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019년 5월 10일 (금) 14:17 판으로 되돌림
147번째 줄: 147번째 줄:
== 역 구조 ==
== 역 구조 ==
===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개찰구는 2, 3층에 있으며 2층은 [[ITX-새마을]]·[[무궁화호]], 3층은 [[한국고속철도|KTX]]를 취급한다. [[한국고속철도|KTX]] 개통 당시에는 확실히 구분하였으나, 승강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구분을 하지 않는다.
개찰구는 2, 3층에 있으며 2층은 [[ITX-새마을]]·[[무궁화호]], 3층은 [[한국고속철도|KTX]]를 취급한다. [[한국고속철도|KTX]] 개통 당시에는 확실히 구분하였으나, 승강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한국고속철도|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 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와 [[누리로]]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천안역|천안]], [[신창역 (아산)|신창]]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번, 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한국고속철도|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 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와 [[누리로]]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천안역|천안]], [[신창역 (아산)|신창]]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번, 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305번째 줄: 305번째 줄:
|rowspan="2"|{{한국 도시철도|AR}}
|rowspan="2"|{{한국 도시철도|AR}}
|rowspan="2"|일반열차
|rowspan="2"|일반열차
| 당역 종착
| 당역 종착<ref>직통열차도 이곳에서 종착한다.</ref>
|-
|-
!하행
!하행
| [[홍대입구역|홍대입구]]{{·}}[[김포공항역|김포공항]]{{·}}[[검암역|검암]]{{·}}[[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터미널]]{{·}}[[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홍대입구역|홍대입구]]{{·}}[[김포공항역|김포공항]]{{·}}[[검암역|검암]]{{·}}[[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터미널]]{{·}}[[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
!rowspan=2|직통열차
!rowspan=2|직통
|rowspan="2"|{{한국 도시철도|AR}}
|rowspan="2"|[[인천국제공항철도]]
|rowspan="2"|직통열차
|rowspan="2"|직통열차
| 당역 종착
| 당역 종착
318번째 줄: 318번째 줄:
|}
|}
*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
{{유형문화재 정보
|소재_국가=[[대한민국]]
|유형=[[대한민국의 사적|사적]]
|그림=Seoul station (OLD).JPG
|이름=서울역사<br />(서울驛舍)
|지정_번호=284
|소재지={{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br />통일로 1 (봉래동2가)
|소유자=[[대한민국 문화재청]]
|제작_시기=[[일제강점기]] ([[1922년]] 착공 ~ [[1925년]] 완공)
|비고=
|지정연월일=[[1981년]] [[9월 25일]]
}}
[[파일:Keijo Station.JPG|섬네일|left|건립 당시의 서울역(당시 경성역) 전경]]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 철도|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 철도|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시|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국유철도|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광역시|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 - [[신징|신경]](新京) 혹은 [[베이징 시|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와 [[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 역|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다만,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 1역은 [[도쿄 역]], 동양 제 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돔]]을 올렸다. 그 [[돔]]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남측에 신 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으나, [[대한민국의 사적|사적]]으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대한민국 문화재청|문화재청]]에서 역사의 원형 보존을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7년 7월 24일 관리 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5월 1일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뀌었다.<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319082825435000&tocId=00000000000000001319082831368000&isTocOrder=N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08-37호], 2008년 5월 1일.</ref>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하여,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옛 서울역 건물, 복합문화공간 탈바꿈… 문화역서울 284’로 개관 |url=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238804 |출판사=국민일보 |저자=이광형 |날짜=2011-08-09 |확인날짜=2017-01-15 }}</ref>[[파일:문화역서울284.jpg|섬네일|문화역서울284]]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개방한다.


== 역 주변 ==
== 역 주변 ==
336번째 줄: 363번째 줄: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 {{한국 도시철도|KR1}}
* [[서울남대문경찰서]]
* [[서울남대문경찰서]]
* [[남대문시장]]
* [[남대문시장]]

2019년 5월 19일 (일) 10:58 판

서울
2층
2층
승강장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서울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
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역 번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P313
종별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등급 특1급
역 코드 AFC: 1001 (경부선)/1251 (경의선)
승강장수 8면 20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경부선
서울 기점 0.0 km
남영
(1.7 km)
경의선
서울 기점 0.0 km
신촌
(3.1 km)
서울역
1호선 역명판
1호선 역명판
4호선 역명판
4호선 역명판
Map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1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2
4호선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392
좌표 북위 37° 33′ 20.79″ 동경 126° 58′ 20.90″ / 북위 37.5557750° 동경 126.9724722°  / 37.5557750; 126.9724722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역 번호 1호선 : 133
4호선 : 426
역 코드 AFC : 150 (1호선)
426 (4호선)
승강장수 각각 1면 2선(섬식)
거리표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기점 0.0 km
시청
(1.1 km)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 기점 19.7 km
회현
(0.9 km)
숙대입구
(1.0 km)
서울
승강장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1
역 코드 AFC: 4201
승강장수 2면 3선
거리표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0.0 km
공덕
(3.3 km)

서울역서울특별시 용산구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다닌다. 경부선, 경의선이 이 역을 기점으로 뻗어 있으며,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계통의 열차가 출발하는 중추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역 동부에는 서울 지하철 1호선4호선이, 서부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하로 통과하고 있다. 2016년 12월 9일부터 KTX 한정으로 호남선전라선 취급이 재개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3년에 개장한 민자역사이며,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이나,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역이며 지하 서울역으로도 통칭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심야에 일반열차 2편성, 직통열차 1편성이 주박한다.

명칭

한국철도공사관할 서울역과 서울교통공사 관할 서울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자를 지상 서울역(地上-驛) 또는 국철 서울역(國鐵-驛), 후자를 지하 서울역(地下-驛)이라고도 부른다. 다만,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은 지하에 있으나 통상 '지하 서울역'이라는 구분 표현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노선

서울특별시의 중추역으로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KTX경부선, 경전선 ITX-새마을·무궁화호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4량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일부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행신역까지 운행한다. 2004년 4월 1일 이전까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도 이 역에서 취급하였으나(누리로2편성에 한해 서울역 시.종착)현재 용산역으로 이전되었다.[1] 그리고 경부선 부산발 21시45분 발차 서울행 무궁화호 #1226 열차 역시 서울역 환승통로 공사관계로 용산역까지만 단축되어 운행되었으나 아래의 상.하행 열차 구간단축으로 무궁화 1226열차는 다시 원래 종착역인 서울역으로 환원되었다 1227열차는 서울역 22시55분발차 동대구행 무궁화1309열차로 단축 부산역23시10분 발차 무궁화1228열차는 동대구역 23시50분 발차 무궁화1310열차로 구간이 단축 되었다

호남선, 전라선 KTX·ITX-새마을·무궁화호장항선 새마을호, 무궁화호용산역에서 시·종착하나 전라선 KTX2012년 5월 12일부터 같은 해 8월 12일까지 여수엑스포 기간에 임시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고, 2013년 4월 20일부터 같은 해 10월 20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이후에도 행신 착발 #603/#4003, 상행 #520/#4006 KTX-산천 복합열차가 이 역에 왕복으로 1일 1회 정차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KTX 운행을 이유로 2014년 6월 30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서울-천안급행이 시·종착하는 관계로 천안급행 승강장과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행되지 않는 시간에 한하여 누리로가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된 환승 통로가 없었으나 2009년 7월 22일부터 환승 연계로 횟수가 1회 차감되는 방식으로 1회용 교통카드, 정기 승차권을 제외하고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다. 2011년 8월 16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착공되어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고, 개찰구 외부를 통한 환승 할인은 차단되었다. 다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여전히 별도의 환승 통로가 존재하지 않고, 선·후불 교통카드 사용자에 한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역사

1899년 9월 18일 개통한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노선이었으나, 개통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의 노량진에서 끊겨 사실상 서울을 연결해 주지 못하였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의 개통으로 한성부에 드디어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서울역은 이때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가설하여 문을 열었다. 당시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으므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는 등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그 규모는 작았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이 될 중심역을 만들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데다, 도심에서 떨어져 있어 신 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1923년 1월 1일 경성역으로 역명을 바꾸고 본격적인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도쿄 역에 이은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완공되었고, 이후 만주 방면의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의 철도 교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경성역은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편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열차 이용을 도왔다. 1960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송량을 보이게 되어, 서울 올림픽에 발맞춰 1988년에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개장일 기준으로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2] 이후 KTX 운행이 가까워 오자 다시 신규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에 현재의 역사를 새로 건설하여 2004년 4월 1일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선로 용량의 문제로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가 어렵게되어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여객 업무 취급을 이관하였다.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 그리고 2010년 12월 29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어서 이 역은 3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연혁

일반 철도
도시 철도 및 광역 철도

역 구조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개찰구는 2, 3층에 있으며 2층은 ITX-새마을·무궁화호, 3층은 KTX를 취급한다. KTX 개통 당시에는 확실히 구분하였으나, 승강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 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와 누리로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천안, 신창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번, 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서부역 승강장은 원래 경의선 승강장이었으나 경의선 승강장이 옛 서울역 앞 승강장으로 이전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 경의선 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2, 3·4번 승강장 방향으로 지하에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연결된 지하 통로가 있다. 이전에는 일반열차 이용 후 지하 서울역과 연계되었으나 현재 열차내 판매용 식품을 관리하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당시 철도청 관할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으나, 신 역사 공사로 인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운임 구역과 중첩되는 관계로 필요성이 사라져 폐쇄되었다. 그 당시 천안급행의 경우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분리되었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4번 승강장의 통로는 2017년 3월에 새로 개통되었다.[11]

신촌
| | | | | | 경의
시·종착역

행신(경의선 KTX)/시·종착역(경부선, 1호선 급행)
| | 14 13 | | 12 11 | | 10 9 | | 87 | | | 65 | | | 43 | | | 21 | | |
청량리(경원선)↓/용산(경부선)↓/금천구청(1호선 급행)↓
경의 경의·중앙선 일반열차 · 급행열차(서울-문산) 신촌 · 가좌 · 행신 · 대곡 · 일산 · 문산 방면
1·2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천안 · 신창) 금천구청 · 안양 · 군포 · 의왕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방면
3~10 경부선 KTX 부산 · 포항 방면
ITX-새마을 · 무궁화호 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KTX · 무궁화호 진주 · 마산 방면
호남선 KTX 목포 방면
전라선 KTX · 남도해양열차 여수엑스포 방면
장항선 누리로 신창 방면
경의선 평화열차 용산 · 도라산 방면
경원선 백마고지 방면
충북선 · 영동선 무궁화호 · 중부내륙순환열차 제천 · 철암 방면
11·12 경부선 · 경전선 KTX · ITX-새마을 당역종착
13·14 강릉선 KTX 평창 · 강릉 방면
서부 미사용 구 경의중앙선 승강장(2017년 11월 28일까지 사용)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1호선과 4호선 모두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
시청
| 상 하 |
남영
상행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 의정부 · 광운대 · 청량리 · 동대문 · 종로3가 · 시청 방면
하행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 병점 · 구로 방면


4호선 승강장
회현
| 하 상 |
숙대입구
상행 수도권 전철 4호선 명동 · 한성대입구 · 창동 · 당고개 방면
하행 이촌 · 금정 · 중앙 · 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기존 한국철도공사 역의 남서편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개통 초기 한국철도공사의 전산에는 공항서울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통합되었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개찰구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와 직통 열차 종착이 이용하고,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으나, 상당히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합실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만 취급한다.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시·종착역(공항철도/AREX직통)
  상 하      
공덕(일반)↓/인천공항1터미널(AREX직통)↓
상행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열차 당역 종착[12]
하행 홍대입구 · 김포공항 · 검암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직통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당역 종착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서울역사
(서울驛舍)
대한민국사적
지정번호 사적 제284호
(1981년 9월 25일 지정)
소재지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제작시기 일제강점기 (1922년 착공 ~ 1925년 완공)
소유자 대한민국 문화재청
건립 당시의 서울역(당시 경성역) 전경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 - 신경(新京) 혹은 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다만,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 1역은 도쿄 역, 동양 제 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을 올렸다. 그 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남측에 신 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으나, 사적으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역사의 원형 보존을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7년 7월 24일 관리 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5월 1일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뀌었다.[13]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하여,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14]

문화역서울284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개방한다.

역 주변

서울역광장

서울역광장은 역 앞의 넓은 도보 거리를 일컫는다. 이 곳은 오래 전부터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어왔다. 대표적으로는 5.15 서울역 집회가 있다.

역사 내부

  • 롯데아울렛 서울역점
  • 롯데마트 서울역점
  • 피자헛 서울역점
  • 계절밥상 서울역점
  • 국군장병 라운지 TMO: 군인으로 하여금 인터넷 등 사용할 수 있는 휴게공간으로 1층 소재
  • 코레일 라운지: 우리은행과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하여 등록한 IC카드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휴대폰 충전, 음료, 간행물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2층 소재
  • 중소기업마루

동쪽

서울역 동쪽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서쪽

승차량 변동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이용객이 많으며, 대표적인 역으로 손꼽힌다.[출처 필요] 통일호KTX 개통과 함께 2004년 4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일반열차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15]
경부선 경의·중앙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2012년 하행 승차 13515748 508758 3199192 폐지
하차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하차
연도와 승하차 이용 인원[16]
KTX 산천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청춘 총계
2013년 승차 12681118 905585 500925 2882914 392818 3078 17366438
하차 13143852 696515 425613 2744054 517931 2736 1753070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경의·중앙선 승차 미개통 4,237 [17]
하차 4,831
1호선 승차 48,010 49,333 49,003 47,651 52,717 55,832 57,231 57,360 62,913 56,897 [18]
하차 43,744 42,575 42,179 41,105 44,363 46,448 48,092 48,510 55,367 49,331
승하차 91,754 91,908 91,182 88,756 97,081 102,280 105,323 105,870 118,820 106,228
4호선 승차 11,983 10,904 11,030 10,685 9,332 8,150 7,665 7,802 7,458 7,735
하차 16,884 18,029 18,080 17,382 17,753 17,139 17,011 16,894 16,431 16,389
승하차 28,866 28,933 29,110 28,067 27,085 25,289 24,676 24,696 23,889 24,12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5,504 6,141 6,212 5,672 5,944 3,169 2,332 2,861 3,087 [17]
하차 6,305 6,969 7,051 6,288 6,592 3,317 2,909 3,325 3,939
1호선 승차 61,297 72,495 73,127 73,855 74,092 63,945 62,913 58,795 55,251 [18]
하차 53,130 61,688 62,297 64,948 66,476 57,308 55,367 52,420 52,954
승하차 114,427 134,183 135,424 138,803 140,568 121,253 118,280 111,215 108,475
4호선 승차 9,284 10,917 10,839 10,932 10,946 11,170 12,171 12,365 13,242
하차 18,924 22,839 22,097 20,433 19,575 20,141 22,041 21,192 22,477
승하차 28,208 33,756 32,936 31,365 30,521 31,311 34,212 33,557 35,719
공항철도 승차 8,272 11,487 15,200 17,062 18,503 [19]
하차 8,285 12,292 16,164 17,856 19,130

인접한 역

경의본선 · 경부고속본선
행신
행신 방면
행신 방면
KTX
경부고속선 · 경부선
경전선 · 동해선
광명
부산 방면
마산 · 포항 방면
경의본선 · 호남고속본선
행신
행신 방면
KTX
호남고속선 · 호남선
전라선
용산
목포 · 여수엑스포방면
경부본선
시·종착역 KTX
경부선
영등포
부산 방면
시·종착역 ITX-새마을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영등포
부산 · 진주 · 신해운대방면
시·종착역 누리로
장항선
영등포
신창 방면
시·종착역 누리로
충북선
영등포
제천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
경부선
용산
부산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
경전선
영등포
진주 방면
시·종착역 중부내륙순환열차 영등포
철암 방면
시·종착역 남도해양관광열차 영등포
여수엑스포 방면
시·종착역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B급행 신창 급행
139 영등포[20]
신창 방면
경부본선 · 경원본선
시·종착역 KTX
강릉선
청량리
강릉 방면
경의본선
문산
도라산 방면
DMZ train
경의선
용산
용산 방면
P314 신촌
문산 방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급행 · 경의선 완행
시·종착역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본선
132 시청
소요산 방면
광운대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급행 · 경인선 완행
경부선 완행
134 남영
인천 방면
서동탄 · 신창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
425 회현
당고개 방면
수도권 전철 4호선
급행 · 완행
427 숙대입구
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1터미널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공항철도 직통 시·종착역
A02 공덕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
시·종착역

사진

같이 보기

각주

  1. 장항선의 경우 2016년 12월 8일까지 누리로 열차를 투입 운용하면서 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두 정차하였다.
  2. 개장일이 아닌 민자역사 회사 설립일 기준으로는 영등포역이 최초의 민자역사이다.
  3. “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 (PDF). 《황성신문》. 1900년 7월 6일.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4일에 확인함. 
  4.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5. 역명개칭고시, 《동아일보》, 1922.12.29.
  6.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년 4월 17일.
  7.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년 6월 17일.
  8. 중구 한강대로 405 (봉래동2가 122-21) →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로 이전함
  9.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10.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11. 서울역서 KTX 내려 바로 지하철 탄다…승강장에 '환승통로' 설치. 연합뉴스. 2017년 3월 23일.
  12. 직통열차도 이곳에서 종착한다.
  13.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08-37호, 2008년 5월 1일.
  14. 이광형 (2011년 8월 9일). “옛 서울역 건물, 복합문화공간 탈바꿈… 문화역서울 284’로 개관”. 국민일보.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15. “철도통계연보”. 2013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16. “보관 된 사본”.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17.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18.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19.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20. 상행선만 정차하며 하행선 다음역은 금천구청역이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