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18.218.9.102(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1번째 줄: 21번째 줄:


훈민정음에 따르면 ㅅ은 [[치음 (음운학)|잇소리]]를 나타내며, [[이 (몸)|이]]의 모습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IPA|[ s ̚ ]}}으로 발음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표준중세23">{{서적 인용 |저자=고영근 |날짜=2010 |제목=표준 중세국어문법론 |판=제3판 |위치=서울 |출판사=집문당 |쪽=23 |isbn=9788930314787 }}</ref>
훈민정음에 따르면 ㅅ은 [[치음 (음운학)|잇소리]]를 나타내며, [[이 (몸)|이]]의 모습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IPA|[ s ̚ ]}}으로 발음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표준중세23">{{서적 인용 |저자=고영근 |날짜=2010 |제목=표준 중세국어문법론 |판=제3판 |위치=서울 |출판사=집문당 |쪽=23 |isbn=9788930314787 }}</ref>

발음은 대부분의 경우 성문 마찰음 [ h ], 유성음 사이에서 성문 반찰음 [ ɦ ], 모음 'ㅣ'와 반모음 'ㅣ'앞에서 무성 경구개 마찰음 [ ç ], 모음 'ㅡ' 앞에서 무성 연구개 마찰음 [ x ]이다. 화자에 따라 모음 'ㅜ' 앞에서 무성 양순 마찰음 [ ɸʷ ]로 바뀌기도 한다.(단, 완전한 양순 마찰음은 아니고 접근음의 성질을 띈다.)


== 코드값 ==
== 코드값 ==

2019년 12월 26일 (목) 21:45 판

시옷(표준어), 시읏(문화어)
정보
자명시옷(표준어), 시읏(문화어)
훈몽자회時衣(衣: 훈독(옷))
자원이의 모양 (잇소리)
종류닿소리
획수2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s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s(초성, 모음 앞 종성)
t(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발음
어두무성 치경 마찰음[ s⁽ʰ⁾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ɕ ]
어중무성 치경 마찰음[ s⁽ʰ⁾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ɕ ]
어말치경 불파음[ t ̚ ]
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경음
획순

(표준어: 시옷, 문화어: 시읏)은 한글자음 중 일곱 번째 글자이다.

초성에서 쓰이는 ㅅ은 소릿값이 [ s⁽ʰ⁾ ]이지만, 종성에서 쓰이는 ㅅ은 소릿값이 종성 과 같은 [ t ̚ ]이다. 다른 평음과는 달리 단어 중간에서 유성음이 되지 않는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ㅅ은 잇소리를 나타내며, 의 모습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 s ̚ ]으로 발음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

발음은 대부분의 경우 성문 마찰음 [ h ], 유성음 사이에서 성문 반찰음 [ ɦ ], 모음 'ㅣ'와 반모음 'ㅣ'앞에서 무성 경구개 마찰음 [ ç ], 모음 'ㅡ' 앞에서 무성 연구개 마찰음 [ x ]이다. 화자에 따라 모음 'ㅜ' 앞에서 무성 양순 마찰음 [ ɸʷ ]로 바뀌기도 한다.(단, 완전한 양순 마찰음은 아니고 접근음의 성질을 띈다.)

코드값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U+3137 &#12599;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ᄉᅠ U+1109 &#4361;
끝소리 ᅟᅠᆺ U+11BA &#4538;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 U+F7C2 &#63426;
끝소리  U+F8C6 &#63686;
반각 U+FFB5 &#65461;

각주

  1. 고영근 (2010).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제3판. 서울: 집문당. 23쪽. ISBN 9788930314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