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Vacuum manifold(토론)의 27398313판 편집을 되돌림 comment:되돌릴 이유가 없습니다 토론을 통해 해결 바랍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한국사}}
{{한국사}}


'''고구려'''(高句麗)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신라]] 및 [[백제]]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국가이다. [[5세기]] [[장수왕]] 때 국호를 '''고려'''(高麗)로 변경하였으나, [[고려 태조|왕건]]이 건국한 [[고려|같은 이름의 왕조]]와 구분하기 위해 고구려로 통칭되고 있다.
'''고구려'''(高句麗)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신라]] 및 [[백제]]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국가이다. [[5세기]] [[장수왕]] 때 국호를 '''고려'''(高麗)로 변경하였으나, [[고려 태조|왕건]]이 건국한 [[고려|같은 이름의 왕조]]와 구분하기 위해 고구려로 통칭되고 있다. 고구려(Koguryŏ)의 축약 형 이름인 고려(Koryŏ)라는 이름은 <ref>{{웹 인용|title=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url=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2340&content_id=rp070309330002&print=Y|website=문화콘텐츠닷컴|publisher=Korea Creative Content Agency|accessdate=6 February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119100108/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2340&content_id=rp070309330002&print=Y|archive-date=19 November 2018|url-status=dead}}</ref> [[한반도]] 지역에 건국된 [[대한민국]] 정부({{llang|en|Republic of Korea}})의 영문명 '''"[[코리아]](Korea)"'''의 유래다.


전성기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중부 일대, [[동북 3성|동북 지역]] 및 [[프리모르스키 지방|연해주]] 일대, [[만주]] 지역, [[몽골 다리강가 고분]]이 발견되어 몽골 동부까지 지배한 것으로 알려졌다.<ref name="다리강가">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5764&cid=40942&categoryId=34039, 몽골 다리강가],2009년.</ref><ref>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094</ref><ref>중국의 [[동북삼성]]과 [[내몽골]] 동부,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통틀어 [[만주]]라고 한다.</ref> 게다가 [[요동]]·[[랴오허 강|요수]]의 [[한족|한족·]][[거란]]·[[돌궐]]·[[말갈]](만주족, 여진)·[[선비족|선비]] 등을 정복하고 통치하기도 한 나라이다. 또한 갈석산(제스산)과 싱안링산맥(흥안련산맥), 아무르강과 쑹화강(송화강), 연해주를 모두 포함했다는 가설도 있다.
전성기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중부 일대, [[동북 3성|동북 지역]] 및 [[프리모르스키 지방|연해주]] 일대, [[만주]] 지역, [[몽골 다리강가 고분]]이 발견되어 몽골 동부까지 지배한 것으로 알려졌다.<ref name="다리강가">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5764&cid=40942&categoryId=34039, 몽골 다리강가],2009년.</ref><ref>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094</ref><ref>중국의 [[동북삼성]]과 [[내몽골]] 동부,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통틀어 [[만주]]라고 한다.</ref> 게다가 [[요동]]·[[랴오허 강|요수]]의 [[한족|한족·]][[거란]]·[[돌궐]]·[[말갈]](만주족, 여진)·[[선비족|선비]] 등을 정복하고 통치하기도 한 나라이다. 또한 갈석산(제스산)과 싱안링산맥(흥안련산맥), 아무르강과 쑹화강(송화강), 연해주를 모두 포함했다는 가설도 있다.

[[대한민국]]은 [[보장왕]]의 아들 왕족 [[보덕왕]]이 고구려를 계승하여 고구려유민을 이끌고 [[전라북도]] [[익산시]]일대에 세운 [[보덕국]](報德國)의 수도 [[익산 토성|보덕성]](報德城)이 있으며 사적 제92호로 관리된다. [[보장왕]]의 아들이자 [[보덕왕]]의 동복형인 왕족 [[고인승]]을 시조로하는 [[강원도]] [[횡성]] 본관의 [[횡성 고씨]](橫城 高氏) 종친회가 있다.

[[충청북도]] [[충주시]]에는 [[장수왕]]이 세웠다는 국보 제205호 [[충주 고구려비|중원 고구려비]](中原 高句麗碑)가 있으며 [[경기도]] [[구리시]]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2004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사적 제455호 고구려 [[아차산 일대 보루군]] 유적이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23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평강공주]]와 [[온달]]의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구리시]] [[교문2동]]에는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위한 [[광개토대왕 동상]]이 위치한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1&aid=0001951113 문화일보 광개토대왕릉비 ‘완벽 재현’]</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097620 연합뉴스 구리시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제막]</ref>


== 역사 ==
== 역사 ==
77번째 줄: 81번째 줄:
665년에 [[연개소문]]이 죽자 그의 아들 연남생·연남산 형제 사이에 막리지 자리를 둘러싸고 내분이 일어났다.<ref name="destruction"/> 그 결과 남생은 [[국내성]]으로 쫓겨난 뒤 항복하였으며, 연개소문의 아우 연정토는 [[신라]]에 투항하였다. 결국 668년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에게 멸망하였다.고구려의 마지막 보장왕의 아들 [[안승]](고안승)이 신라에 귀순하여 김씨성을 하사받았다. [[669년]] [[당나라]]는 고구려 지배층을 중심으로 약 3만호를 중국의 오르도스 지역 등으로 집단 이주시켰고, 그 흔적이 실크로드에 남아 있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3803099 유홍준 "실크로드에서 고구려 유민 후예의 무덤을 보니..."] [[중앙일보]] [[2020년]] [[6월 16일]]</ref>
665년에 [[연개소문]]이 죽자 그의 아들 연남생·연남산 형제 사이에 막리지 자리를 둘러싸고 내분이 일어났다.<ref name="destruction"/> 그 결과 남생은 [[국내성]]으로 쫓겨난 뒤 항복하였으며, 연개소문의 아우 연정토는 [[신라]]에 투항하였다. 결국 668년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에게 멸망하였다.고구려의 마지막 보장왕의 아들 [[안승]](고안승)이 신라에 귀순하여 김씨성을 하사받았다. [[669년]] [[당나라]]는 고구려 지배층을 중심으로 약 3만호를 중국의 오르도스 지역 등으로 집단 이주시켰고, 그 흔적이 실크로드에 남아 있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3803099 유홍준 "실크로드에서 고구려 유민 후예의 무덤을 보니..."] [[중앙일보]] [[2020년]] [[6월 16일]]</ref>


그러나 고구려 멸망 이후 [[검모잠]], [[안승]] 등에 의해 고구려 부흥 운동이 지속되었으며, 안시성과 요동성 및 일부 요동의 성은 고구려 멸망 이후인 671년까지 [[당나라]]에 항전하였다. 또한 [[보장왕]]도 [[말갈]]과 함께 나라를 다시 세우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 결국 698년에 고구려의 장수 출신인 [[대조영]]이 [[만주]] 동부의 동모산 일대에서 [[발해]]를 건국하면서 고구려 부흥 운동은 일단락되고, 고구려는 [[발해]]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리고 발해가 고구려의 옛 영토를 거의 모두 수복하고, 동북쪽 영토를 고구려보다 더욱 확장했다.<ref> 발해의 최대판도는 사실 9세기 중반 선왕~대이진 시기의 지도이고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 이미 9세기 말이면 한반도 영역 대부분을 잃은 것으로 보이고 어쩌면 5경 중 하나인 남경남해부도 이 시기에 상실했을 가능성이 있다.</ref> 발해는 매우 번영하여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고구려 멸망 이후 [[검모잠]], [[보덕왕]] 등의 고구려 부흥 운동이 지속되었으며, 안시성과 요동성 및 일부 요동의 성은 고구려 멸망 이후인 671년까지 [[당나라]]에 항전하였다. [[보덕왕]]은 [[신라]] [[문무왕]]에게 [[보덕국]]왕으로 책봉받고 [[전라북도]] [[익산시]]일대에 고구려를 계승한 [[보덕국]]을 건국하였다. [[보덕국]]은 고려 국호를 사용하며 [[신라]]의 [[괴뢰국]] 역할을 하다가 귀족과 백성 모두 [[신라]] 정계와 군대로 편입되었다.
또한 [[보장왕]]도 [[말갈]]과 함께 나라를 다시 세우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 결국 698년에 고구려의 장수 출신인 [[대조영]]이 [[만주]] 동부의 동모산 일대에서 [[발해]]를 건국하면서 고구려 부흥 운동은 일단락되고, 고구려는 [[발해]]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리고 발해가 고구려의 옛 영토를 거의 모두 수복하고, 동북쪽 영토를 고구려보다 더욱 확장했다.<ref> 발해의 최대판도는 사실 9세기 중반 선왕~대이진 시기의 지도이고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 이미 9세기 말이면 한반도 영역 대부분을 잃은 것으로 보이고 어쩌면 5경 중 하나인 남경남해부도 이 시기에 상실했을 가능성이 있다.</ref> 발해는 매우 번영하여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고도 불렸다.


== 국호 ==
== 국호 ==
228번째 줄: 234번째 줄:


== 기타 ==
== 기타 ==
고구려(高句麗)의 한국어 독음이 고구려가 아니라 ‘'''고구리'''’라는 의견이 있다.<ref>{{서적 인용
고구려(Koguryŏ)의 축약 형 이름인 고려(Koryŏ)라는 이름은 <ref>{{웹 인용|title=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url=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2340&content_id=rp070309330002&print=Y|website=문화콘텐츠닷컴|publisher=Korea Creative Content Agency|accessdate=6 February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119100108/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2340&content_id=rp070309330002&print=Y|archive-date=19 November 2018|url-status=dead}}</ref> [[한반도]] 지역에 건국된 [[대한민국]] 정부({{llang|en|Republic of Korea}})의 영문명 '''"[[코리아]](Korea)"'''의 유래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구려(高句麗)의 한국어 독음이 고구려가 아니라 ‘'''고구리'''’라는 의견이 있다.<ref>{{서적 인용
|저자=신복룡
|저자=신복룡
|제목=한국사 새로 보기|날짜=2001-12-20
|제목=한국사 새로 보기|날짜=2001-12-20
237번째 줄: 243번째 줄:
|쪽=261쪽
|쪽=261쪽
}}</ref> 이는 麗의 독음이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는 ‘리’로 발음된다는 음운 법칙에서 비롯되었다.<ref>《획수로 찾는 실용옥편사전》(2002년 1월 10일) 923쪽</ref><ref>《고금한한자전》(1995년 11월 15일) 150쪽</ref><ref>《한한대사전》(1996년 5월 25일) p. 1772~1773</ref><ref>《한·일·영·중 겸용 한한대사전》(1992년 3월 10일) 1195쪽</ref>
}}</ref> 이는 麗의 독음이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는 ‘리’로 발음된다는 음운 법칙에서 비롯되었다.<ref>《획수로 찾는 실용옥편사전》(2002년 1월 10일) 923쪽</ref><ref>《고금한한자전》(1995년 11월 15일) 150쪽</ref><ref>《한한대사전》(1996년 5월 25일) p. 1772~1773</ref><ref>《한·일·영·중 겸용 한한대사전》(1992년 3월 10일) 1195쪽</ref>

[[신라]] [[문무왕|문무대왕]]은 [[보장왕]]의 후손인 [[보덕왕|고보덕]]을 [[보덕국]]왕(報德國王)으로 임명하고 [[신라]]의 [[익산시|금마저]] 일대를 하사하였으며, 그 수도였던 [[익산 토성|보덕성]](報德城)은 현재 사적 제92호로 관리되고 있다.

[[보장왕]]의 아들이자 [[보덕왕]]의 동복형인 왕족 [[고인승]]을 시조로 하는 [[강원도]] [[횡성]] 본관의 [[횡성 고씨]](橫城 高氏)가 있다.

[[충청북도]] [[충주시]]에는 [[장수왕]]이 세웠다는 국보 제205호 [[충주 고구려비|중원 고구려비]](中原 高句麗碑)가 있으며 [[경기도]] [[구리시]]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2004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사적 제455호 고구려 [[아차산 일대 보루군]] 유적이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23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평강공주]]와 [[온달]]의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구리시]] [[교문2동]]에는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위한 [[광개토대왕 동상]]이 위치한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1&aid=0001951113 문화일보 광개토대왕릉비 ‘완벽 재현’]</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097620 연합뉴스 구리시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제막]</ref>


그러나 [[조선|조선시대]]에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나타난 [[한글]] 문헌에 따르면, 고구려라 나타나고<ref>《삼강행실도》, [[1434년]]([[조선 세종|세종]] 16) 초간, [[조선 중종|중종]] 연간에 언해, [[경상남도|경남]] 유형문화재 제160호</ref> 《대동지지》에는 “(중국인이나 음운학 책과 달리) 우리나라 사람은 ‘려’라 바꾸어 부르고 있다.”<ref>“東人變呼音呂” ([[김정호]], 《대동지지》〈방여총지〉권4, 19세기)</ref>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도 麗는 ‘려’로 읽는다는 예외도 있는 등<ref>《한국한자어사전》 권4([[1996년]] [[11월 3일]]) 991쪽</ref><ref>두산동아(옛 동아출판사 포함)에서 펴낸 《동아백년옥편(탁상판)》(초판 7쇄, [[2003년]] [[1월 10일]]) 2264쪽</ref><ref>《동아 한한대사전》([[1982년]] [[10월 25일]]) 2181쪽</ref> 해당 주장은 신빙성이 낮다.
그러나 [[조선|조선시대]]에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나타난 [[한글]] 문헌에 따르면, 고구려라 나타나고<ref>《삼강행실도》, [[1434년]]([[조선 세종|세종]] 16) 초간, [[조선 중종|중종]] 연간에 언해, [[경상남도|경남]] 유형문화재 제160호</ref> 《대동지지》에는 “(중국인이나 음운학 책과 달리) 우리나라 사람은 ‘려’라 바꾸어 부르고 있다.”<ref>“東人變呼音呂” ([[김정호]], 《대동지지》〈방여총지〉권4, 19세기)</ref>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도 麗는 ‘려’로 읽는다는 예외도 있는 등<ref>《한국한자어사전》 권4([[1996년]] [[11월 3일]]) 991쪽</ref><ref>두산동아(옛 동아출판사 포함)에서 펴낸 《동아백년옥편(탁상판)》(초판 7쇄, [[2003년]] [[1월 10일]]) 2264쪽</ref><ref>《동아 한한대사전》([[1982년]] [[10월 25일]]) 2181쪽</ref> 해당 주장은 신빙성이 낮다.

2020년 8월 24일 (월) 12:40 판

고구려
(5세기 이전)
고려
(5세기 이후)
高句麗
高麗

 

 

 

기원전 37년~서기 668년
 

 

 

표어天帝之子[1]
천제지자
476년경 고구려 강역.
476년경 고구려 강역.
수도졸본성(기원전 37년 ~ 3년)
국내성(3년 ~ 427년)
평양성(427년 ~ 668년)[2]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
371년 ~ 384년
392년 ~ 413년
413년 ~ 491년
642년 ~ 668년

동명성왕(초대)
소수림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보장왕(말대)
국상
166년 ~ 179년
294년 ~ ?
대막리지
642년 ~ 665년
666년 ~ 668년

명림답부(초대)
창조리(말대)

연개소문(초대)
연남건(말대)
국성고씨
입법부제가회의
역사
역사적 시대삼국 시대
 • 건국
 • 충주 고구려비 축조
 • 광개토대왕비 축조
 • 살수 대첩
 • 막리지의 난
 • 주필산 전투
 • 안시성 전투
 • 사수 대첩
 • 평양성 함락
기원전 37년
5세기
414년
612년 7월
642년 음력 10월
645년 6월 23일
645년 8월 10일
662년
668년 10월 21일
인문
공통어고구려어
한문[a]
데모님고구려인
민족예맥, , 말갈, 거란, 선비, 실위
인구
668년 어림69만호[3][4][5]
종교
국교불교
기타 종교유교, 도교, 무속신앙
기타
현재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기 러시아

고구려(高句麗)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신라백제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국가이다. 5세기 장수왕 때 국호를 고려(高麗)로 변경하였으나, 왕건이 건국한 같은 이름의 왕조와 구분하기 위해 고구려로 통칭되고 있다. 고구려(Koguryŏ)의 축약 형 이름인 고려(Koryŏ)라는 이름은 [6] 한반도 지역에 건국된 대한민국 정부(영어: Republic of Korea)의 영문명 "코리아(Korea)"의 유래다.

전성기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중부 일대, 동북 지역연해주 일대, 만주 지역, 몽골 다리강가 고분이 발견되어 몽골 동부까지 지배한 것으로 알려졌다.[7][8][9] 게다가 요동·요수한족·거란·돌궐·말갈(만주족, 여진)·선비 등을 정복하고 통치하기도 한 나라이다. 또한 갈석산(제스산)과 싱안링산맥(흥안련산맥), 아무르강과 쑹화강(송화강), 연해주를 모두 포함했다는 가설도 있다.

대한민국보장왕의 아들 왕족 보덕왕이 고구려를 계승하여 고구려유민을 이끌고 전라북도 익산시일대에 세운 보덕국(報德國)의 수도 보덕성(報德城)이 있으며 사적 제92호로 관리된다. 보장왕의 아들이자 보덕왕의 동복형인 왕족 고인승을 시조로하는 강원도 횡성 본관의 횡성 고씨(橫城 高氏) 종친회가 있다.

충청북도 충주시에는 장수왕이 세웠다는 국보 제205호 중원 고구려비(中原 高句麗碑)가 있으며 경기도 구리시서울특별시 광진구에 2004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사적 제455호 고구려 아차산 일대 보루군 유적이 있다.[10] 평강공주온달의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구리시 교문2동에는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위한 광개토대왕 동상이 위치한다.[11][12]

역사

성립

동부여 금와왕의 양자라 전해지는 추모가 등장하는 삼국사기의 설화와 졸본부여의 동명성왕 설화가 있다. 산악 지대로 인한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복 전쟁을 벌였으며, 특히 한나라와 부여, 고대 소국과의 투쟁 속에서 성장하였다. 초기에는 북쪽의 북부여와 동쪽의 동부여가 강하여 요동, 요서 방향을 공략하였다. 중국 사서에서는 유리명왕 시절 신나라를 공격했다.[13] 고구려는 6대 태조왕 이후 중앙의 계루부(桂婁部)와 서부의 소노부(消奴部), 북부의 절노부(絶奴部), 동부의 순노부(順奴部), 남부의 관노부(灌奴部) 등 다섯 부족으로 이루어진 연맹 왕국으로 성장했다.

고구려는 이때부터 고대 국가로 발전하게 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고구려본기(高句麗本紀)〉에 따르면 기원전 37년 부여계인 동명왕(東明王)이 졸본(卒本)에 도읍해 국호를 졸본부여로 정한 것이 기원이며, 《위서(魏書)》에 따르면 흘승골성(紇升骨城)[14]에 도읍했다고 한다.[15] 기원후 3년에는 동명성왕의 아들 유리왕국내성(國內城)으로 천도하고 위나암성(尉那巖城)을 쌓았다.

고구려는 권력 체계를 정비하고 주변 연맹체를 침략하여 북옥저와 졸본, 국내성 지역을 정복하였다. 농안을 근거지로 성장한 부여가 기원전 6년13년 복속하기를 요구하였지만, 반대로 고구려가 21년에 부여 정벌을 감행하여 대소왕을 살해하였다. 28년 한나라가 군사를 일으켰지만 고구려는 국내성에서 농성을 펼치며 막아냈고, 32년 낙랑국을 공격하면서 다시 성장했다.

53년, 태조왕이 즉위하면서 5대 부족은 행정 단위인 5부로 통합되었다. 고구려는 군사권과 외교권이 왕에게 귀속되는 고대 국가로 발전하였고, 계루부 출신의 고씨가 소노부를 물리치고 독점적으로 왕위를 계승하였다.[16] 그리고 동으로는 옥저·동예(東濊), 남으로는 살수(薩水), 북으로는 부여(夫餘)를 압박하고, 서로는 한의 요동군·현도군과 대립하였다.

한편, 태조왕 이후 5대 부족은 중앙 귀족으로 서서히 통합되었으나 빈농이 노비로 전락하는 사례가 증가하자, 194년 고국천왕은 봄에 곡식을 빌리고 가을에 갚게하는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여 빈농을 구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197년에 즉위한 산상왕(山上王) 때에 이르러서는 왕위의 형제 상속이 배제되고 부자 상속제가 확립되어 왕권이 강해졌다. 이는 약탈로 경제를 유지하던 고구려가 동해안의 옥저를 무력으로 복속시키고 한사군을 약탈하면서 경제가 안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복 활동은 246년(동천왕 16년) 위나라(魏)의 관구검(毌丘儉)이 침공하면서 위축되었다.

빈농이 늘어나고 귀족의 노예가 되는 자유민이 증가하자, 고국천왕은 194년에 봄에 곡식을 빌리고 가을에 갚게하는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여 빈농을 구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또한 고국천왕(故國川王)은 왕위의 형제 상속을 부자 상속으로 확립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산상왕(山上王) 때에 이르러서야 왕위의 부자 상속제가 확고히 되었다.

위기와 극복

본래 요동은 공손씨(公孫氏)가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魏)나라가 공손씨를 정복하고 동쪽으로 진출하자, 242년 고구려 동천왕(東川王)은 압록강 어귀의 서안평(西安平)을 선제 공격하며 퇴로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246년 위나라 장군 관구검이 고구려의 수도 환도성(丸都城)을 함락하면서 동천왕은 옥저로 피난하게 되었다.[17] 이후 밀우와 유유의 활약으로 겨우 위나라 군이 물러났고, 결국 고구려는 서쪽 평양성으로 천도하였다.

4세기에 이르러 고구려는 정복 활동을 재개하였다. 미천왕(美川王)은 봉상왕창조리와 함께 내쫓고, 위(魏)를 이은 진(晋)의 세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311년, 낙랑군을 공격하고 서안평을 점령하였다. 313년 낙랑군(樂浪郡), 314년 대방군(帶方郡)이 항복함으로써 고구려는 압록강을 벗어나 대동강 유역을 정복하게 되었다.

그러나 고국원왕(故國原王) 대인 339년부터 343년까지 선비족 모용씨가 건국한 전연(前燕)의 모용황의 공격을 받았고 국력이 약화되었다.[18] 이후 고구려는 요동을 포기하고, 369년 백제의 치양성(雉壤城: 지금의 황해도 배천군)을 공략하였는데, 371년 백제의 근초고왕(近肖古王)의 공격을 받아 고국원왕이 전사하는 국가적 위기를 맞았다.

백제와 북방 민족의 양면 협공에 시달리던 고구려의 소수림왕(小獸林王)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 체제를 완성하고 중흥을 시도하였다. 372년 소수림왕은 전연(前燕)을 정복한 전진(前秦)과 우호관계를 맺고 새로 전래된 불교를 받아들여 국교로 삼았다. 또한 관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태학(太學)을 세웠으며, 율령(律令)을 반포하여 법치주의를 확립하였다.

광개토대왕

소수림왕의 중흥을 기반으로 5세기 광개토왕은 정복 활동을 재개하였다. 391년 광개토왕 즉위 원년, 고구려는 남쪽의 백제를 먼저 공격하였으며 1년 동안 백제를 수차례 공격하여 백제를 약화시켰다. 396년, 위례성을 포위하였고, 아신왕이 항복하며 고구려에 복속되기를 청하였다. 한편, 400년 신라가 백제의 사주를 받은 가야·의 공격으로 위기에 처하자, 광개토대왕은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왜를 격파하고 금관가야의 종발성까지 진군하였다. 그러나 이 틈을 타서 후연이 고구려 북쪽 500리 땅을 점령하였다.

백제와 가야, 왜를 격파한 광개토왕은 402년부터 거란족을 이용하여 후연(後燕)의 성들을 공략하였고, 결국 후연에서 정변이 일어나 모용운이 정권을 탄핵하고 북연을 건국하게 된다. 이에 북연과 친선을 맺어 전쟁을 피했다. 북쪽으로는 숙신(肅愼), 거란비려(碑麗)를 복속했으며, 동으로는 읍루(挹婁)를 정벌하였고, 쇠약해진 부여와 동예를 병합하였다. 또한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써서 중국 왕조와 대등해졌음을 보였다.

광개토대왕의 업적은 지금의 만주 통구(通衢)에 있는 광개토왕릉비에 기록되어 있다.[19] 한편, 최근에 지안(集安) 고구려비가 광개토왕이 고국양왕을 위해 세운 수묘비가 발견되었다.[20]

장수왕

위서에는 장수왕 대의 고구려가 해외를 조종하고 오랑캐들인 구이(九夷)들을 모두 정벌했다고 한다.[21] 남제서는 북위가 고구려의 사신과 남제의 사신을 나란히 앉게 하여 고구려와 남제를 동급의 국력으로 취급하여 남제의 사신이 북위의 사신에게 항의하였으나 북위의 사신이 답하길 "그 자리도 높은 자리이니 그것으로 족할 것이다"라고 답하였다.[22] 또한 남제가 북위에 사신을 보냈지만 고구려의 세력이 강성하여 남제의 제의를 받지 않았다고 하였다.[23]

435년 북위의 침공을 받은 북연은 고구려에게 망명을 요청했고, 장수왕은 갈로와 맹광을 보내어 북연의 수도인 용성(조양)에서 북위의 군대와 대치하였다. 결국 북위의 장군 고필은 전세가 불리하여 회군하였고, 고구려군은 북연의 황제 풍홍을 고구려로 안전하게 이송시켰다. 그러나 풍홍은 고구려가 자신을 박대하자 송나라에 구출을 요청하였고, 이에 장수왕은 손수와 고구 등을 보내어 풍홍의 모후와 처자만 남겨두고 풍홍을 살해하였다. 그러자 송나라는 왕백구와 7천명의 군사를 파견하여 손수와 고구를 기습하였다. 이에 장수왕은 왕백구를 사로잡고 송나라로 압송하였고, 송나라는 왕백구를 옥에 가두었다가 나중에 놓아주었다. 한편, 435년 북위는 고구려의 정벌을 논의하였는데, 북위의 낙평왕 비(丕)의 주청으로 중지하였다. 대신 고구려의 정세를 파악하고자 이오를 파견했다. 이오는 위나라보다 인구가 3배는 된다고 보고하여 고구려의 강성함을 알렸다.

북위 헌문제의 풍태후는 안락왕 진과 상서 이부(李敷) 등을 고구려의 국경까지 보내어 예물을 보내었지만, 고구려의 장수왕은 거절하였다. 이후에도 장수왕은 북위 효문제에게 혼인을 요구하였고, 결국 효문제는 고구려 출신의 문소태후를 받아들였다. 문소태후의 형제인 고조(高肇) 일당은 선무제의 집권 시기에 크게 세력을 키워 정권을 잡았다.[24]

장수왕 직후 북위는 고구려에 스스로 예의를 표하였다.[25]

평양 천도와 남진 정책

413년, 장수왕대흥안령 일대를 공격하는 한편, 유연과 함께 지두우족을 분할 점령하려고 했지만 실패하였다. 남조와 교류하면서 북조를 견제하였고, 427년(장수왕 15)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그러자 백제의 비유왕은 위협을 느껴 신라에 동맹을 요청하였고, 433년 · 동맹이 성사되었다. 게다가 개로왕은 북위(北魏)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를 공격해달라고 요청했고, 이에 장수왕은 승려 도림(道琳)을 간첩으로 보내며 백제 정복을 준비하였다. 475년 고구려는 백제의 수도 위례성을 함락하여 한강 유역을 점령하였고, 개로왕을 살해하였다.[26] 그리고 죽령(竹嶺)까지 차지하며 남진 정책을 펼쳤다. 고구려는 만주를 정복하여 대흥안령까지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당대 동북아시아의 패권을 확보하였다.[27]

국력의 쇠퇴

고구려는 6세기 들어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안원왕(安原王) 때에 이르러서는 왕위 계승을 놓고 왕족 간에 내전이 벌어졌다. 이러한 내분을 틈타 551년 신라와 백제는 연합군을 조직하여 북진을 감행하였고 한강 유역을 빼앗았다. 한편, 북쪽에서는 돌궐(突厥)이 발흥하였다. 또한 위·진·남북조로 분열된 중국 대륙을 589년 수나라가 통일함으로써 고구려는 위협을 받기 시작하였다.[28]

수나라와의 전쟁

북위에서 북제, 북주, 수나라, 당나라로 이어지는 무천진 선비족들은 2세기부터 중국인들을 정복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고구려인들은 선비족과 경쟁하며 요동과 만주, 북연 등 중국인들을 정복하였는데 고구려보다 더 많은 남쪽의 중국인 한족들을 정복하여 예속시킨 (隋)나라가 중국 대륙을 정복하고 고구려에 친조를 요구하였다. 고구려가 이를 완강히 거부하고 고구려인 강이식이 "칼로 대답하자" 하여 고구려와 나라는 598년·612년·613년·614년에 전쟁이 있었다. 598년 고구려는 요서에 군대를 향하게 하여 요서를 선제 공격하여 정복하자 이를 계기로 수나라의 수 문종은 수나라군 30만 육군과 10만 수군을 보내 반격하였다. 하지만 수나라 육군은 요동에 다다르기도 전에 장마로 인해 돌림병이 돌고 군량미가 떨어져 퇴각했으며, 수군도 풍랑을 만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612년 수 양종은 113만 대군을 이끌고 요동으로 출병하였다. 수 양종는 내호아를 수군총관으로 임명하여 평양성을 공격하였고 수나라군은 요동성으로 진격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의 요동성은 수나라군을 물리친다. 결국 수 양종은 우중문우문술을 각각 우장군과 좌장군으로 임명하여 30만의 별동대를 평양을 공격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살수에서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이끄는 고구려군에게 크게 패하고 죽었다(살수대첩). 결국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은 수나라의 국력을 소진시켜 수나라는 멸망하였다.[29]

당나라와의 전쟁

고구려는 수나라를 뒤이은 (唐)나라와도 대치하였다. 고구려는 당의 공격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았는데, 연개소문(淵蓋蘇文)은 이 공사를 감독하면서 세력을 키웠다. 이에 위협을 느낀 중앙 귀족이 연개소문을 제거하려 하자 연개소문은 642년 10월 군사 반란을 일으켜 영류왕(榮留王)을 비롯한 귀족을 모두 살해하고,[30] 보장왕(寶臧王)을 왕으로 세운 뒤 스스로 대막리지(大莫離支)가 되어 정권을 찬탈하였다. 이후 연개소문은 대외 강경책을 펼쳐 648년 신라와 당나라가 연합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645년 당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은 옛 한군현을 되찾고 난신적자 연개소문을 치겠다며 공격해 왔으나 실패하였다.

이후에는 당나라가 소모전으로 지속적으로 고구려를 공격해 왔으나 그 때마다 격퇴하였다. 하지만 동맹국인 백제가 신라·당 연합군에게 패하였고 고구려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백제를 멸망시킨 그 이듬해인 661년(보장왕 20년)에 당나라는 고구려를 공격하였고 평양성이 포위되는 위기를 처했으나 당나라군을 패망시키고 고구려는 승리하였다.

고구려의 국력은 쇠퇴해 가고 있었고 무천진 선비족이 한족들을 예속시켜 세운 당나라는 국력이 세지고 있었다. 60여 년에 걸친 수·당과의 전쟁으로 백성의 생활은 파탄에 직면했고, 국가 재정은 파탄하였다. 그 위에 동맹국인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 지배층의 내분은 더욱 그 국력을 약화시키고 있었다.

고구려의 멸망과 부흥운동

665년에 연개소문이 죽자 그의 아들 연남생·연남산 형제 사이에 막리지 자리를 둘러싸고 내분이 일어났다.[30] 그 결과 남생은 국내성으로 쫓겨난 뒤 항복하였으며, 연개소문의 아우 연정토는 신라에 투항하였다. 결국 668년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에게 멸망하였다.고구려의 마지막 보장왕의 아들 안승(고안승)이 신라에 귀순하여 김씨성을 하사받았다. 669년 당나라는 고구려 지배층을 중심으로 약 3만호를 중국의 오르도스 지역 등으로 집단 이주시켰고, 그 흔적이 실크로드에 남아 있다.[31]

그러나 고구려 멸망 이후 검모잠, 보덕왕 등의 고구려 부흥 운동이 지속되었으며, 안시성과 요동성 및 일부 요동의 성은 고구려 멸망 이후인 671년까지 당나라에 항전하였다. 보덕왕신라 문무왕에게 보덕국왕으로 책봉받고 전라북도 익산시일대에 고구려를 계승한 보덕국을 건국하였다. 보덕국은 고려 국호를 사용하며 신라괴뢰국 역할을 하다가 귀족과 백성 모두 신라 정계와 군대로 편입되었다.

또한 보장왕말갈과 함께 나라를 다시 세우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 결국 698년에 고구려의 장수 출신인 대조영만주 동부의 동모산 일대에서 발해를 건국하면서 고구려 부흥 운동은 일단락되고, 고구려는 발해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리고 발해가 고구려의 옛 영토를 거의 모두 수복하고, 동북쪽 영토를 고구려보다 더욱 확장했다.[32] 발해는 매우 번영하여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고도 불렸다.

국호

고구려가 국호를 고구려로 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고구려 후기에는 '고려(高麗)'로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어 장수왕 무렵에 공식 국호를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고구려 후기의 사료가 전기보다 더 많기 때문일 수도 있다. 중국 측의 사료에는 예(濊)/맥(貊)/고리(槀離)/구리(句麗)/평양(平凉)/요동(遼東) 등으로 고구려를 호칭하기도 했다.[33] 훗날 발해의 경우도 국서에는 고려라고 자칭한 적이 있고, 왕건이 개국한 고려와도 구별하기 위해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고구려(高句麗)로 통용한다.

정치 제도

고구려가 부족 연맹체적인 지배 체제에서 벗어나 고대 국가로서의 관료 조직을 갖추게 된 것은 대체로 율령 정치가 시작된 소수림왕 때의 일이며, 그것이 더욱 정비된 것은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이 후의 일이라고 여겨진다. 고구려의 중심 세력은 본래 소노(消奴)·절노(絶奴)·순노(順奴)·관노(灌奴)·계루(桂婁)의 5부족으로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때의 왕은 부족 연맹장이 되었다. 왕은 선출에서 세습제로 변하였는데 초기는 소노부에서 동명성왕 이후는 계루부에서 세습하였다 한다.

초기에는 국왕 밑에 상가(相加)·대로(對盧)·패자(沛者)·주부(主簿)·우대(優台)·승(丞)·사자(使者)·조의(皁衣)·선인(先人) 등을 두었는데, 이 관계(官階)는 그 후 발전 과정을 통하여 427년 평양천도 이후에 재정비되었다. 관료의 등급은 대체로 12등급으로 분화·발달되었는데 대대로(大對盧)·태대형(太大兄)·울절(鬱折)·태대사자(太大使者)·조의두대형(皁衣頭大兄)·대사자(大使者)·소형(小兄)·제형(諸兄)·선인(仙人) 등으로 나뉘었다. ‘형’은 연장자로, 가부장적(家夫長的) 족장의 뜻을 나타내며 부족 연맹에서 고대 국가로 전환하면서 여러 족장 세력을 이러한 관등에 흡수한 것 같다. ‘사자’가 붙은 것은 씨족원으로부터 등용된 것으로 공부(貢賦) 징수의 직역(職役)을 뜻하는 것 같다. 대대로막리지(莫離支)는 수상격인 고구려 최고의 관직으로 대대로가 평시 행정 담당의 수상이다. 막리지 밑에는 고추대가(古雛大加)·중외대부(中畏大夫)·대주부(大主簿)등을 두었는데 각각 내정(內政)·외정(外政)·재정(財政)을 맡아보았다.

지방은 동·서·남·북·중의 5부(部)로 나누고, 5부에는 욕살(褥薩)이라는 부왕(副王)급 군관(軍官)과 처려근지(處閭近支)[34]라는 행정관이 파견되었다. 이들은 각 내부의 여러 성주(城主)를 통솔하여야 했다. 원래 부족 세력의 근거지였을 여러 성(170)은 고구려 왕국의 사적·행정적 단위로 통합되어 있었고 또 부세(賦稅) 등 지방민에 대한 통치가 행해지기 마련이었다.

고구려에는 귀족 회의의 하나인 제가 회의도 있었다.

지방제도

행정 조직

초기의 5부족은 그대로 행정구역으로 발전, 수도와 지방을 5부로 나누었다. 계루부(桂婁部)는 내부(內部)[35]·소노부(消奴部)는 서부(西部)[36]·절노부(絶奴部)는 북부(北部)[37]·순노부(順奴部)는 동부(東部)[38]·관노부(灌奴部)는 남부(南部)[39]라 하였다. 5부 밑에는 성(城)이 있었다.

부에는 욕살(褥薩)이라는 군관(軍官)과 처려근지(處閭近支)[34]라는 행정관이 파견되었고, 이들은 각 부 내의 여러 성주(城主)를 통솔했다.

그 밑에 각 이원(吏員)이 있어 사무를 분장하였다. 문무의 구별이 체계화되지 못하였던 고구려는 부족 세력의 근거지였던 여러 성을 행정적·군사적 단위로 편성하였던 것같다.

5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내(畿內)의 뜻인 듯한 내평(內評)과 기외(畿外)의 지방을 의미하는 외평(外評) 제도가 있었다. 또한 평양 천도 후에는 평양 이외에 국내성(國內城, 통구)과 한성(漢城, 재령)의 별경(別京)이 있어 삼경제(三京制)가 성되었다.

군사 제도

군제(軍制)는 국민개병제와 유사한 형태로서 국왕이 최고 사령관으로 군사조직도 일원적으로 편제되어, 국내성·평양·한성(漢城: 재령)의 3경(三京)과 각 성에 상비군을 두고, 변방에 순라군을 두었다. 군관으로는 대모달(大模達)·말객(末客) 등이 있으며, 상비군의 보충은 경당(扃堂)이라는 청년 단체가 맡았다.

군사 무기

주요 발사 무기로는 고구려에서 국궁과 각궁을 사용했다. 또한 석궁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성을 방어할때는 투석병이 있었다. 도끼창(미늘창)을병이했다. 고구려의 보병은 창과 칼 두 가지 무기를 사용했다. 첫 번째는 짧은 양날 변형으로 생긴 창으로 대부분 던지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른 하나는 단일 양날 검으로 한나라의 영향력을 받은 칼자루 안에 있었다. 투구는 중앙 아시아 민족이 사용하는 날개 달린 가죽 및 말꼬리 장식과 유사했다. 갑옷은 미늘갑옷이라 군인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었다. 또한 신발은 밑에 뾰족하게 된 송곳이 박혀있어 적을 밟을 때 사용했다.

사회 및 경제

형법

고구려에서 통치 질서와 사회 기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행한 형법은 매우 엄격하였다. 반역을 꾀하거나 반란을 일으킨 자는 화형에 처한 뒤에 다시 목을 베었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다. 적에게 항복한 자나 전쟁에서 패한 자 역시 사형에 처하였고, 도둑은 12배를 물게 하였다. 1책12법이라고도 하며 부여와의 공통점이다. 고구려에서 범죄가 적고 감옥이 없었던 것은 이 때문이다.

남의 가축을 죽인 자는 노비로 삼거나, 빚을 갚지 못한 자는 그 자식을 노비로 만들어 변상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가 모여서 논의하는 제가 회의를 통하여 처벌하였다. 이렇게 엄격한 형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법률을 어기거나 사회 질서를 해치는 자가 극히 드물었다.

신분제

고구려의 사회 계급은 귀족·평민(호민, 하호)·노비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치를 주도하며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누린 계층은 왕족인 고씨를 비롯하여 5부 출신의 귀족이었다. 이들은 그 지위를 세습하면서 높은 관직을 맡아 국정 운영에 참여했다. 또한 각기 넓은 토지를 소유하였으며, 조의·선인·대사자·상가·고추가 등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다.

일반 백성인 평민은 읍락의 지배계층인 호민(豪民)과 피지배계층인 하호(下戶)로 구분되며, 이들은 대부분 농민이었고, 토지 경작과 함께 납세와 병역의 의무를 지며, 토목공사에도 동원되었다. 고구려의 천민인 노비는 포로·죄인·채무자·귀화인 또는 몰락한 평민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신분 계급에 따라 집과 의관(衣冠)에 차이가 있었다.

하호

주로 생산 활동에 종사한 피지배층 하호는 고구려 본족(本族) 중의 범죄자·낙오자도 있었으나 대부분이 피정복민이었으며 전쟁 때 포로가 된 한족도 있었다.

이들 하호는 신분적으로 노예와 구별되었으나 사회 경제적 위치는 노예에 준(準)하는 예속민으로서 대부분 정복당한 원주지에 살면서 농경을 포함한 생산 활동을 거의 전담하였고, 일부는 고구려에 이주되어 토지의 개척과 농경 등에 사역(使役)되었다. 또 전시에는 지배자의 사병으로 동원되기도 하였다.

토지 제도

영역 내의 모든 토지는 왕토(王土)라는 의미에서 토지 국유의 원칙이 세워지고, 이 원칙에 입각하여 토지는 분배되었다. 왕실 직속령(直屬領)이었던 것은 물론 전쟁시의 뛰어난 훈공에 의해서 국왕으로부터의 상사(賞賜) 형식으로 수여되는 사전(賜田)이나 식읍(食邑)은 귀족의 대토지 소유의 원천이 되었다. 사전(賜田)은 세습적인 상속이 인정되었고, 식읍은 자손에게 상속될 수 없었으며, 이들 토지 수급자(受給者)는 국가에 조세(租稅)를 납부하였다. 귀족에 의한 토지의 사적지배(사유화 과정)는 족장(귀족)·사원(寺院)을 중심으로 장원(莊園)이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귀족은 토지뿐 아니라 경작하는 예민(隸民)까지 마음대로 지배하였다.

경제

고구려의 산업은 농업을 위주로 했으며, 국가에서는 농업을 장려하였다. 그러나 농사를 담당한 것은 피지배계급인 일반 농민이었다.

고구려의 세제(稅制)는 세(稅)와 조(組)가 있었는데, 인두세(人頭稅)에 해당하는 세로 포목 5필에 곡식 5섬을 받았고, 조는 민호(民戶)를 3등급으로 나누어 상호가 1섬·중호가 7말·하호는 5말을 내었다.

풍습

고구려는 압록강 중류 유역, 졸본에서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 곳은 산간지역으로 식량 생산이 충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일찍부터 대외 정복 활동에 눈을 돌렸고 사회 기풍도 씩씩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 사람은 절할 때에도 한쪽 다리를 꿇고 다른 쪽은 펴서 몸을 일으키기 쉬운 자세를 취하였고, 걸을 때도 뛰는 듯이 행동을 빨리 하였다.

고구려 지배층의 혼인풍습으로는 형사취수제와 함께 서옥제(데릴사위제)가 있었는데, 3세기 들어 사라졌다. 형사취수제는 부여와의 공통점이다. 초기에는 남자가 처가 옆에 마련한 서옥(사위집)에 들어갈 때에 돈과 옷감 등을 예물로 처가에 주었으나[40], 그 이후 남녀 간의 자유로운 교제를 통하여 결혼했는데 남자 집에서 돼지고기와 술을 보낼 뿐 다른 예물은 주지 않았다. 만약 신부 집에서 재물을 받은 경우 딸을 팔았다고 여겨 부끄럽게 생각하였다[41]. 그리고 건국 시조인 동명성왕과 그 어머니 유화부인을 조상신으로 섬겨 제사를 지냈고, 10월에는 추수감사제인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를 성대하게 열었다.[42]

《삼국지》〈위서〉동이전 고구려조에 따르면, 동맹 때에는 “나라 동쪽에 큰 수혈(隧穴)이 있어, 10월에 국중대회(國中大會)를 열고 수신(隧神)을 제사지내며, 목수(木隧)를 신좌(神座)에 모신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수신은 주몽의 어머니로 민족적인 신앙의 대상이며, 목수는 나무로 만든 곡신(穀神)을 의미한다. 전 부족적인 제례(祭禮)였던 이 의식에서는 부족원이 무리를 지어 연일 가무를 즐겼다고 한다.

고구려에서는 항상 봄 3월 3일이면 낙랑의 언덕에 사람이 모여 사냥을 하고, 잡은 돼지와 사슴으로 하늘과 산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인구

  • 삼국사기에는 고구려 69만호라고 되어 있고,[43] 멸망할 당시에는 약 20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44]

문화

5-6세기 고구려 지붕 기와의 와당

고구려의 문화는 고구려인의 강건하고 날렵한 기질을 잘 나타낸다.

복식

지배층의 복식은 한나라(漢)·흉노에서 수입한 비단과 금·은으로 장식되었고, 전사(戰士)는 머리에 쓴 적(冠)에다 깃털을 꽂는 이른바 절풍(折風)을 썼는데 많이 꽂혀있을수록 높은신분을 나타낸다 고구려인은 또한 거대한 분묘와 석총(石塚)을 만들었고, 많은 물건을 시체와 함께 부장하였다.

한문학

한자와 한문학은 삼국 중에서 가장 이르게 들여왔으며, 372년(소수림왕 2년)에는 이미 국가에서 유학(儒學)의 교육 기관으로 "태학"(太學)을 세웠고, 민간에서는 각처에 경당(扃堂)을 세워 미혼의 자제에게 독서(讀書)·궁술(弓術)을 익히게 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인 사이에는 유교의 경전(經典)이나, 사기(史記)·한서(漢書) 등의 사서(史書)가 읽혀졌다. 옥편(玉篇)·자통(字統)과 같은 사전류(辭典類)가 유포되었으며, 특히 지식인 사이에는 중국의 문선(文選) 같은 문학서가 많이 읽혔다.

한자의 사용에 따라서 국가적인 사서(史書)의 편찬도 일찍부터 행하여졌다. 그리하여 일찍이《유기(留記)》105권이 편찬되었으며, 이것을 600년(영양왕 11년)에 이문진(李文眞)으로 하여금 간략히 하여 《신집(新集)》5권을 편찬케 하였다. 한자 사용의 근거는 통구의 모두루 묘지(牟頭婁墓誌: 414년)의 비문(碑文)과 414년에 세워진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의 약 1,800자(字)의 비문으로 능히 알 수 있고, 특히 광개토왕의 비문은 중요한 사료(史料)가 되고 그 고굴(告掘)한 예서(隸書)의 자체(字體)는 서예(書藝)로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시가

고구려의 시가로는 유리왕(瑠璃王)이 지은 〈황조가(黃鳥歌)〉와 정법사(定法師)의 〈영고석(詠孤石)〉, 을지문덕의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주는 시)〉등이 한시(漢詩)로서 전하고, 그 밖에 〈내원성가(來遠城歌)〉 〈연양가(延陽歌)〉 등이 그 이름만 《고려사》〈악지〉(樂志)에 전한다.

종교

고구려의 종교는 원시 신앙과 불교·도교로 대별할 수 있는데 원시 신앙으로는 자연물 숭배, 천신(天神)·지신(地神)·조상신(祖上神)의 3신(三神) 숭배와 샤머니즘(shamanism)적 신앙이 있었고, 특히 나라에서는 부여신(河伯女)과 고등신(高登神: 주몽)을 시조신(始祖神)으로 해마다 4회 제사를 지냈다.

불교의 전래는 372년(소수림왕 2)에 전진(前秦)에서 승려 순도(順道)가 불상(佛像)과 불경을 전래한 것이 그 시초이며,[45] 그 2년 뒤에는 다시 동진(晋)에서 승려 아도(阿道)가 들어왔는데[46], 소수림왕은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를 건립하여 위의 두 불승(佛僧)을 거주케 함으로써[47] 국가적으로 불교를 받아들였다.

불교를 왕실에서 이와 같이 환영하였던 까닭은 불교가 때마침 국민에 대한 사상 통일의 요구에 부합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가 지녔던 호국적(護國的)인 성격이 왕실에 크게 영합되었기 때문이다.

곧 불교는 호국불교(護國佛敎)·현세구복적(現世求福的)인 불교로 신앙되고 발전되었다. 한편, 도교(道敎)는 고구려 말기인 624년(영류왕 7년)에 당 고조(唐高組)가 양국 간의 친선정책으로 도사(道士)를 보내와 전한데서 비롯되었다. 또한 고구려 사신도 벽화를 통해 고구려에 도교가 전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축과 미술

장군총.

고구려는 건축·미술에서는 찬란한 문화를 이룩했는데, 대부분의 유적이 통구와 평양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궁실(宮室)이나 사찰(寺刹) 등 건축물로서 현존하는 것은 없으나 고분의 구조를 통하여 당시의 귀족 계급의 호화로운 건축을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의 고분으로는 석총(石塚)과 토총(土塚)의 두 가지 형식이 있다. 석재(石材)를 피라미드식으로 쌓아 올린 장군총(將軍塚)은 통구 지방에 남아 있는 고구려 석총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관(棺)을 안치한 큰 석실(石室)을 축조하고 그 위에 봉토(封土)를 덮은 토총 형식의 대표적인 것은 평양 부근의 쌍영총(雙楹塚)이다. 이와 같은 석실(石室)의 구조와 벽화(壁畵)에 의해서 고구려인의 건축술과 미술의 기량을 엿볼 수 있다. 곧 쌍영총의 현실(玄室)과 전실(前室) 사이에 세워진 각(角)의 두 석주(石柱)와 투팔천정(鬪八天井), 또 그림으로 나타낸 천정의 장식은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엿보게 한다.

고분 벽화

강서대묘 사신도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고구려인의 신앙·사상이나 풍속·복식(服飾) 등을 설명해 주는 귀중한 자료일 뿐 아니라, 삼국시대 미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쌍영총의 섬세·화려한 필치로 그려진 인물화나 무용총(舞踊塚)의 무인(舞人)·가인(歌人)의 그림은 고구려인의 풍속·복식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청룡(靑龍)·백호(白虎) 등이 그려진 강서대묘(大墓)의 사신도(四神圖)는 강건한 고구려인의 기질을 잘 나타낸 걸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밖에 수렵총(狩獵塚)·각저총(角抵塚)·수산리 고분·안악 3호분의 고분 벽화가 건축·미술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불교 미술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 (국보 119호)

고구려의 불교 미술은 중국의 북위(北魏)풍의 영향으로 불상이나 불화(佛畵) 또는 탑파(塔婆) 등의 미술품이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존하는 유족이나 유물은 극히 드물다. 1940년에 평양 근처에서 발견된 고구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118호)이나 어느 왕의 연호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연가(延嘉)7년이라는 고구려 연호가 새겨진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19호)[48] 이 국내에 남아 있을 뿐이다.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은 장수왕(長壽王: 재위 422~491), 문자명왕(文咨明王: 재위 491~519) 또는 안원왕(安原王: 재위 531~545)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1965년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에서 발견되었다.

이 외에 중국 요령성 의현에서 출토된 고구려 금동불상도 있다. 이 불상은 을유년에 제작되었다고 새겨져 있으며, '대고구려국'이라는 국명이 적혀 있는데, 을유년이 구체적으로 몇 년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크게 논의된 바는 없다. 이 불상 자체가 극히 최근에야 국내에 알려졌기 때문이다.

고구려 문화는 일본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고구려의 화공(畵工)·학승(學僧)이 일본으로 가서 불교문화를 전하는 데 공현하였다. 특히 승려이자 화가인 담징(曇徵)이 그린 벽화는 그 대표적인 일례이다.

음악

고구려인은 가무(歌舞)를 즐겼으나 더 이상의 문헌적 고증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양원왕때의 국상인 왕산악(王山岳)이 진(晋)의 칠현금(七鉉琴)을 개량(改良)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 하고 100여 곡(曲)의 악곡(樂曲)을 지었다고 전한다.

깃발

송나라의 영향을 받기 전까지 한반도에 깃발 문화는 소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에서 사용한 깃발은 그 종류가 많지 않았고, 대부분 단순하고 무늬도 없었다.[49]

문화 교류

중국

중국의 북조 및 북방 초원의 여러 민족과 교섭, 바다를 통해 남조와도 교류했다고 한다.

일본

불교를 전파했으며, 고구려의 승려인 혜자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또한, 고구려의 승려인 담징은 종이와 먹의 제조 방법을 전파하고, 호류 사 벽화를 남겨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대외 관계


고구려와 현대의 역사 분쟁

중국2002년부터 이른바 동북공정이라는 국가적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고구려 등의 역사를 중국 역사의 일부로 포함하려는 편향된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중국 동북3성의 역사 문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로 시작된 동북공정은 사실 소수민족의 분리 독립을 우려하는 중국이 조선족 이탈과 국경선 분쟁을 막기 위해 만든 국가 전략으로, 대표적인 역사 왜곡 사례다.

이에 대한민국에서도 고구려의 역사의 계승을 입증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2004년 고구려 연구재단을 설립하였으나, 2006년에 외교를 뒷받침하기 위해 설립된 동북아 역사재단에 통합되었다. 중국의 동북공정이 한국 사회에 널리 알려지면서 주몽·연개소문 등 고구려를 주제로 한 다양한 역사드라마가 방송되기도 하였다. 200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의 공격은 고구려에서 빗겨난 발해사에 집중되었다.

심지어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고구려·발해 역사를 중국 역사로 편입시킴으로써 조선족도 중국인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 그 일환으로 중국은 옌볜 조선족자치주에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 윤동주 생가`라고 대문짝만하게 표지석까지 세우며 윤동주 시인을 중국인화하고 있다.[50]

기타

고구려(高句麗)의 한국어 독음이 고구려가 아니라 ‘고구리’라는 의견이 있다.[51] 이는 麗의 독음이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는 ‘리’로 발음된다는 음운 법칙에서 비롯되었다.[52][53][54][55]

그러나 조선시대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나타난 한글 문헌에 따르면, 고구려라 나타나고[56] 《대동지지》에는 “(중국인이나 음운학 책과 달리) 우리나라 사람은 ‘려’라 바꾸어 부르고 있다.”[57]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나라 이름을 나타낼 때도 麗는 ‘려’로 읽는다는 예외도 있는 등[58][59][60] 해당 주장은 신빙성이 낮다.

한편 장수왕 3년(414년), 69년(481년)에 각각 설치된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의 고려태왕(高麗太王), 호태왕(好太王)이라는 명칭을 근거로 고구려에선 왕을 '태왕'이라고 칭했다는 의견이 있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각주

  1. 昔始祖鄒牟王之創基也, 出自北夫餘, 天帝之子, 母河伯女郞. 剖卵降世, 生而有聖□□□□. □命駕, 巡幸南下, 路由夫餘奄利大水. 王臨津言曰, 我是皇天之子, 母河伯女郞, 鄒牟王. 爲我連葭浮龜, 應聲卽爲連葭浮龜. 然後造渡, 於沸流谷忽本西, 城山上而建都焉. 不樂世位, 因遣黃龍來下迎王. 王於忽本東罡, 履龍頁昇天.顧命世子儒留王, 以道興治, 大朱留王紹承基業. , 국사편찬위원회〔사료 2-2-01〕 광개토대왕비 소재 주몽 신화
  2. “고구려 평양성”. 《동북아역사재단》. 2021년 7월 10일에 확인함. 
  3. 三國遺史
  4. 林下筆記
  5. 정욱 (2007년 11월 16일). 《삼국유사(새로운 완역본)》. 진한엠엔비. 50쪽. ISBN 9788984323094. 
  6.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콘텐츠닷컴》.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8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6일에 확인함. 
  7. 두산백과,몽골 다리강가,2009년.
  8.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094
  9. 중국의 동북삼성내몽골 동부,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통틀어 만주라고 한다.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문화일보 광개토대왕릉비 ‘완벽 재현’
  12. 연합뉴스 구리시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제막
  13. 왕망王莽 제위 초初에 구려句驪의 군사를 징발하여서 흉노匈奴를 정벌하게 하였으나 그들이 (흉노를 정벌하러) 가지 않으려 하여 강압적으로 보냈더니, 모두 국경 너머로 도망한 뒤 (중국의 군현을) 노략질하였다. 요서대윤遼西大尹 전담田譚이 그들을 추격하다가 전사하자, 왕망王莽이 장수 엄우嚴尤를 시켜 치게 하였다. (엄우嚴尤는) 구려후句驪侯 추騶를 꼬여 국경 안으로 들어오게 한 뒤 목을 베어 그 머리를 장안長安에 보내었다. 왕망王莽은 크게 기뻐하면서, 고구려왕高句驪王의 칭호를 고쳐서 하구려후下句驪侯라 부르게 하였다. 이에 맥인貊人이 변방을 노략질하는 일은 더욱 심하여졌다." -후한서 고구려전
  14. 현 오녀산성
  15. 그러나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에 언급된 건국 신화에 의해, 고구려는 멸망한 고조선(古朝鮮) 및 부여(夫餘) 출신의 유이민과 그 지역의 토착 세력이 결합해 이뤄진 국가로 추정되기도 한다.
  16. 이로 인해 고구려의 건국을 태조 때로 보기도 한다.
  17. 국내성은 평상시 王城… 환도산성은 戰時用 조선일보 2004년 5월 31일
  18. 그러나 고구려의 덕흥리 무덤에 성씨가 복성인 고구려인 제후왕에 유주시자라는 표문이 있어 조선인민민주주의 학계에서는 오히려 고구려가 고국원왕때부터 요동과 유주 지역을 정복했다고 주장한다.
  19. 유리에 갇힌 광개토대왕비는 광야를 달리며 외치고 싶다 중앙일보 2015년 7월 22일
  20. "集安 고구려비는 광개토대왕이 아버지 위해 세운 것" 조선일보 2013년 4월 12일
  21. 위서正始 中(504-507), "高麗 世荷上將, 專制海外, 九夷黠虜, 實得征之"
  22. 남제서 58 고구려전 此閒坐起甚高 足以相報
  23. 남제서 58 고구려전 亦使魏虜,然彊盛不受制
  24. 延興末 高麗王璉求納女於掖庭顯祖許之
  25. 위서에는 북위의 권력을 잡은 선비족 영태후가 동쪽 사당에 장수왕의 애도를 표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508년에 북위의 선무제가 청주에 고구려 시조를 제사지내는 고려묘라는 사당을 지었다고 한다.
  26. 백제 숨통 조였던 고구려 전초기지 조선일보 2019년 5월 15일
  27. 고구려인이 스스로 천하의 중심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광개토왕릉비중원고구려비를 통해 알 수 있다.
  28. 고구려가 수-당과 벌인 90년 전쟁이 자기네 국내전쟁이라는 중국의 궤변 동아일보 2014년 8월 12일
  29. 동아시아 주도권 바꾼 '고·수전쟁'…고구려의 치밀한 준비 통했다 한국경제 2020년 3월 7일
  30. 동굴에 새긴 화랑 이름에서 고구려 멸망사를 읽었다 조선일보 2019년 6월 19일
  31. 유홍준 "실크로드에서 고구려 유민 후예의 무덤을 보니..." 중앙일보 2020년 6월 16일
  32. 발해의 최대판도는 사실 9세기 중반 선왕~대이진 시기의 지도이고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 이미 9세기 말이면 한반도 영역 대부분을 잃은 것으로 보이고 어쩌면 5경 중 하나인 남경남해부도 이 시기에 상실했을 가능성이 있다.
  33. “고구려와 고려가 아니라 고구리와 고리로 불러야 한다” 주간동아 2020년 1월 3일
  34. 일명 도사(道使)
  35. 또는 황부(黃部)
  36. 또는 우부(右部)
  37. 또는 후부(後部)
  38. 또는 좌부(左部)
  39. 또는 전부(前部)
  40. 《삼국지》〈위서〉동이전
  41. 《북사》열전
  42. 국사 편찬 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교육 인적 자원부, 서울 2004. 189쪽.
  43. 역사로 살펴본 한반도 인구 추이 조선일보 2016년 12월 13일
  44. '中 동북공정의 허실' 발표한 신형식 교수 조선일보 2003년 12월 30일
  45.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二年 夏六月 秦王苻堅遣使及浮屠順道 送佛像經文 
  46.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四年 僧阿道來 
  47.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五年 春二月...始創肖門寺 以置順道 又創伊弗蘭寺 以置阿道 此海東佛法之始 
  48.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49. 이영희(주저자). (2014). 우리나라 의장기(儀仗旗)의 디자인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48(0), 76-86.
  50. 반일 종족주의와 동북공정 매일경제 2019년 9월 20일
  51. 신복룡 (2001년 12월 20일). 《한국사 새로 보기》 초 2쇄판. 서울: 도서출판 풀빛. 261쪽쪽. ISBN 89-7474-870-3.  |id=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52. 《획수로 찾는 실용옥편사전》(2002년 1월 10일) 923쪽
  53. 《고금한한자전》(1995년 11월 15일) 150쪽
  54. 《한한대사전》(1996년 5월 25일) p. 1772~1773
  55. 《한·일·영·중 겸용 한한대사전》(1992년 3월 10일) 1195쪽
  56. 《삼강행실도》, 1434년(세종 16) 초간, 중종 연간에 언해, 경남 유형문화재 제160호
  57. “東人變呼音呂” (김정호, 《대동지지》〈방여총지〉권4, 19세기)
  58. 《한국한자어사전》 권4(1996년 11월 3일) 991쪽
  59. 두산동아(옛 동아출판사 포함)에서 펴낸 《동아백년옥편(탁상판)》(초판 7쇄, 2003년 1월 10일) 2264쪽
  60. 《동아 한한대사전》(1982년 10월 25일) 2181쪽

외부 링크

한국의 역사
이전 시대 고구려
기원전 37년~668년
다음 시대
부여 통일신라, 발해


인용 오류: "lower-alpha"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lower-alpha" />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