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계 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722JY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8722JY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64번째 줄: 64번째 줄:
*[[변옥주]](卞沃柱, 1906년 ~ 1962년)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im_106_30417 경성(교토)제국대학 법학과, 고등문과시험 사법과, 전주지방법원장,서울 고등법원장, 대법관]
*[[변옥주]](卞沃柱, 1906년 ~ 1962년)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im_106_30417 경성(교토)제국대학 법학과, 고등문과시험 사법과, 전주지방법원장,서울 고등법원장, 대법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602&ref=y&cid=40942&categoryId=34387 변동림](卞東琳,1916년 ~ 2004년) : 경기여고,이화여대 영문과, 시인 이상과 화가 김환기의 아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1&aid=0003637759 김환기와 재혼후 김향안으로] 개명, 파리와 뉴욕서 미술평론 공부,작품 활동, 환기재단 설립, [http://www.whankimuseum.org/new_html/main.php 환기 미술관 운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602&ref=y&cid=40942&categoryId=34387 변동림](卞東琳,1916년 ~ 2004년) : 경기여고,이화여대 영문과, 시인 이상과 화가 김환기의 아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1&aid=0003637759 김환기와 재혼후 김향안으로] 개명, 파리와 뉴욕서 미술평론 공부,작품 활동, 환기재단 설립, [http://www.whankimuseum.org/new_html/main.php 환기 미술관 운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0840&cid=40942&categoryId=34328 변종하](1926년 ~ 2000년):화가,대구출생, 만주신경미술학교,53년 국전 부통령상,홍대,서울대 교수,60년 프랑스 국제 조형미술회의 한국대표, 64년 국전 심사위원,91,93년 문화훈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0840&cid=40942&categoryId=34328 변종하](1926년 ~ 2000년):화가,대구출생, 만주신경미술학교, 프랑스 소르본느(제4대학), 미국 뉴욕대학 수학, 53년 국전 부통령상, 홍대,서울대 교수, 60년 프랑스 국제 조형미술회의 한국대표, 64년 국전 심사위원,91,93년 문화훈장
*[[변정수 (법조인)|변정수]]([[변정수|卞禎洙]], 1930년 ~ 2017년) : 前 [[헌법법원|헌법재판소]] 초대재판관, 서울 동부지방법원장,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장
*[[변정수 (법조인)|변정수]]([[변정수|卞禎洙]], 1930년 ~ 2017년) : 前 [[헌법법원|헌법재판소]] 초대재판관, 서울 동부지방법원장,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장
* [[변동걸]](卞東杰, 1948년 ~ ) : 제6대 울산지방법원장. 제4대[[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장.]]
* [[변동걸]](卞東杰, 1948년 ~ ) : 제6대 울산지방법원장. 제4대[[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장.]]

2019년 11월 10일 (일) 23:33 판

초계 변씨 (草溪 卞氏)
밀양 변씨 (密陽 卞氏)
관향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경상남도 밀양시
시조변정실(卞庭實)
집성촌충청북도 청주시
경상북도 청도군, 문경군
경상남도 합천군, 거창군
주요 인물변옥란, 변중량, *변계량, 변남룡, 변효문, 변형량, 변승업, *변상벽, 변상태,*변영만, *변영태, 변영로, 변희용, *변옥주, 변종봉, 변탁, 변정수, *변동걸, *변양균, *변재일 (법조인),*변재일 변재진, 변추석, 변우민, 변진섭, 변요한, 변재섭
인구(2015년)76,045명

고려시대에 문하시중(현 국무총리)인 도시조 변정실(卞庭實)의 분파로서, 종파는 초계변씨이다. 본관은 초계(草溪), (밀양)(密陽) 2본이다.(*변영태등 경기,여주 변씨 집성촌에서 밀양 변씨와 구분 원한 것이라는 설) 시조 변정실(卞庭實)은 고려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졌다.

영남의 명문으로 대제학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으며, 대표적 인물은 밀양 변씨의 계량(季良)이다. 그는 조선 초기 최고의 지성인이자 세종의 책사로, 태조, 태종, 세종 3대에 걸쳐 국가의 외교(명나라)와 제천 의식(기우제,강우에 성공)등 국가 공식문서의 90%를 작성했다는 문필의 달인으로, 양녕,효령,충녕대군(세종)의 스승이며,《태조실록,정종실록,태종실록》을 편찬하고《태조실록》을 완수,《고려사》를 개수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의 아버지 옥란(玉蘭)은 고려 말 각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조선 개국 원종공신으로 건국 초기에 중추원검교판사(中樞院檢校判事)가 되었다. 이 밖에 밀양 변씨에는 조선 원종공신으로 전기 우부승지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를 지낸 중량(仲良), 성종 때 무신 종인(宗仁), 숙종 때 화가 상벽(相璧), 철종 때 시문으로 이름난 종운(鍾運) 등이 있다.

초계 변씨의 최근의 인물로는 대한민국 제5대 국무총리, 3대 외무부 장관을 지낸 변영태(卞榮太)가 있다. 중추적 인물은 효문(孝文)이다. 그는 세종 때 직제학을 역임하고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왕래하였으며, 4군6진에 대해 중국,거란과 외교 담판으로 국경을 안정시키고,《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을 편찬하였으며, 그의 후손에 인물이 많이 나왔다. 연산군 때 홍문관정자(正字)로 있던 형량(亨良), 청백리에 녹선된 훈남(勳男), 임진왜란 때 승군(僧軍)으로 공을 세우고 시문에 뛰어난 헌(獻), 이 밖에 충신정문이 세워진 연수(延壽) ·옥희(玉希) 등이 있다.

난중일기에 나오듯이 위대한 이순신의 어머니가 초계 변씨이다.

1960년 국세조사에서는 인구 4만 38명으로서 성별 순위는 258성 중 제59위였고, 1985년 조사에서는 인구 6만 4143명으로, 전국 인구구성비 0.2%, 순위는 274성 중 제60위였다. 영문으로는 Pyun, Pyone, Byun, Byon, Byeon 등을 사용한다.

기원

*주(周)나라 **문왕(文王,姬昌)의 여섯째 왕자인 숙진 탁(叔振 姬鐸,희탁)이 주무왕과 역성혁명후,조후(曹侯,후작)에 봉해지고 식읍(食邑)으로 노나라의 <변읍(卞邑)>을 하사(下賜) 받아 지명을 따서 성(姓)으로 삼은 것이 시초로, 조숙진탁(曹叔振鐸)이다.姬封 衛 康叔 삼국지 조조의 왕비가 무선황후 변씨로, 조비,조식 세 부자 모두 '삼조'로 불리며 뛰어난 시재와 지략을 겸비해 명성이 높았다, 변씨(卞氏)는 중국(中國) 천수(天水:지금의 감숙성 위천도에 속한 지명)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당(唐)나라 천보년간(天寶年間: 742년 ∼ 755년)에 예부상서(禮部尙書)을 지낸 변원(卞源)이 743년(경덕왕 2) 왕명(王命)을 받들어 8학사의 한 사람으로 「효경(孝經)」을 가지고 신라에 동래(東來)하여 정착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그러나 그후의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고려 성종(成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진 변정실(卞庭實)을 시조(始祖)로 한다.

* 문왕 화평주의,덕치로, 여상(강상 여읍,태공망=강태공,낚시),아들 무왕과 역성 혁명,천하 통일, 역사상 '성군'. '주역'(백이숙제 수양산 고사리 아사, 절개) 첫째, 좋은 일을 보면 게으름 부리지 말고 바로 달려가라.둘째, 시기가 오면 머뭇거리지 말고 바로 달려가 잡아라. 셋째, 나쁜 일을 보면 빨리 그 자리를 피하고 가까이 가지 말아라. Time is Now *태임 주 문왕의 모후, 최초 태교와 교육, '태임'을 본받는다는 뜻이 사임당. *조조 화북평정 후(중국 대부분 얻고 천하 실권 장악, 능력중심인재등용,예술 재능과 리더십 겸비), 손권, 유비 연합군에게 적벽대전에서 대패, 촉(아들 조비, 한 헌제에게 선양받아 황제. 조조 끝내 역성혁명 안함, 조비 조예 조방)이 '진'(사마의(겸손, 절제, 인내, 재주 숨김의 처세술) 위,촉을 배반해 건국, 손자 사마염)이 '오'를 정벌해 통일.

역사

초계 변씨(草溪 卞氏)의 시조 변정실(卞庭實)은 고려 성종(成宗)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졌다. 변정실의 아들에 의하여 변광(卞光)의 장파(長派), 변요(卞耀)의 중파(仲派), 변휘(卞輝)의 계파(季派)로 갈라졌다.

생원 변요(卞耀)의 손자 변고적(卞高迪)이 밀양에 세거(世居)하면서 밀양 변씨(密陽 卞氏)로 분파하였다. 변고적의 6대손 변옥란(卞玉蘭)이 1346년(충목왕 2) 벼슬길에 올라 고려조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와 이조판서를 역임한 후 조선이 개국되자 검교판중추원사(檢校判中樞院事)에 임명되고 개국원종공신에 책훈되었다. 변옥란의 아들 변중량(卞仲良)은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백형인 이원계(李元桂)의 사위로서 1395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변중량의 동생 변계량(卞季良)은 조선 태종 때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후 1420년(세종 2) 집현전 대제학이 되어 20년간 재직하였으며, 1426년에는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에 올랐다.

본관

초계(草溪)는 경남 합천군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신라의 초팔혜현(草八兮縣)인데 신라 경덕왕이 팔계로 고쳤고, 940년(고려 태조 23) 초계로 명칭을 고쳤고, 1334년(고려 충숙왕 3)에는 초계현이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합천군 초계면이 되었다.

분파

시조 변정실의 아들 3형제에서 변광(卞光)의 장파(長派), 변요(卞耀)의 중파(仲派), 변휘(卞輝)의 계파(季派)로 갈라졌다. 변요(卞耀)의 손자 변고적(卞高迪)이 밀양(密陽)에 살기 시작하면서 밀양 변씨(密陽 卞氏)로 분적되었다. (*초계 밀양 변씨 종친회 미확인)

  • 장파(長派) - 변광(卞光)
  • 중파(仲派) - 변요(卞耀)
  • 계파(季派) - 변휘(卞輝)

인물

  • 변옥란(卞玉蘭, 1322년 ~ 1395년) : 1346년(고려 충목왕 2년) 액정내시(掖庭內侍)를 거쳐 예빈시승(禮賓寺丞)에 보임되었다. 1360년(공민왕 9) 진주판관을 지낸 뒤 전법정랑(典法正郎)이 되어 전라도안렴사로 파견된 바 있고, 1372년수원부사가 되었다. 1375년(우왕 1)판선공시사(判繕工寺事)에 이어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를 지내고, 충주(忠州)·청주(淸州)의 목사를 역임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호조판서에 이어 병조판서와 이조판서에 제수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검교판중추원사(檢校判中樞院事)에 임명되고 개국원종공신에 책훈되었다.[1]
  • 변중량(卞仲良, 1345년 ~ 1398년) : 이성계의 이복형인 이원계(李元桂)의 사위로,부친 변옥란과 함께 개국공신이며 정몽주의 문인이다.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密直使)를 지냈다. 1395년(태조 4) 이회(李薈) 등과 함께 조준(趙浚)·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 등의 독직을 비판하다 전중경(殿中卿)의 관직이 박탈되었으나, 그해 복직되었다. 1398년 우부승지(右副承旨)를 거쳐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이르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일파로 몰려 참살당하였다. 시(詩)에 능하였으며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춘당유고(春堂遺稿)》가 있다.흥선대원군때 신원돼 이조판서에 추증됨. *참살후 후손들,역관( 중국어,일본어, 외교)과 내의원, 무역상등 전문분야(중인영역)활동,변승업,정3품 당상관,거부 축적(장희빈 외숙).
  • *변계량([卞季良], 1369년 ~ 1430년) : 조선 개국 공신 변옥란의 막내 아들로,중량이 친형. 태종 세왕자들(세종포함)의 스승, 집현전 대제학,고려 사마시에 이어 조선 문과에서도 장원급제후(권람의 추천), 진덕박사, 사헌부시사, 성균관학정, 예문관의 응교, 직제학, 예조우참의, 예문관제학,예조판서, 참찬, 판우군 도총제부사를 지냈다. 변계량은 세종의 책사로, <*집현전 설치>와 <대마도 정벌>을 건의하고,<*공정한과거제>를 운영했는데, 이로 인해 명문 사대부의 조롱과 비판이 쏟아졌다. 집현전을 통해,세종에게 변계량 자신을 비롯한 조선의 브레인 그룹을 연결시켜 세종이 수많은 업적을 이뤄내는 체계를 이뤘다. 특히 변계량은 조선시대*대제학을 20여년 지낸 당대 최고의 학문 권위자로, 외교 문장으로써 명나라(문치주의 전성기,주희 성리학 채택)와 사대교린해 조선 건국혁명 정당성과, 명에 대한 공물 중 금,은을 제외해달라는 글을 지어 면제받고, 조선 건국 이념인 유교사회 건설을 전파하는데 쓰였다. 대제학은‘학문을 저울질하여 올바르게 평가한다'고 했으며 학문과 관련되는 모든 관직을 거친 대과 급제자만 오를 수 있었다. 또한 국가 시책이나 통치 철학을 학문에 반영하는 역할을 했다. 권력이나 이권하고는 무관한 학문을 다루는 최고 직책 대제학은 명예를 중요시하는 사대부들의 선망의 대상으로,“정승 10명이 대제학 한 명만 못하다”라는 말을 남겼다. 품계는 정2품으로 판서와 동급이지만 정승이나 판서보다 높게 대우 받았다. 화산별곡 춘정집다수가 전해진다. 세종은 집현전 학사 중에서 “앞으로는 본전(사무실)에 출근하지 말고 오로지 집에서 글을 읽어라”고 명한다.한 가지 조건은, 세 사람이 글을 읽는 규범은 변계량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다만, 태종이 무인정사때 형 중량을 참살했는데도, 계량은 뛰어난 문재로 '태종실록'과 집현전 등 중용됐는데, 사람과 물질에 무척 공정,정확,청렴해, 세종의 능력중심 인재등용 원칙에 의한 것이고, 아내 권씨의 부정과 가출, 이혼 등 가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TV-친누이 존재는 미확인; 양녕대군을 품행문제(치정)로 폐세자시켜 버린, 태종의 세왕자 전부의 스승이란 점을 놓고 볼때, 친누이(직계)관련 추문은 사실이 아니며(다른 내용의 문서확인), 태종때 대다수의 외척과, 공신 집안간 정적 제거 과정에서의 빌미가 와전된 걸로 추정)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계량(卞季良)

과거 급제자

초계 변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6명(초계11), 무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다.[3] *객관적 통계 자료 불분명

고려|문과]]

변계량(卞季良) 변창(卞昌)

고려 사마

변계량(卞季良) 변계량(卞季良) 변옹(卞雍) 변창(卞昌)

문과

변강지(卞綱之) 변계량(卞季良) 변계손(卞季孫) 변구상(卞九祥) 변삼근(卞三近) 변시익(卞時益) 변시환(卞時煥) 변옥(卞鋈) 변응수(卞應洙) 변종헌(卞鍾獻) 변철산(卞哲山) 변헌(卞獻) 변형량(卞亨良) 변황(卞榥) 변효경(卞孝敬) 변효문(卞孝文)

무과

변강(卞綱) 변국필(卞國弼) 변기달(卞起達) 변끝남(卞末男) 변덕수(卞德壽) 변동엽(卞東曄) 변동표(卞東杓) 변삼계(卞三戒) 변삼필(卞三必) 변상규(卞尙圭) 변성룡(卞成龍) 변세걸(卞世傑) 변세걸(卞世傑) 변시준(卞時峻) 변엽(卞熀) 변영식(卞永植) 변운서(卞雲瑞) 변유신(卞有信) 변응현(卞應賢) 변의규(卞懿圭) 변이례(卞爾禮) 변이례(卞爾禮) 변이명(卞爾明) 변이윤(卞爾玧) 변이흥(卞爾興) 변일원(卞日元) 변존서(卞存緖) 변종남(卞從男) 변중걸(卞重傑) 변지원(卞至遠) 변지인(卞至仁) 변취하(卞就夏) 변필화(卞必華) 변항규(卞恒圭) 변형(卞炯) 변호(卞晧) 변호덕(卞浩德) 변홍달(卞弘達) 변홍정(卞弘玎) 변흥벽(卞興璧) 변흥준(卞興俊) 변희전(卞希詮)

생원시

변강지(卞綱之) 변경수(卞景壽) 변관하(卞觀夏) 변균(卞鈞) 변기수(卞岐脩) 변동좌(卞東佐) 변맹래(卞孟來) 변박(卞搏) 변벽(卞璧) 변성진(卞星鎭) 변시명(卞時明) 변시익(卞時益) 변시회(卞時會) 변옥성(卞玉成) 변옥순(卞玉筍) 변우인(卞友仁) 변우진(卞宇鎭) 변욱(卞𣈫) 변유청(卞惟淸) 변유형(卞裕衡) 변이보(卞爾寶) 변일제(卞一濟) 변제원(卞悌元) 변종하(卞宗夏) 변지명(卞至明) 변충원(卞忠元) 변혁조(卞赫祚) 변황(卞榥) 변효경(卞孝敬) 변희눌(卞希訥)

진사시

변강지(卞綱之) 변규(卞揆) 변대손(卞大孫) 변동규(卞東規) 변동필(卞東弼) 변백원(卞百源) 변삼근(卞三近) 변세언(卞世彦) 변시래(卞時來) 변시망(卞時望) 변옥순(卞玉筍) 변응몽(卞應夢) 변이보(卞爾寶) 변지익(卞之益) 변헌(卞獻) 변현문(卞顯文) 변형량(卞亨良) 변홍민(卞弘民) 변홍하(卞弘夏) 변훈남(卞勳男) 변희적(卞熙績)

역과

변경식(卞敬植) 변경화(卞景和) 변광보(卞光寶) 변광서(卞光瑞) 변광수(卞光秀) 변광오(卞光五) 변광우(卞光宇) 변광운(卞光韻) 변광전(卞光銓) 변광진(卞光晉) 변광협(卞光協) 변광형(卞光亨) 변광호(卞光豪) 변구년(卞龜年) 변구연(卞九淵) 변국신(卞國臣) 변기화(卞箕和) 변덕화(卞德和) 변동원(卞東瑗) 변득규(卞得圭) 변득상(卞得祥) 변명규(卞命圭) 변문규(卞文圭) 변복규(卞復圭) 변봉년(卞鳳年) 변봉식(卞奉植) 변삼석(卞三錫) 변삼윤(卞三允) 변삼적(卞三迪) 변석구(卞錫龜) 변석기(卞錫基) 변성연(卞聲淵) 변세겸(卞世謙) 변세영(卞世榮) 변세화(卞世和) 변수민(卞壽敏) 변수연(卞秀淵) 변수헌(卞壽獻) 변숙기(卞肅基) 변승민(卞承敏) 변승업(卞承業) 변승연(卞昇淵) 변승준(卞承俊) 변승준(卞承遵) 변승택(卞承澤) 변승형(卞承亨) 변시화(卞時和) 변영석(卞永錫) 변영식(卞永植) 변용(卞嵱) 변용식(卞用植) 변우식(卞雨植) 변원구(卞元龜) 변원규(卞元圭) 변윤식(卞允植) 변은영(卞殷榮) 변응성(卞應星) 변의규(卞義圭) 변이보(卞爾輔) 변이수(卞爾遂) 변이숙(卞爾璹) 변이우(卞爾遇) 변이주(卞爾週) 변이창(卞爾昌) 변이표(卞爾標) 변이황(卞爾璜) 변익(卞熤) 변정기(卞廷機) 변정로(卞廷老) 변정욱(卞廷郁) 변정익(卞廷益) 변정태(卞鼎台) 변종구(卞鍾九) 변종기(卞鍾夔) 변종림(卞鍾林) 변종섬(卞鍾暹) 변종운(卞鍾運) 변종원(卞鍾遠) 변종응(卞鍾應) 변종헌(卞鍾獻) 변종환(卞鍾煥) 변중현(卞重玹) 변중화(卞重和) 변중환(卞重瑍) 변지옥(卞志玉) 변지철(卞志喆) 변지학(卞志學) 변지항(卞志沆) 변진(卞縉) 변진화(卞震和) 변집(卞緝) 변창화(卞昌和) 변춘식(卞春植) 변태관(卞泰觀) 변태우(卞泰佑) 변태희(卞泰禧) 변필화(卞必和) 변학년(卞鶴年) 변항연(卞恒淵) 변형식(卞亨植) 변효식(卞孝植) 변후규(卞後圭) 변흥기(卞興基) 변흥숙(卞興塾) 변흥식(卞興植) 변흥원(卞興垣)

율과

변광규(卞光珪) 변기엽(卞基燁) 변덕윤(卞德潤) 변득호(卞得祜) 변세감(卞世鑑) 변세강(卞世綱) 변세박(卞世鏷) 변세옥(卞世鈺) 변세일(卞世鎰) 변세진(卞世鎭) 변세호(卞世鎬) 변수창(卞壽昌) 변용해(卞龍海) 변작(卞焯) 변정수(卞楨秀) 변종수(卞宗洙) 변종해(卞宗海) 변학수(卞學秀) 변항운(卞恒運) 변항원(卞恒遠) 변흥규(卞興圭) 변흥용(卞興墉)

음양과

변광우(卞光瑀) 변광유(卞光瑜) 변득수(卞得壽) 변득희(卞得禧) 변승연(卞承淵) 변용규(卞龍圭) 변우식(卞友植) 변종렴(卞宗濂) 변종륜(卞鍾崙) 변창석(卞昌錫)

의과

변경태(卞景迨) 변곤(卞崑) 변긍식(卞肯植) 변대식(卞大植) 변동식(卞東植) 변문섭(卞文燮) 변석연(卞晳淵) 변수륜(卞壽崙) 변수준(卞壽俊) 변심연(卞心淵) 변연성(卞連成) 변엽(卞燁) 변의풍(卞宜豊) 변이형(卞爾珩) 변익연(卞翼淵) 변정연(卞晶淵) 변제식(卞濟植) 변종순(卞鍾淳) 변종협(卞鍾協) 변종호(卞宗浩) 변종휘(卞鍾徽) 변중관(卞重觀) 변지완(卞志琓) 변지원(卞志遠) 변충기(卞忠基) 변태항(卞泰恒) 변호(卞鎬) 변홍식(卞弘植)

음관

변영식(卞永植) 변익래(卞益來) 변호덕(卞浩德)

취재

변광전(卞光銓) 변대식(卞大植) 변정연(卞晶淵) 변지수(卞志洙) 변지탁(卞之鐸) 변지학(卞志學) 변지항(卞志沆) 변지호(卞志浩) 변태영(卞泰榮) 변흥린(卞興麟)

집성촌

항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