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62번째 줄: 262번째 줄:
|'''717 편성'''||운행 중||측면 일부 도색이 연두색이다.
|'''717 편성'''||운행 중||측면 일부 도색이 연두색이다.
2019년 3월 도봉산역 인근에서 탈선한적이 있지만 수리후 운행중이다.
2019년 3월 도봉산역 인근에서 탈선한적이 있지만 수리후 운행중이다.
7117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
|'''718 편성'''||rowspan="25"|[[1999년]]||운행 중||
|'''718 편성'''||rowspan="25"|[[1999년]]||운행 중||

2019년 8월 13일 (화) 10:17 판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736편성 (2015년)
736편성 (2015년)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제작 연도 1995~1996년, 1999~2000년
생산량 63개 편성 504량
제원
전장 19,500 mm
전폭 3,120 mm
전고 3,600 mm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제어 방식 1차분: VVVF-GTO(GEC-Alsthom) 1C4M제어
2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3차분: VVVF-IGBT(다원시스) 1C4M제어

4차분: VVVF-IGBT(다원시스) 1C4M제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80 km/h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3.5(상용), 4.5(비상) km/h/s
전동기 출력 210 kW
편성 출력 4200 kW
구동 장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2차분 전동차(現 763 편성 舊 821 편성)(서울교통공사 로고 변경 전)
2차분 전동차(現 763 편성 舊 821 편성)(서울교통공사 로고 변경 전)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제작 연도 1995~1996년, 1999년
생산량 20개 편성 120량
제원
전장 19,500 mm
전폭 3,120 mm
전고 3,600 mm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제어 방식 1차분: VVVF-GTO(GEC-Alsthom) 1C4M제어
2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80 km/h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3.5(상용), 4.5(비상) km/h/s
전동기 출력 210 kW
구동 장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 8000호대 전동차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서울교통공사통근형 전동차다. 7호선 차량이 7000호대, 8호선 차량은 8000호대로 구분된다. 현재 7호선 총 8량 63개 편성, 8호선 총 6량 20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기술적 사양

구체 및 외형은 당시 도입된 다른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차량과 유사하다.

TGIS 채용

열차정보제어에는 TGIS를 사용하고 있으며 ATO를 사용한 1인 승무 구조로 되어 있다. 8호선 차량에는 전 차량에 공중파 방식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를 추가로 장비하고 있다.

객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에 따라 2004~2005년까지 전 차량의 내장재 리뉴얼이 완료되었다.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재질로 교체되었으며, 단열재는 기존의 폼 소재에서 유리솜으로, 객차간 통로의 차단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서 불연 고무 재질로 교체되었다. 객실 내장판은 기존의 FRP 수지에서 세라믹 도료를 덧씌운 금속 재질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도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고 1차 도입분의 객실 유리창은 차량 말단부를 제외하고 도입 당시의 상부 개폐식에서 통유리로 교체되었다.

이후 2010년에 전 차량에 대하여 난연 소재의 방석이 추가 설치되었으며, SMRT-MALL 사업의 일환으로 객실 내 LED 안내기가 LCD를 사용한 것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방송장치가 통합 설정기로 교체되어 방송 음질이 다소 향상되었으며, 측면 LED 행선 표시기는 스크린도어의 설치로 보기 어렵게 된 사유로 한동안 작동시키지 않은 채 운행하다가 뒤이어 측면 행선 표시기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2대 사업자의 와이파이 AP(SK텔레콤, KT)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이 사업이 추진되면서 5~7회에 달하여 송출되는 발차 경고음 '딩동' 소리의 타이밍 등이 대폭 수정되었다. 2011년에는 객실 내의 질서 유지와 보안 유지를 위하여 시범적으로 객실내 CCTV를 설치·운용하고 있다.

편성

7호선 8량 편성

◇◇ ◇◇
70XX 77XX 76XX 75XX 74XX 73XX 72XX 71XX
Tc M2 M1 T T M2 M1 Tc
←부평구청 ※XX는 편성 번호 장암→
차량번호 설치된 전장품
70XX Tc(SIV, 축전지)
77XX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76XX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75XX T(무동력객차)
74XX T(무동력객차)
73XX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72XX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71XX Tc(SIV, 축전지)

8호선 6량 편성

◇◇ ◇◇
80XX 87XX 86XX 84XX 82XX 81XX
Tc M2 M1 T M1 Tc
←모란 ※XX는 편성 번호 암사→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80XX Tc(SIV, 축전지)
87XX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86XX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84XX T(무동력객차)
82XX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81XX Tc(SIV, 축전지)

도입 역사

1차 도입분(1995~1996년)

1996년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1995년 12월부터 1996년 7월까지 7호선 8량 17개 편성, 1995년 12월 1일부터 1996년 7월 31일까지 8호선 6량 15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형태의 도색이 사용되었으나,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2차 도입분과 동일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추진제어 장치는 GEC-알스톰 사의 VVVF-GTO 방식을 채택하였다.[1]

2차 도입분(1999~2000년)

1999년 서울 지하철 8호선, 2000년 서울 지하철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1999년 2월부터 5월까지 8호선 6량 22개 편성, 1999년 6월부터 2000년 9월까지 7호선 8량 45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8호선 6량 22개 편성은 시운전을 거쳐[2] 1999년 7월 2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운행에 투입되었다.[3] 반면, 7호선 8량 45개 편성은 1999년 10월부터 영업운행에 투입되었다.[4] 비드를 제거한 2시트 스테인리스 차체를 적용하였다. 객실 창문은 차량 말단부를 제외하면 일체형 복층 통유리를 적용하였다. 추진제어 장치는 도시바 사의 VVVF-IGBT 2레벨 3상 전압형 PWM 인버터(SVF35-A0)와, 도시바에서 제작한 210 KW급 전동기(3H3V2195형)를 채용하였다.서울도시철도공사 최초로 CI도색을 적용하였고, 도입 당시부터 휠체어·유모차 공간이 마련되었다. 실내의 경우는 1차 도입분과 큰 차이가 없다.

3차 도입분(2019년)

2020년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석남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7호선용 8량 2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4차 도입분(2023년)

2023년 별내선 개통과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8호선용 6량 9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5차 도입분(2024년)

2024년에 701, 702 편성 대체분으로 도입될 예정이며 8량 2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구분

  • 행선 안내 게시기 (전면): 1차 도입분은 행선 안내 표시기의 넓이가 작고 2차 도입분은 행선 안내 표시기의 넓이가 크다.
  • 창문 모양: 1차 도입분은 객실 창문이 2개로 나뉘었으나, 2차 도입분은 일체형 통유리로 되어 있다.
  • 측면 모양: 1차 도입분은 측면의 운전실 창문의 줄 색깔이 은회색이나, 2차 도입분은 검은색이다.
  • 옆면 모양: 1차 도입분은 갈록색 (7호선) - 분홍색 (8호선)의 노선 표현 도색의 가운데에 흰색 띠가 없으나, 2차 도입분은 가운데에 흰색 띠가 있다. 다만 726편성은 2차분이나, 1차분처럼 흰색 띠 없이 운행하고 있다.
  • 불연 내장재 교체: 1차 도입분은 도봉차량사업소모란차량사업소로 흥일기업에서 직원을 파견하여 시행하였고, 2차 도입분은 현대로템 의왕공장으로 차량을 운송하여 작업을 시행하였다.

배속

현재 운행구간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7호선 차량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701 편성 1995년 운행 중
702 편성 1996년 운행 중
703 편성 운행 중
704 편성 운행 중
705 편성 운행 중
706 편성 운행 중
707 편성 운행 중
708 편성 운행 중
709 편성 운행 중
710 편성 운행 중
711 편성 운행 중
712 편성 운행 중
713 편성 운행 중
714 편성 운행 중
715 편성 운행 중
716 편성 운행 중
717 편성 운행 중 측면 일부 도색이 연두색이다.

2019년 3월 도봉산역 인근에서 탈선한적이 있지만 수리후 운행중이다. 7117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718 편성 1999년 운행 중
719 편성 운행 중
720 편성 운행 중
721 편성 운행 중
722 편성 운행 중
723 편성 운행 중
724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725 편성 운행 중 7125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726 편성 운행 중 2차분중에 유일하게 흰색 줄무늬가 없이 운행하고 있다.
727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728 편성 운행 중
729 편성 운행 중
730 편성 운행 중
731 편성 운행 중 측면 차량번호 스티커가 타 편성보다 낮게 부착되어 있다.
732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732편성 7132호의 전조등은 LED로 개조되었다.
733 편성 운행 중
734 편성 운행 중
735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736 편성 운행 중
737 편성 운행 중
738 편성 운행 중
739 편성 운행 중
740 편성 운행 중
741 편성 운행 중
742 편성 운행 중
743 편성 2000년 운행 중
744 편성 운행 중
745 편성 운행 중
746 편성 운행 중
747 편성 운행 중
748 편성 운행 중
749 편성 운행 중
750 편성 운행 중
751 편성 운행 중
752 편성 운행 중 2005년에 철산역 방화로 인해 3량 전소 되서 8호선 822편성 3량을 잉여시켰다.
753 편성 운행 중
754 편성 운행 중
755 편성 운행 중
756 편성 운행 중
757 편성 운행 중
758 편성 운행 중
759 편성 운행 중
760 편성 운행 중
761 편성 운행 중
762 편성 운행 중
763 편성 1999년 운행 중 821편성 6량과 822편성 2량을 조합시켜 제작한 열차이다.
771 편성 2019년 시운전 예정 2020년 개통 예정인 석남 연장선 반입분이다.
772 편성 도입 예정

8호선 차량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801 편성 1995년 운행 중 8001, 8101호의 전조등이 LED로 개조되었다.
802 편성 1996년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803 편성 운행 중
804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805 편성 운행 중
806 편성 운행 중
807 편성 운행 중
808 편성 운행 중
809 편성 운행 중
810 편성 운행 중
811 편성 운행 중
812 편성 운행 중
813 편성 운행 중 8113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814 편성 운행 중
815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816 편성 1999년 운행 중
817 편성 운행 중
818 편성 운행 중
819 편성 운행 중
820 편성 운행 중

특이사항

8호선 1차 도입분의 반입 루트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1차 도입분 중 가장 처음으로 반입된 3개 편성(801~803 편성)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1차 도입분 27편성의 도입 과정과 마찬가지로 수서역 종단부에 설치된 수직 반출구(현재 철거)를 통하여 대형크레인으로 전동차를 수직 인양한 뒤 중대로상에 임시 설치되어 지하로 이어진 선로를 통해 반입되었다. 나머지 12개 편성(804~815 편성)은 서울역, 신설동역, 까치산역 인근의 연결선 및 방이역가락시장역을 잇는 연결선을 통하여 도입되었다.

7호선 방화 사건에 따른 차량 이적

2005년 1월 3일에 일어난 방화 사건으로 인하여 752편성의 8량 중 3량이 전소되었다. 전소된 3량 중 Tc 차량은 도봉차량사업소 열차 운행 체험·교육실로 활용되고, 2량은 도봉차량사업소에 보존되었다. 752편성의 나머지 5량은 822편성에서 차출된 3량과 재편성되어 운행을 재개하였다. 822편성에서 남은 3량 중 부수차량 2량과 821편성 6량은 2010년 763편성으로 재편성되어 763편성으로서 7호선에 차출·투입되었으며, 822편성에 남은 8022호는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모형 차량으로 활용되었다.

측면안내 표시기 작동 중단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모든 측면 행선안내 표시기를 철거하고,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부착 되었다.

자전거 전용칸 개조

2009년부터 7호선 2차분 724, 727, 732, 733, 735편성 8호선 1차분 802, 804, 805, 815, 2차분 816편성은 열차 양 끝 칸맨 앞에 자전거 거치대 설치가 이루어졌다.

영화 속 등장

7호선 1차 도입분 703편성은 2003년 영화 튜브에서 테러리스트(박상민)의 테러 타겟이 되는 전동차로 등장하였으며,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246편성)를 흡사하게 도색을 하여 촬영을 하기도 했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