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20번째 줄: 20번째 줄:
'''만주 문자'''({{lang|한자|滿洲文字}}, {{llang|mnc|{{만몽 유니코드|ᠮᠠᠨᠵᡠ‍ᡳ<br />ᡥᡝᡵᡤᡝᠨ}}|Manju-i Hergen}})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1599년,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다.
'''만주 문자'''({{lang|한자|滿洲文字}}, {{llang|mnc|{{만몽 유니코드|ᠮᠠᠨᠵᡠ‍ᡳ<br />ᡥᡝᡵᡤᡝᠨ}}|Manju-i Hergen}})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1599년,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다.


[[파일:Yonghe Temple board.jpg|섬네일|right|300px|[[북경]]의 [[옹화궁|훠와랴순 훠와랴카 궁]]({{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ᡥᡡᠸᠠᠯᡳᠶᠠᠰᡠᠨ<br />ᡥᡡᠸᠠᠯᡳᠶᠠᡴᠠ<br />ᡤᡠᠩ}}|Hūwaliyasun Hūwaliyaka Gung}}) 현판. 왼쪽부터 [[몽골 문자]], [[티베트 문자]], [[한문]], 만주문자 순이다.]]
[[파일:Yonghe Temple board.jpg|섬네일|right|300px|[[북경]]의 [[옹화궁|후와랴순 후와랴카 궁]]({{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ᡥᡡᠸᠠᠯᡳᠶᠠᠰᡠᠨ<br />ᡥᡡᠸᠠᠯᡳᠶᠠᡴᠠ<br />ᡤᡠᠩ}}|Hūwaliyasun Hūwaliyaka Gung}}) 현판. 왼쪽부터 [[몽골 문자]], [[티베트 문자]], [[한문]], 만주문자 순이다.]]


==역사==
==역사==

2018년 9월 30일 (일) 17:55 판

만주 문자
유형 음소문자
표기 언어 만주어
사용 시기 1599년 ~ 현재
계통 원시 가나안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소그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만주 문자(滿洲文字, 만주어: ᠮᠠᠨᠵᡠ‍ᡳ
ᡥᡝᡵᡤᡝᠨ
Manju-i Hergen)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1599년,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다.

북경후와랴순 후와랴카 궁(만주어: ᡥᡡᠸᠠᠯᡳᠶᠠᠰᡠᠨ
ᡥᡡᠸᠠᠯᡳᠶᠠᡴᠠ
ᡤᡠᠩ
Hūwaliyasun Hūwaliyaka Gung) 현판. 왼쪽부터 몽골 문자, 티베트 문자, 한문, 만주문자 순이다.

역사

금나라를 세운 여진족은 여진 문자를 쓰기도 했으나 금나라 멸망 이후 점차 잊혀져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후 여진족들은 몽골문자로 여진어를 표기해 자신들의 기록을 남겼는데, 1599년, 건주여진의 추장이며 수러 버이러였던 누르하치는 박사(Baksi) 어르더니(納喇 額爾德尼, 만주어: Nara Erdeni, 1580~1623)와 영내 송사관(Jargūci) 까까이(伊爾根覺羅 噶蓋, 만주어: Irgen Gioro G'ag'ai, ? ~1599)로 하여금 몽골 문자를 차용하여 새로은 여진 문자를 창제했는데, 이 문자는 몽골 문자를 그대로 빌려 쓴 것이라 몽골 문자 본래의 문제점인 a,e 와 o,u g,k등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1632년, 박사(Baksi) 다하이(達海, 만주어: Dahai)가 초기 만주 문자를 개량하는데, 점(•)과 동그라미(○)를 더하여 만주어의 소리를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게 된다. 이 새로운 문자를 동그라미와 점이 있는 만주문자 즉, 유권점(有圈點) 만주문자(tongki fuka hergen i bithe) 또는 신만문(新滿文)이라고 이르며, 이와 대비하여 초기의 만주자를 무권점(無圈點) 만주문자 또는 노만문(老滿文)이라 부른다. 무권점 만주문자와 유권점 만주문자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모음 o를 나타내는 글자에 점(•)을 가하면 u가 되고, 자음 k를 나타내는 글자에 점(•)을 가하면 g가 되고, 동그라미(○)를 가하면 h가 되는 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몽골문자를 차용한 데에서 오는 혼란도 없어지고, 여진인이라면 누구나 정확한 발음을 구별하여 쓸 수 있게 되었다.

서체

인쇄체와 일종의 필기체인 소해체가 았다. 소해체는 꼬리 처리 등이 인쇄체와 차이가 난다.

글자

만주어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글자는 "a, e, i, o, u, ū"에 해당하는 모음과 "n, k, g, h, b, p, s, š,​ t, d, l, m, c, j, r, f, ng"에 해당하는 자음들, 그리고 반모음 "w, y"에 해당하는 글자들이다. 그 밖에 중국어 등을 적는 데 쓰이는 확장 글자들이 존재한다.

글자 로마자 유니코드 비고
고립 시작 중간
모음
ᠠ᠊ ᠊ᠠ᠊ ᠊ᠠ a 1820
᠊ᠠ᠋
ᡝ᠊ ᠊ᡝ᠊ ᠊ᡝ e 185D 두 번째 끝 형태 [k] [g] [x] kh gh hh 다음에 사용
()
ᡳ᠊ ᠊ᡳ᠊ ᠊ᡳ i 1873
᠊ᡳ᠌᠊
᠊ᡳ᠍᠊ ᠊ᡳ᠋
᠊ᡳ᠌
ᠣ᠊ ᠊ᠣ᠊ ᠊ᠣ o 1823
᠊ᠣ᠋
ᡠ᠊ ᠊ᡠ᠊ ᠊ᡠ u 1860
??
ᡡ᠊ ᠊ᡡ᠊ ᠊ᡡ ū/uu/v 1861
() ᠊ᡟ᠊ ᠊ᡟ y/y/i' 185F
자음
ᠨ᠊ ᠊ᠨ᠋᠊ ᠊ᠨ ??? n 1828 첫 중간 형태 모음 앞에 사용된다;두 번째것은 자음 앞에 사용
᠊ᠨ᠊
᠊ᠩ᠊ ᠊ᠩ ng 1829 첮 중간 형태는 i o u ū 앞에 사용; 두 번째 것의 e i 앞에 사용
ᡴ᠊ ᠊ᡴ᠊ ᠊ᡴ k [q] 1874 첫 중간 형태 a o ū 앞에 사용; 두 번째것은 자음앞에 사용
᠊ᡴ᠋᠊
() ᠊ᡴ᠌᠊ ᠊ᡴ᠋ k [k] 1874
ᡤ᠊ ᠊ᡤ᠊ g [ɢ] 1864
g [g] 1864
ᡥ᠊ ᠊ᡥ᠊ h [χ] 1865
h [x] 1865
ᠪ᠊ ᠊ᠪ᠊ ᠊ᠪ b 182A
ᡦ᠊ ᠊ᡦ᠊ p 1866
ᠰ᠊ ᠊ᠰ᠊ ᠊ᠰ s 1867
ᡧ᠊ ᠊ᡧ᠊ ᠊ᡧ š 1867
ᡨ᠋᠊ ᠊ᡨ᠋᠊ t 1868 첫 시작 / 중간 형태는 a o i 앞에 사용;

두 번째 시작 / 중간 형태 e u ū 앞에 사용;
세 번째 중간 형태 자음 앞에 사용

᠊ᡨ
ᡨ᠊ ᠊ᡨ᠊
ᡩ᠊ ᠊ᡩ᠊ d 1869 첫 시작/ 중간 형태 a o i 앞에 사용;

두 번째 시작 / 중간 형태 e u ū 앞에 사용

ᡩ᠋᠊ ᠊ᡩ᠋᠊
ᠯ᠊ ᠊ᠯ᠊ ᠊ᠯ l 182F
ᠮ᠊ ᠊ᠮ᠊ ᠊ᠮ m 182E
ᠴ᠊ ᠊ᠴ᠊ c/ch/c 1834
ᠵ᠊ ᠊ᠵ᠊ j/zh/j 1835
ᠶ᠊ ᠊ᠶ᠊ y 1836
ᡵ᠊ ᠊ᡵ᠊ ᠊ᡵ r 1875
ᡶ᠊ ᠊ᡶ᠊ f 1876 첫 시작/ 중간 형태 a e 앞에 사용;

두 번째 시작/중간 형태 i o u ū 앞에 사용

ᡶ‍᠋ ᠊‍ᡶ‍
ᠸ᠊ ᠊ᠸ᠊ v (w) 1838
ᠺ᠊ ᠊ᠺ᠊ k'/kk/k῾/k’ 183A
ᡬ᠊ ᠊ᡬ᠊ g'/gg/ǵ/g’ 186C
ᡭ᠊ ᠊ᡭ᠊ h'/hh/h́/h’ 186D
ᡮ᠊ ᠊ᡮ᠊ ts'/c/ts῾/c 186E
ᡯ᠊ ᠊ᡯ᠊ dz/z/dz/z 186F
ᡰ᠊ ᠊ᡰ᠊ ž/rr/ž/r’ 1870
ᡱ᠊ ᠊ᡱ᠊ c'/ch/c῾/c’ 1871
ᡷ᠊ ᠊ᡷ᠊ j/zh/j̊/j’ 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