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장성 서씨]](長城徐氏) 시조 '''[[서릉]]'''(徐稜)은 [[고려 고종]](高宗) 때 [[전라도]] 장성현(長城縣)의 효자이다.<ref>[http://db.history.go.kr/id/kr_121r_0030_0060_0010 《고려사》 권121 열전 권제34 효우(孝友) 서릉]</ref> 2015년 인구는 10,137명이다.
* [[장성 서씨]](長城徐氏) 시조 '''[[서릉]]'''(徐稜)은 [[고려 고종]](高宗) 때 [[전라도]] 장성현(長城縣)의 효자이다.<ref>[http://db.history.go.kr/id/kr_121r_0030_0060_0010 《고려사》 권121 열전 권제34 효우(孝友) 서릉]</ref> 2015년 인구는 10,137명이다.
* [[연산 서씨]](連山徐氏)의 시조는 '''서준영'''(徐俊英)이나 이후의 문헌이 전하지 않아 서의민(徐義敏)을 1세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7,510명이다.
* [[연산 서씨]](連山徐氏)의 시조는 '''서준영'''(徐俊英)이나 이후의 문헌이 전하지 않아 서의민(徐義敏)을 1세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7,510명이다.
* [[남평 서씨]](南平徐氏) 시조 서호(徐顥)의 손자 '''[[서지 (1468년)|서지]]'''(徐祉, 1468년 ∼ 1537년)가 1498년(연산군 4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1985년 인구는 5,298명이다.
* [[남평 서씨]](南平徐氏) 시조 서호(徐顥)의 손자 '''[[서지 (1468년)|서지]]'''(徐祉, 1468년 ∼ 1537년)가 1498년(연산군 4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EXM_MN_6JOa_1498_002064|서지}}</ref> 1985년 인구는 5,298명이다.
* [[평당 서씨]](平當 徐氏) 시조 서준방(徐俊邦)이 고려조에서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지내고 외적(外敵)을 격퇴시키는데 공(功)을 세워 봉성군(峯城君)에 봉해지고 그의 아들 서약진(徐若珍)과 손자 서숭조(徐崇祖)에 이르기까지 3대가 봉성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 [[평당 서씨]](平當 徐氏) 시조 서준방(徐俊邦)이 고려조에서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지내고 외적(外敵)을 격퇴시키는데 공(功)을 세워 봉성군(峯城君)에 봉해지고 그의 아들 서약진(徐若珍)과 손자 서숭조(徐崇祖)에 이르기까지 3대가 봉성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 [[봉성 서씨]](峯城 徐氏) 시조는 서극(徐克)이다.
* [[봉성 서씨]](峯城 徐氏) 시조는 서극(徐克)이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대구 서씨 ==
== 대구 서씨 ==
{{본문|대구 서씨}}
{{본문|대구 서씨}}
'''[[대구 서씨]]'''(大丘 徐氏)의 시조 '''서한'''(徐閈)은 [[고려]]조에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다. 7세손 서익진(徐益進) 증손자인 '''[[서거정]]'''(徐居正)이 1444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형조판서,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며, 좌찬성으로서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다. 2015년 인구는 97,866명이다.
'''[[대구 서씨]]'''(大丘 徐氏)의 시조 '''서한'''(徐閈)은 [[고려]]조에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다. 이후 계대가 실전되어 7세손 서익진(徐益進)을 중시조로 한다. 서익진의 증손자인 [[서거정]](徐居正)이 1444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형조판서,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며, 좌찬성으로서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다. 2015년 인구는 97,866명이다.


== 부여 서씨 ==
== 부여 서씨 ==
'''[[부여 서씨]]'''(扶餘 徐氏)의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그는 660년(의자왕 20)에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패하면서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에 압송되었는데, [[당 고종]]이 본래의 성씨인 ‘부여(扶餘)’를 ‘서(徐)’씨로 바꾸고 웅진도독으로 삼아 본국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그 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태원군(太源君)에 봉해진 서존(徐存)을 1세조로 받들고 [[부여군|부여]]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부여 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03_233_0208|부여 서씨}}</ref> 인물로는 [[서익]], [[서필원]]이 있다. 2015년 인구는 17,145명이다.
'''[[부여 서씨]]'''(扶餘 徐氏)의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그는 660년(의자왕 20)에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패하면서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에 압송되었는데, [[당 고종]]이 본래의 성씨인 ‘부여(扶餘)’를 ‘서(徐)’씨로 바꾸고 웅진도독으로 삼아 본국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그 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태원군(太源君)에 봉해진 서존(徐存)을 1세조 한다. [[부여 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서익]](徐益)의 증손자인 [[서필원]](徐必遠)1648년 문과에 급제하여 1671년(현종 12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17,145명이다.


==남양 서씨 / 당성 서씨 ==
== 남양 서씨 / 당성 서씨 ==
'''[[남양 서씨]]'''(南陽 徐氏)의 시조 '''서간'''(徐趕)이 [[당나라]] 8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경기도 당성(唐城)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서간(徐趕)의 12세손으로 교리(校理)를 지낸 서원길의 둘째 아들인 서득부(徐得富)가 [[당성 서씨]]로 분파하였다고 한다. 인물로는 [[조선]]시대 [[북인]] [[서경덕]], 교육부 장관을 지낸 [[서남수]]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남양 서씨 1,725명, 당성 서씨 104명이다.
'''[[남양 서씨]]'''(南陽 徐氏)의 시조 '''서간'''(徐趕)이 [[당나라]] 8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경기도 당성(唐城)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서간(徐趕)의 12세손으로 교리(校理)를 지낸 서원길의 둘째 아들인 서득부(徐得富)가 [[당성 서씨]]로 분파하였다고 한다. 인물로는 [[조선]]시대 [[북인]] [[서경덕]], 교육부 장관을 지낸 [[서남수]]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남양 서씨 1,725명, 당성 서씨 104명이다.



2020년 10월 20일 (화) 12:33 판

(徐)씨는 중국한국의 성씨이다. 서(徐)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751,704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순위 13위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따르면 단군조선 예국군장(濊國君長) 여수기(余守己)가 서(徐) 성을 하사받은 것이 기원이다.

이천 서씨

이천 서씨(利川 徐氏) 시조 서신일(徐神逸)이 통일신라 말기 교외에 살 때 사슴이 뛰어 들어오자 화살을 뽑아주고 숨겨주었더니 사냥꾼이 와서 찾지 못하고 돌아갔다.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 감사해하면서 “사슴은 내 아들인데 공에게 힘입어 죽지 않았으니 공의 자손으로 하여금 대대로 재상(宰相)이 되게 하리다.”라고 말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80세에 서필(徐弼)을 낳았는데, 서필, 서희(徐熙), 서눌(徐訥) 3대가 고려의 재상(宰相)이 되어 내의령(內議令)·내사령(內史令)·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으며, 배향공신이 되었다.[1] 이천(利川)이란 지명은 935년 고려 태조 왕건후백제를 정벌할 때 이곳에 살던 서목(徐穆)이 강을 건너는 데 도움을 준 데서 비롯됐다. 서희의 아들 서유걸(徐維傑)이 좌복야(左僕射), 손자인 서정(徐靖)이 판삼사사(判三司事), 증손자인 서균(徐鈞)이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현손인 서공(徐恭)이 평장사(平章事)에 올랐으며, 서순(徐淳)은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를 역임하는 등 고려의 문벌 귀족으로 성장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99,792명이다.

  • 장성 서씨(長城徐氏) 시조 서릉(徐稜)은 고려 고종(高宗) 때 전라도 장성현(長城縣)의 효자이다.[2] 2015년 인구는 10,137명이다.
  • 연산 서씨(連山徐氏)의 시조는 서준영(徐俊英)이나 이후의 문헌이 전하지 않아 서의민(徐義敏)을 1세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7,510명이다.
  • 남평 서씨(南平徐氏) 시조 서호(徐顥)의 손자 서지(徐祉, 1468년 ∼ 1537년)가 1498년(연산군 4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3] 1985년 인구는 5,298명이다.
  • 평당 서씨(平當 徐氏) 시조 서준방(徐俊邦)이 고려조에서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지내고 외적(外敵)을 격퇴시키는데 공(功)을 세워 봉성군(峯城君)에 봉해지고 그의 아들 서약진(徐若珍)과 손자 서숭조(徐崇祖)에 이르기까지 3대가 봉성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 봉성 서씨(峯城 徐氏) 시조는 서극(徐克)이다.

달성 서씨

달성 서씨(達城徐氏) 시조 서진(徐晉)이 고려조에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4세손 서균형(徐鈞衡, 1340년 ~ 1391년)이 1360년(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하고, 1390년 예문관대제학을 거쳐 1391년 양광도관찰사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407,431명이다.

대구 서씨

대구 서씨(大丘 徐氏)의 시조 서한(徐閈)은 고려조에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다. 이후 계대가 실전되어 7세손 서익진(徐益進)을 중시조로 한다. 서익진의 증손자인 서거정(徐居正)이 1444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형조판서,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며, 좌찬성으로서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다. 2015년 인구는 97,866명이다.

부여 서씨

부여 서씨(扶餘 徐氏)의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그는 660년(의자왕 20)에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패하면서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에 압송되었는데, 당 고종이 본래의 성씨인 ‘부여(扶餘)’를 ‘서(徐)’씨로 바꾸고 웅진도독으로 삼아 본국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그 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태원군(太源君)에 봉해진 서존(徐存)을 1세조 한다. 부여 서씨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서익(徐益)의 증손자인 서필원(徐必遠)이 1648년 문과에 급제하여 1671년(현종 12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17,145명이다.

남양 서씨 / 당성 서씨

남양 서씨(南陽 徐氏)의 시조 서간(徐趕)이 당나라 8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경기도 당성(唐城)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서간(徐趕)의 12세손으로 교리(校理)를 지낸 서원길의 둘째 아들인 서득부(徐得富)가 당성 서씨로 분파하였다고 한다. 인물로는 조선시대 북인 서경덕, 교육부 장관을 지낸 서남수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남양 서씨 1,725명, 당성 서씨 104명이다.

절강 서씨

절강 서씨(浙江 徐氏)의 시조(始祖)는 중국 절강성 출신 서해룡(徐海龍)이다. 그의 증손 서학(徐鶴)이 1597년(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도총관(都摠管)으로 원병을 이끌고 조선에 건너와 여러 전투에서 공(功)을 세우고 경상북도 성주군 대동방(大同坊)에 정착하여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그 후 후손들이 서해룡을 시조로 받들고 선조의 고향인 절강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잇게 되었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758명이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