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공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459번째 줄: 459번째 줄:
==== 라디오 ====
==== 라디오 ====
* 일반광고 (O).(X) 현재
* 일반광고 (O).(X) 현재
* [[KBS 1라디오]] - 뉴스, 시사 (X)
* [[KBS 1라디오]] (수도권 기준 FM 97.3MHz, AM 711kHz) - 뉴스, 시사 (X)
* [[KBS 2라디오|KBS 2라디오(해피FM)]] - 중장년층 대상 대중음악 (O)
* [[KBS 2라디오|KBS 2라디오(해피FM)]] (수도권 기준 FM 106.1MHz, AM 603kHz) - 중장년층 대상 대중음악 (O)
* [[KBS 3라디오|KBS 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 - 노인 및 장애인 대상 생활정보 (X)
* [[KBS 3라디오|KBS 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 (수도권 FM 104.9MHz, AM 1134kHz) - 노인 및 장애인 대상 생활정보 (X)
* [[KBS 클래식FM]] - 클래식 및 국악 등 고전 음악 (X)
* [[KBS 클래식FM]] (수도권 기준 FM 93.1MHz) - 클래식 및 국악 등 고전 음악 (X)
* [[KBS 쿨FM]] - 젊은층 대상 대중음악 및 예능 (O)
* [[KBS 쿨FM]] (수도권 FM 89.1MHz) - 젊은층 대상 대중음악 및 예능 (O)
* [[KBS 한민족 방송]] (국내 및 대외방송)
* [[KBS 한민족 방송]] (국내 및 대외방송)
* [[KBS 월드]] (대외방송망)
* [[KBS 월드]] (대외방송망)

2020년 3월 22일 (일) 01:14 판

한국방송공사
여의도에 위치한 KBS 본사
여의도에 위치한 KBS 본사
한국명 한국방송공사
한자표기 韓國放送公社
영문표기 Korean Broadcasting System
약칭 한국방송, KBS
형태 공영 방송
창립일 1973년 3월 3일
개국일 1927년 2월 16일 라디오 개국
1961년 12월 31일 텔레비전 개국
1980년 12월 1일 언론통폐합으로 통합 출범
직원 수 4537명[1]
본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사장 양승동
슬로건 2020년 새로운 시작, 공정 창의 혁신 KBS
웹사이트 한국방송공사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 대표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다.[2][3]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에 위치하고 있다.

역사

시초

한국방송공사의 시초는 1927년 2월 16일 조선총독부의 지원으로 개국한 라디오 기지국인 경성방송국 (JODK)에서 비롯되었으며, JODK는 일본의 네 번째 방송국이라는 뜻이다. 그러다 1945년 해방 이후 1947년 ITU에서 한국의 호출부호를 'HL'로 할당하였고, 이에 따라 중앙방송국 (KBS)이 출범하여 호출부호 'HLKA'를 부여받았다. 1948년에는 정부 수립으로 국영방송으로 발족함과 동시에 이름도 서울중앙방송국으로 개명했다.

한편, 1956년 5월 2일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국인 HLKZ-TV가 개국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으나, 재정난을 이유로 1961년 정부에 매각되었고, 그 결과 국영방송국이 1961년 12월 31일부터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

한국방송공사 창립과 발전

1973년 3월 1일 방송국의 운영처가 국영방송에서 공영방송으로 바뀜에 따라 지금의 한국방송공사가 창립되었다. 1972년여의도 현 사옥을 계획, 1976년 준공하였다.[4][5] 1979년 군쿠데타의 발생 당일에는 반란군 측에서 군용 트럭 한 대 규모의 병력을 투입하여 장악에 성공하였으며, 반란군 측에 최초의 점령지가 되었다. 1980년에는 언론통폐합 지침에 따라 동양방송(서울본사 및 부산지국)과 동아방송 등의 민간 방송국을 인수 합병하였고,[6] 12월부터는 텔레비전 컬러 방송의 허가가 내려지면서 컬러 방송을 개시하였다. 같은 해에는 광고 방송도 처음 실시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 · 중반에는 농민, 종교단체들의 "KBS 시청료 거부 운동" 확산을 일으켰지만, 1983년이산가족을 찾습니다의 138일간 방영하게 되었다. 1985년 음성다중방송을 첫 실시하였다. 이후 한국방송공사는 국내 대회의 주관방송사 역할을 하게 되어, 1986년에는 서울 아시안 게임을, 1988년에는 릴 테이프 입출력 방식의 대형 컴퓨터, 위성 송출 장비, 텔레텍스트, 크로마키 스튜디오 등이 외국 취재진들을 위해서 완비된 최첨단 올림픽 프레스 센터 건물의 개관과 함께 서울 올림픽을 주관방송하게 되었다.

1990년에는 KBS 방송강령을 처음 제정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 소속의 채널이 교육 방송으로 분리되었으며, 1994년 10월 1일에는 수신료의 징수 제도를 한국전력공사를 통한 위탁 징수로 개선하였다. 동시에 KBS 1TV의 광고 방송을 중단하면서 KBS 2TV에서만 광고 방송이 남게 되었다. 1995년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인터넷 방송을 처음 개시하였고, 1997년에는 제34차 아시아 태평양 방송연맹(ABU) 서울총회를 주관 개최하였다. 제15대 대통령 선거일에서는 개표 방송과 전혀 관련이 없는 드라마, 교양 프로그램 등의 평일 방송에 화면 하단의 자막에서, 주유소 주유기처럼 득표수가 실시간으로 올라가는 '프리즘 젬'이라는 방송 기술을 처음 선보였다.

2000년대

2000년 1월 1일에는 KBS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을 개국하고, 같은해 7월 1일에는 KBS 2라디오 FM방송을 개시하였다. 이듬해 2001년에는 지상파 디지털 TV 본방송을 개시하였다. 2002년에는 국제대회 주관방송사로서 FIFA 한·일 월드컵 공식방송과 부산 아시안게임 주관방송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KBS 2FM의 상업광고도 개시하였다. 제16대 대통령 선거일에는 첨단 선거 예측 시스템인 '디시전K'를 활용하여 선거일에 일몰 시간도 아닌 이른 초저녁 시간대인 선거 방송의 최초 시작 시점에서 예상 당선자를 발표하였다.

2003년 국제위성방송인 KBS 월드를 개국하고, KBS 윤리강령을 제정하였다. 라디오 부문에서는 2라디오2FM의 애칭을 해피FM, 쿨FM으로 명명하였다. 2004년에는 팀제를 시행하고 지역국 체계도 9총국 9지역국으로 조정하였다. 2005년에는 APEC 2005 KOREA 주관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KBS 지상파 DMB 채널인 U-KBS를 개국하였다.

2006년에는 MMS(멀티모드서비스)를 시험방송하고 2007년에는 지상파 DMB를 전국으로 확대 방송하였다. 또한 같은해 세계 공영방송 총회를 개최하였으며, 1FM의 애칭을 클래식FM으로 명명하였다.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당선인이 거주하던 집 마당에 당선이 확정된 시점부터 개인 휴대용 중화기를 무장한 현역 군인이 들어와 경계를 서는 모습이 방송되어 유명하였다.

2010년대

2010년에는 G20 서울 정상회의의 주관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울릉도·독도의 DMB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2011년에는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대회의 주관방송을 맡은 동시에 3D 중계방송을 실시하였으며, 개국 50주년을 맞았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여수 엑스포의 주관방송을 실시했다.

2013년에는 KBS 월드 개국 10주년, 공사창립 40주년을 맞이하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주관방송하였으며, 같은해 열린 ITU 전권회의도 주관방송하였다. 또한 해외 대상 24시간 방송 서비스인 KBS WORLD 24가 출범하였다. 2015년 10월 9일에는 지난 1983년에 방송된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2017년에는 한국방송 개시 90주년을 맞았다. 2018년 4월 양승동 사장 취임 이후 정치와 자본 권력으로부터 독립하려는 노력이 이어졌으며, 이 같은 취재제작 자율성 확보 노력은 2019년 11월 KBS 방송 편성규약 개정으로 결실을 보았다.

조직

  • 이사회
    • 이사회사무국
  • 감사 (김영헌)
    • 감사실
  • 한국방송공사장 (양승동)
  • 부사장 (임병걸)
  • 인적자원실
  • 심의실
  • 성평등센터
  • 시청자센터
  • 남북교류협력단
  • 노사협력주간
  • 지역정책실
  • 전략기획실 (국은주)
    • 전략기획국
    • 예산국
    • 대외협력국
    • 공영미디어연구소
    • 미디어기술연구소
  • 편성본부 (한창록)
    • 편성전략국
    • 편성국
    • 디지털미디어국
    • 국제방송국
    • 아나운서실
    • 영상제작국
  • 보도본부 (김종명)
    • 통합뉴스룸
      • 정치국제주간
      • 경제주간
      • 사회재난주간
      • 방송뉴스주간
      • 디지털뉴스주간
      • 보도영상주간
    • 해설위원실
    • 시사제작국
    • 스포츠국
  • 제작1본부 (이상운)
    • 시사교양1국
    • 시사교양2국
    • 협력제작국
    • 라디오센터 (최봉연)
    • 라디오편성기획국
    • 1라디오국
  • 제작2본부 (이훈희)
    • 예능센터
    • 콘텐츠 사업국
    • 광고국
    • 드라마센터 (문보현)
    • 드라마 CP 그룹
    • 대형이벤트문화사업단 (김호상)
  • 기술본부 (이창형)
    • 기술관리국
    • 미디어인프라국
    • 방송네트워크국
      • 미디어플랫폼주간
    • 제작기술센터 (박종원)
    • TV기술국
    • 보도기술국
    • 중계기술국
    • 라디오기술국
  • 경영본부 (조현국)
    • 경영관리국
    • 수신료국
    • 경영정보국
    • 자산운용국
    • 시설관리국

역대 KBS 사장

역대
(대수)
성명 임기
제1~2대 홍경모 1973년 2월 ~ 1979년 2월
제3대 최세경 1979년 3월 ~ 1980년 7월
제4~5대 이원홍 1980년 8월 ~ 1985년 2월
제6대 박현태 1985년 2월 ~ 1986년 8월
제7대 정구호 1986년 8월 ~ 1988년 11월
제8대 서영훈 1988년 11월 ~ 1990년 3월
제9대 서기원 1990년 4월 ~ 1993년 3월
제10~11대 홍두표 1993년 3월 ~ 1998년 4월
제12~13대 박권상 1998년 4월 ~ 2003년 3월
제14대 서동구 2003년 3월 ~ 2003년 4월
제15~17대 정연주 2003년 4월 ~ 2008년 9월
제18대 이병순 2008년 9월 ~ 2009년 11월
제19대 김인규 2009년 11월 ~ 2012년 11월
제20대 길환영 2012년 11월 ~ 2014년 6월
제21대 조대현 2014년 6월 ~ 2015년 11월
제22대 고대영 2015년 11월 ~ 2018년 1월
제23~24대 양승동 2018년 4월~ 현재 [7]

역대 이사진

# 이사진
이사장 이사
1기 노정팔 고병익, 김남조, 김동철, 김동환, 김찬국, 박경환, 신세호, 양호민, 이인호, 전응덕, 한운사
2기 강찬선, 김갑현, 김동철, 김동환, 김춘수, 박흥수, 송재극, 윤여훈, 이인호, 이혜복, 전응덕, 한남석, 홍기선
3기 김태길 곽수일, 김규칠, 김우창, 신낙균, 이각범, 전대련, 조요한, 조찬길, 최영도, 최정호
4기 김채윤, 이세중 강현두, 박성수, 백정란, 인명진, 임홍빈, 정구현, 정동윤, 한상진
5기 지명관 곽배희, 김금수, 김선우, 김창국, 김철수, 박범신, 송재극, 이상희, 이연택, 전응덕, 황정태
6기 이종수 김상희, 김우철, 김인규, 박범신, 박원순, 백승헌, 윤수경, 이영덕, 이영자, 이형모, 전응덕
7기 김금수, 유재천 강성철, 권혁부, 김현태, 남인순, 박동영, 박만, 방석호, 신태섭, 이기욱, 이지영, 이춘발, 이춘호, 조상기, 추광영
8기 손병두 고영신, 김영호, 남승자, 이상인, 이창근, 이창현, 정윤식, 진홍순, 홍수완, 황근
9기 이길영, 이인호 김주언, 양성수, 이규환, 이병혜, 이상인, 임정규, 조준상, 최양수, 최영묵, 한진만
10기 이인호 강규형(해임), 권태선, 김경민(사퇴), 김서중, 변석찬, 이원일, 장주영, 전영일, 조우석, 차기환, 조용환, 김상근(도중합류)
11기 김상근 전영일, 권태선, 변석찬, 조우석, 이원일, 조용환, 김서중, 차기환, 장주영
12기 강형철, 김경달, 김영근, 김태일, 문건영, 박옥희, 서재석, 조용환, 천영식, 황우섭

로고

지금의 워드마크는 1984년 7월 5일에 전문 디자인 기업인 디자인포커스에서 제작과정하여 1984년 10월 29일부터 사용되었다. 1984년 10월 새로운 워드마크와 동시에 원형태극문양과 사람의 눈 모양으로 세계와 한국과 전파를 표현하였다.[8] 6개의 선으로 된 로고와 4개의 선으로 된 로고가 있으며, 1985년 8월 15일 KBS로고가 통합로고가 추인되었다.

운영 현황

조직과 인력

  • 대국소팀제 → 대팀제(정연주 사장 시절) → 대국소팀제(이병순, 김인규 시절) → 대국소팀제+'부장'직 부활(김인규 시절)

본사 (2020)

  • KBS는 2020년 1월 1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조직개편안을 통과시켰다. 개편안은 기존 6본부 4센터 체제를 1실 6본부 2센터 1사업부 체제로 개편하는 안이다. KBS 조직개편안은 신설된 방송본부 등 ‘사업 중심’ 으로 조직을 완전히 재편하는 것이 골자다.

지역방송국

한국방송공사의 경우, 서울을 관할하는 서울본국을 제외한 지역에 총 20개의 지역국(지역총국 9곳+나머지 지역국 11곳)을 보유하고 있다. 지역총국은 주요 거점 별로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으므로, 인근의 지역국(지국)을 총괄하고 있다.

자회사

직원

방송 제작 시설

1974년 4월 착공하여 1976년 11월 1일 준공된 본관건물은 지하1층, 지상7층 연건평 34,000평의 규모로 준공되었다. TV스튜디오 7개, 라디오스튜디오 19개등 최신 설비를 갖추고 있다. 현재 라디오센터, 시사교양, 외주제작파트의 사무실이 위치하고 있다.

1985년 12월 착공되어 1988년 6월 완공된 신관 건물은, 88올림픽의 국제종합방송센터(IBC)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건축 되었다. 88올림픽 이후에는 방송 제작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지하2층, 지상9층 규모로, 4개의 TV스튜디오, 2천석 규모의 공개홀이 자리잡고 있다. 현재 보도본부, 예능국, 시사교양국, 외주제작파트 등이 사용하고 있다.

1977년 11월 착공된 별관은 1980년 4월 준공되어 동양방송의 본사로 사용하고 있었다. 1980년 언론통폐합 조치로 동양방송의 여의도 사옥을 인수받아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1991년 9월 개관한 KBS홀은 1,660석의 규모의 10,890m2면적의 종합 공연장으로 가변식 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페라나 발레, 뮤지컬 등의 무대 작품 공연도 열리고 있으며, 방송사 주최의 대규모 특집 프로그램, 시상식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2000년 준공된 수원센터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작·미술·편의 시설과 오픈세트장, 특수촬영장 및 관련 부대시설로 구성된 종합영상제작단지이다.

본관

층수 시설명
7층 감사실장, 기획감사부, 콘텐츠제작감사부, 사업/인프라감사부, 대외협력국, 대외협력부, 커뮤니케이션부
6층 사장, 감사, 부사장, 전략기획실장, 제작2본부장, 기술본부장, 경영본부장, 비서실, 인적자원실장, 인사운영부, 노사협력주간, 노사협력부, 국제협력부, 혁신추진부, 대회의실
5층 라디오센터장, 라디오편성기획국, 1라디오국, 2FM부, 2라디오부, 1FM부, 남북교류협력단, 남북교류협력부, R국제방송부, 라디오기술국, 라디오기술 총감독1, 경영정보국, 경영정보부, 정보인프라부, 교향악단, RS-1~17, R주조, 성우실
4층 콘텐츠아카이브부, 라디오기획부, 라디오편성부, 디지털오디오부, 한민족방송부, 라디오기술 총감독2, 시설관리부, 라디오생방센터(1라디오,Classic FM,한민족방송,월드 라디오)
3층 전략기획국, 전략기획부, PSM전략부, 예산국, 예산부, 인사기획부,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2부, 제작기획2부, 콘텐츠프로모션부, TV기술국, TV기술 총감독1~4, 후반제작부, 음향디자인실, TS-6~7, 제작편집실-1~9, 인터뷰룸, 제1회의실
2층 성평등센터, 성평등부, 시청자센터, 시청자서비스부, 경영관리국, 총무부, TS-1~5, 출연자분장/대기실, 라디오생방센터(2라디오(Happy FM),Cool FM(교통정보센터),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
1층 안전관리실, 도서관, 의무실, 치과, KBS 시큐리티, 방송차량서비스
지하 1층 본관식당, 아나운서교육장, 사진스튜디오

사가

  • 2011년 1월 3일부터 KBS의 사가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가는 타지역 제휴국의 라디오의 방송 시작멘트에서 들을 수 있다.

1절

밝은 미래를 함께 여는 우리는 KBS
새시대 새로움으로 이 세상을 가득 채운다
우리의 진실한 열정은 세계를 밝혀주리라
우리는 KBS 사랑과 정의를 전해주리라
우리는 KBS 기쁨과 행복을 함께하리라
KBS 한국방송


2절

맑은 지혜가 샘 솟는다 우리는 KBS
사랑과 믿음이 모여 동서남북 하나가 된다
우리의 인류애로 온 누리엔 평화의 꽃 피어난다
우리는 KBS 희망찬 미래를 열어가리라
우리는 KBS 이 세상 환하게 비춰주리라
KBS 한국방송

방송 채널 보유 현황

방송지표

연도 방송지표
1986년 하나로 세계로 미래로
1990년 인간화, 민주화, 세계화-21세기를 준비합니다.
1993년 새로운 출발, 국민의 힘을 모읍시다.
1994년 국민과 함께 세계로/그린정신 - 인간사랑, 자연사랑, 나라사랑
1995년 광복 50주년 새 반세기의 출발
1996년 21세기 앞으로 5년 국민과 함께 KBS가 열어갑니다.
1997년 KBS 50년, 새로운 반세기 국민과 함께
1998년 경제위기 극복, 국민과 함께 KBS가 앞장섭니다.
1999년 21세기가 눈앞에 다시 일어서는 한국
2000년 벽을 넘어서 화합의 시대로
2001년 디지털 KBS, 희망을 함께 나눔을 함께
2002년 2002 코리아 하나되어 세계로 미래로
2003년 새출발 대한민국 화합의 시대로
2004년 함께 가자 대한민국
2005년 국민감동 KBS
2006년 아시아의 창 KBS
2007년 한국인의 희망 KBS
2008년 하나되는 대한민국 함께하는 KBS
2009년 공정 공익 KBS
2010년 희망2010 대한민국의 힘 KBS
2011년 시청자와 함께 디지털 KBS
2012년 하나되는 대한민국 글로벌 KBS
2013년 글로벌 KBS, 행복한 대한민국
2014년 창의와 신뢰로 미래를 여는 KBS
2015년 광복 70년 미래 30년, 대한민국 100년의 드라마
2016년 청년 대한민국
2017년 희망 2017 KBS가 함께 합니다.
2018년 희망과 감동 KBS가 함께 합니다.
2019년 함께하는 평화 함깨여는 미래
2020년 2020 새로운 시작, 공정 창의 혁신 KBS

재무 현황

주현요 수익원인 광고매출(2007년)이 5930억원으로 2006년에 비해 11.1% 감소했다.[10] :25 그리고, 489억원의 영업손실(2007년)을 보여 2006년에 이어 2년 연속 적자상태이며 당기순손실액은 278억원(2007년)으로 나타났다. [10]:26

방송 송출 시설망

한국방송공사 본사가 직접 관할하는 송출 시설망만을 다룬다.

TV

디지털TV
  • 1TV
    • 호출부호: HLKA-DTV
    • 가상채널: 9-1
  • 2TV
    • 호출부호: HLSA-DTV[11]
    • 가상채널: 7-1
송신소 UHD HD 송신소 위치 비고
물리채널 출력 물리채널 출력
1TV 2TV 1TV 2TV
관악산 송신소 CH 52 CH 56 5kW CH 15 CH 17 2.5kW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남산 중계소 CH 52 CH 56 5kW CH 22 CH 45 5kW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불광 중계소 CH 52 CH 56 900W CH 26 CH 28 90W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12]
백련 중계소 CH 52 CH 56 900W CH 20 CH 51 90W 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250 백련산 [12]
장위 중계소 CH 52 CH 56 900W CH 38 CH 47 90W 서울 성북구 장위동 산3-92 [12]
아날로그TV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조)
  • 1TV
    • 호출부호: HLKA-TV
  • 2TV
    • 호출부호: HLSA-TV
송신소 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1TV 2TV
남산 송신소 CH 9 CH 7 50kW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관악산 중계소 CH 25 CH 32 30kW / 10kW 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0
불광 중계소 CH 49 CH 52 500W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백련 중계소 CH 20 CH 32 500W 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250 백련산
정릉 중계소 CH 53 CH 57 100W 서울 성북구 성북동 산10
동소문 중계소 CH 49 CH 36 10W 서울 성북구 돈암2동 616-100 한신아파트 106동
장위 중계소 CH 20 CH 45 500W 서울 성북구 장위동 산3-92
행당 중계소 CH 57 CH 21 10W 서울 성동구 행당2동 328-1 한진아파트 106동

라디오

KBS 1라디오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
소래 송신소 AM 711kHz 500kW HLKA 경기 시흥시 미산동 484
관악산 송신소 FM 97.3MHz 10kW HLKA-SFM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진촌 중계소 FM 96.3MHz 100W - 인천 옹진군 백령면 북포리 산138-3
용문산 중계소 FM 90.3MHz 1kW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산25-1
감악산 중계소 FM 91.5MHz 50W[13] -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산182
성남 중계소 FM 93.5MHz 20W -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산2-2 검단산
용인 중계소 FM 88.1MHz 20W - 경기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3-1
KBS 2라디오 (해피FM)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
남양 송신소 AM 603kHz 250kW(주간)
500kW(야간)
HLSA 경기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 산24
관악산 송신소 FM 106.1MHz 10kW HLSA-SFM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KBS 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
화성 송신소 AM 1134kHz 500kW HLKC 경기 화성시 마도면 두곡리 113
관악산 송신소 FM 104.9MHz 2kW HLKC-SFM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KBS 클래식FM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
관악산 송신소 FM 93.1MHz 10kW HLKA-FM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KBS 쿨FM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
관악산 송신소 FM 89.1MHz 10kW HLKC-FM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백령 중계소 FM 90.9MHz 100W - 인천 옹진군 백령면 북포리 산138-3
성남 중계소 FM 97.7MHz 20W -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산2-2 검단산
KBS 한민족 제1방송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
당진 송신소 AM 972kHz 1000kW(주간)
1500kW(야간)
HLCA 충남 당진시 석문면 삼화리 산100
KBS 한민족 제2방송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
김제 송신소 AM 1170kHz 500kW HLSR 전북 김제시 신곡동 338-1

관련 인물

아나운서

KBS 본사 근무 아나운서
연도 기수 남성 여성
1985년 (11기) 강성곤
1987년 (14기) 김동우 이규원
(15기) 서기철, 김동환, 김호성
1989년 (16기) 김석훈
1991년 (18기) 성기영, 임수민, 정용실, 태의경
1993년 (19기) 김현태, 성세정 김성은, 황정민
1994년 (20기) 이형걸, 최승돈 변우영, 오유경
1995년 (21기) 김재원, 김홍성, 이성민, 한상권, 김연선
(22기) 김태규, 원석현, 유지철, 한태호, 윤석황 백정원, 신윤주
1996년 (23기) 이창진, 최시중, 이영재
1997년 (24기) 김은성, 오태훈, 윤인구, 이재후 국혜정, 신성원, 윤지영, 정세진, 홍소연
1998년 (25기) 이재홍
2000년 (26기) 배창복, 이규봉, 장웅 박주아, 최원정, 최윤경
2001년 (27기) 김기만, 박노원 정은승
2002년 (28기) 김희수, 이상협, 이영호 김지윤
2003년 (29기) 이광용, 이상호 김보민, 김윤지, 박사임, 백승주, 위서현, 이승연
2004년 (30기) 박태원, 최동석 김진희
2005년 (31기) 김재홍, 함윤호 윤수영, 이선영, 이정민
2007년 (33기) 오언종 박지현, 엄지인, 장수연
2008년 (34기) 김승휘 가애란, 유지원, 정다은
2009년 (35기) 도경완 김솔희, 이현주
2010년 (37기) 오승원 이지연, 전주리
2011년 (38기) 한상헌 이슬기, 정지원
2012년 (39기) 강승화, 조항리 김지원, 이각경, 이승현
2014년 (41기) 김선근 강서은
2015년 (42기) 이재성 박소현
2016년 (43기) 강성규, 김종현 이혜성
2018년 (45기) 남현종 김도연, 박지원
2019년 (46기) 이광엽, 김진웅 김수연, 송지원, 유도희, 이윤정

기자·특파원

수어통역사

동시통역사

기상캐스터

보도국장

PD

비판

함께 보기

각주

  1. 《2018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저, 방송통신위원회, 2018.
  2.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40조 제3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법」에 따라 설립된 한국방송공사를 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주관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3. 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실시에 관한 기준 제4조 제1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40조 제3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8조 제3항 제1호의 규정에 따라 한국방송공사를 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주관기관(이하 '주관방송사'라 한다)으로 지정한다.
  4. 汝矣島로最終 확정 KBS放送센터, 《매일경제》, 1972.11.27
  5. 朴大統領,李新民代表와 歓談, 《경향신문》, 1976.12.2
  6. 言論 통폐합 44개 기관 改編┈放送은 公營化, 《경향신문》, 1980.12.23
  7. 박재환 (2018.12.12). “네이버뉴스”. 《양승동 KBS사장, "디지털시대 역동적 공영미디어로 거듭 나겠다“》. 
  8. 디자인포커스::KBS
  9. KBS는 집행기관으로서 사장 1인, 2인 이내의 부사장, 8인 이내의 본부장 및 감사 1인을 둔다. 사장은 이사회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부사장은 이사회의 동의를 얻어 사장이 임명한다. 감사는 이사회의 제청으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임명하며, 본부장은 사장이 임명한다. 집행기관의 임기는 3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10. “2008년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 (PDF). 방송통신위원회. 2009년 7월 27일에 확인함. 
  11. 기존 동양방송 서울본사의 호출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12. UHD 방송망 확장 시설공사(백련,불광,장위)
  13. 감악산(중) FM 중계기 1식 구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