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함수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8번째 줄: 28번째 줄:
* <math>\mathbf f(\mathbf a,\mathbf b)=\mathbf 0</math>
* <math>\mathbf f(\mathbf a,\mathbf b)=\mathbf 0</math>
* <math>\det\frac{\partial\mathbf f}{\partial\mathbf y}(\mathbf a,\mathbf b)\ne 0</math>
* <math>\det\frac{\partial\mathbf f}{\partial\mathbf y}(\mathbf a,\mathbf b)\ne 0</math>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미분 가능 함수 <math>\mathbf g\colon W\to\mathbb R^m</math>가 존재하게 되는 [[열린집합]] <math>\mathbf a\in W\subseteq U</math>가 존재한다.
여기서 <math>(\partial\mathbf f/\partial\mathbf y)_{ij}=\partial f_i/\partial y_j</math>이다.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미분 가능 함수 <math>\mathbf g\colon W\to\mathbb R^m</math>가 존재하게 되는 [[열린집합]] <math>\mathbf a\in W\subseteq U</math>가 존재한다.
* <math>\mathbf b=\mathbf g(\mathbf a)</math>
* <math>\mathbf b=\mathbf g(\mathbf a)</math>
* 임의의 <math>\mathbf x\in W</math>에 대하여, <math>\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mathbf 0</math>
* 임의의 <math>\mathbf x\in W</math>에 대하여, <math>\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mathbf 0</math>

2019년 3월 4일 (월) 02:45 판

다변수 미적분학에서, 음함수 정리(陰函數定理, 영어: implicit function theorem)는 변수들에 대한 방정식이 국소적으로 함수 관계를 나타낼 충분 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

도입

2차원 유클리드 공간 위에서 원점 을 중심으로 하며 1을 반지름으로 하는 의 방정식

을 생각하자. 이 방정식은 에서 다음과 같은 유일한 함수와 동치이다.

또한 이 방정식은 에서 다음과 같은 유일한 함수와 동치이다.

이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에서 위와 같은 두 가지가 있으므로 유일하지 않다. 그러나 을 지나는 연속 함수는 첫 번째 함수로 유일하다. 이 사실에 대한 기하학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이렇게 정의한 의 그래프는 에 놓인 곡면이며, 위와 같은 원은 이 곡면과 평면 의 교선이다. 주변에서 인 점 을 임의로 취하자. 여기에는 특히 역시 포함된다. 가 고정되었을 때, 주변에서 에 대한 순증가 함수이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에 대하여 이 성립하며,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따라서 의 영점 집합은 에서 국소적으로 어떤 함수 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에 대한 순단조 함수가 되기 위한 한 가지 충분 조건은 이며, 음함수 정리에서는 이를 가정으로 삼아 국소적으로 유일한 음함수의 존재를 결론으로 제시한다. 사실 은 비퇴화 조건의 가장 간단한 경우이다. 여러 개의 방정식의 연립

에서 가 국소적으로 의 함수인지를 다루려면 다음과 같은 비퇴화 조건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 등식의 좌변은 함수 의 변수 에 대한 야코비 행렬식이다. 특히, 만약

일 경우, 위에서 정의한 야코비 행렬식은 을 상수로 간주하여 얻는 연립 일차 방정식의 계수 행렬의 행렬식 이다.

정의

열린집합 의 곱집합 의 원소를 (, )로 쓰자. 연속 미분 가능 함수 가 점 에서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여기서 이다.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미분 가능 함수 가 존재하게 되는 열린집합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또한, 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이를 음함수 정리라고 한다.[1]:326 에 대하여, 만약 함수라고 가정하면, 함수가 된다. 일 경우, 만약 의 연속 미분 가능성 대신 의 연속성만을 가정하면, 유일한 연속 음함수 는 여전히 국소적으로 존재하나, 의 미분 가능성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경우

열린구간 의 곱집합 에 정의된 연속 함수 의 둘째 편도함수 가 연속 함수이며, 가 점 에서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함수 가 존재하게 되는 열린구간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또한, 만약 역시 연속 함수라면, 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며, 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이는 음함수 정리의 가장 간단한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에 대하여, 만약 함수라고 가정하면, 함수가 된다.

증명

수학적 귀납법을 통한 증명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m=1

먼저 일 경우를 증명하자. 편의상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에 연속성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에 따라 에서 순증가 함수이며, 또한 이므로, 이다. 따라서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에서 순증가 함수이자 연속 함수이므로, 중간값 정리에 따라 인 유일한 가 존재한다. 이렇게 정의한 함수 는 임의의 에 대하여 를 만족시키며, 특히 이다. 이제 의 연속성을 증명하자. 임의의 및 충분히 작은 에 대하여, 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이제 의 유일성을 증명하자. 연속 함수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가정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집합이 열린닫힌집합임을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우선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즉, 의 열린집합이다. 또한 임의의 에 대하여, 의 연속성에 의하여 이다. 즉, 의 닫힌집합이다. 연결 집합이며, 또한 이므로, 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이제 의 연속 미분 가능성과 도함수 공식을 증명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즉, 음함수 정리의 도함수 공식이 성립하며, 가 연속 함수이므로, 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m>1

이제 일 경우를 증명하자. 편의상 이라고 가정하고, 의 원소를 로 쓰자. 그렇다면,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미분 가능 함수 가 존재하게 되는 충분히 작은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다.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미분 가능 함수 가 존재하게 되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제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그렇다면, 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며, 다음이 성립한다.

에 대하여, 양변에 를 취하면, 연쇄 법칙에 따라 다음을 얻으며, 이에 따라 도함수 공식이 성립한다.

이제 의 유일성을 증명하자. 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모든 편도함수가 같으므로, 는 상수 함수이다. 또한 이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닫힌 형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함수

어떤 에 대하여, 케플러 방정식

을 생각하자.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므로, 인 유일한 가 존재한다. 음함수 정리에 따라, 이러한 함수 함수이다. 다시 말해, 케플러 방정식은 어떤 유일한 () 함수와 동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함수 는 닫힌 형식으로 나타낼 수 없다.

충분 조건의 비필요성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방정식 는 다음과 같은 연속 함수 와 동치이다.

따라서, 에서 음함수 정리의 결론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방정식 는 같은 함수 와 동치이나, 이다.

같이 보기

각주

  1. 김락중; 박종안; 이춘호; 최규흥 (2007). 《해석학 입문》 3판. 경문사. ISBN 978-8-96-1050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