준왕은 위만을 박사(博士)로 삼아 100리의 땅을 주고 서쪽 변방을 지키게 하였다. 위만은 변방을 지키면서 연(燕)의 망명한 무리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키웠으며 기원전 194년 무렵에 수도인 왕검성을 공격하여 준왕을 쫓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위만은 형식적으로 한나라의 외신(外臣)이 되어 그 대가로 병력과 재물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번(眞番)과 임둔(臨屯) 등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침략하여 복속시켜 수천리의 영토를 가지게 되었다. 이후의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국적 문제

현전하는 사료에는 위만이 연나라 사람이라 기록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일제 강점기에는 식민사학의 일환으로 중국인 위만이 고조선을 식민통치한 것이라 평하였으며, 이에 대항하여 신채호는 위만이 찬탈한 지역은 고조선의 일부 지역에 불과하다 평하기도 했다. 이병도는 위만이 상투를 틀고 조선인 옷을 입었다는 기록을 토대로 위만이 조선 유민 출신이라 추측하였다. 고조선이 진개의 침입으로 요동 일대를 상실했을 때 그 지역에 남아 연나라 국적으로 살았던 조선인이라고 본 것이다.

일제시대 학자들은 위만이 중국인이므로 위만조선은 중국의 식민 정권이라 주장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위만조선이 국호나 정치체제·수도 등을 옮기지 않은 채 기존 고조선의 정체성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므로, 지배층이 중국 출신이라고 해도 국가의 정체성은 고조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고 본다. 중국계 지배층과 고조선의 토착 지배층의 연합 정권적 성격을 가졌다고 보는 것이다.

가계

  • 아들 : 불명
  • 손자 : 우거왕(右渠王)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전대
준왕 {고조선}
제1대 위만조선 국왕
기원전 194년 ~ 기원전 2세기
후대
(2대) 미상
(3대) 우거왕
전임
준왕
한반도의 국가 원수
기원전 194년 ~ ?
후임
미상
우거왕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