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실복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묘소 =
|묘소 =
|관직 = 관등: [[달솔]], [[한솔]], 서부은솔(西部恩率) 직책: 상잠장군
|관직 = 관등: [[달솔]], [[한솔]], 서부은솔(西部恩率) 직책: 상잠장군
|주군 = [[백제 무왕|무왕]] → [[의자왕]](義慈王) → [[풍왕]](豊王)
|주군 = [[백제 무왕|무왕]](武王) → [[의자왕]](義慈王) → [[풍왕]](豊王)
|가문 = [[부여씨]], [[귀실씨]](鬼室氏)
|가문 = [[부여씨]], [[귀실씨]](鬼室氏)
|부모 =
|부모 =

2018년 3월 26일 (월) 22:22 판

귀실복신(鬼室福信)
관직 관등: 달솔, 한솔, 서부은솔(西部恩率) 직책: 상잠장군
가문 부여씨, 귀실씨(鬼室氏)
주군 무왕(武王) → 의자왕(義慈王) → 풍왕(豊王)
사당 은산 별신당

귀실복신(鬼室福信, 원래 이름은 부여복신(扶餘福信), ? ~ 663년)은 백제의 왕족·무장·관리이다. 660년 (羅) · (唐) 연합군의 침입으로 사비성이 함락되고 의자왕(義慈王)이 당에 끌려가자, 승려 도침과 함께 거병하여 흑치상지(黑齒常之), 지수신(遲受信) 등과 임존성(任存城)에서 항전했다. 이후 주류성(周留城)으로 근거를 옮겼으며, 왜국에 볼모로 가있던 백제의 왕자 부여풍을 왕으로 옹립하고 고구려와 왜국에 원병을 청해 백제 부흥을 꾀했다.

같은 부흥군 지도자였던 승려 도침과의 권력 분쟁으로 결국 663년 도침을 살해하고, 전권을 잡은 데에 이어 부여풍마저 살해하려다 도리어 부여풍에게 살해당했다. 그가 죽은 뒤 부흥군은 급속히 몰락했다.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서 열리는 은산별신제의 장군신으로 존숭된다.

생애

출생 및 성장

무왕(武王)의 조카이며 법왕(法王)의 서손자(庶孫子)라고는 전하나 복신의 계보에 대한 자료는 많이 남아있지 않다. 그의 가계에 대해 《구당서(舊唐書)》 및 《자치통감(資治通鑑)》등의 중국 사서를 인용한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그를 무왕(武王)의 조카라고 기록했다. 기록에는 '질(姪)' 혹은 '종자(從子)'로 적었다. 이 경우 무왕의 아들인 의자왕에게는 그가 종제(從弟)이며 부여풍에게는 숙부(당숙)가 된다. 일본의 역사책인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그의 이름을 귀실복신(鬼室福信)이라고 적고 있는데, 《신찬성씨록》에는 귀실이라는 성씨에 대해 원래 부여씨(扶餘氏)였으나 '귀신의 감화'를 받아 성을 귀실(鬼室)로 고쳤다[1]고 설명하고 있는 것에서, 원래 왕족이었던 복신의 가계가 어느 시점에서부터 귀실씨 사성을 통해 부여씨에서 갈라져나와 분지화된 것으로 추정한다.

그의 이름이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구당서》 백제전으로, 무왕 28년(627년) 가을 8월에 무왕의 사절로 당에 파견 [2]되었을 때 관위는 2위 달솔(達率)이었다. 이때 당 태종은 복신과 함께 고구려와 신라의 사신을 불러다 놓고 백제와 고구려에 신라를 공격하는 것을 그만두라는 조서를 내렸지만 백제는 바로 이듬해인 무왕 29년(628년) 봄 2월에 다시 군사를 일으켜 신라를 공격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귀실복신은, 백제 무왕의 조카이자 의자왕의 사촌 부여복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부여복신은 나당연합군과의 전투에서 세운 공이 커 귀신을 놀라게 했을 정도라고 해서 ‘귀실’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한다.[3]

부흥운동

거병(擧兵)

의자왕 31년(660년) 가을 7월에 신라의 김유신(金庾信)과 김양도(金良圖), 당의 소정방(蘇定方)과 유인궤 등이 이끄는 18만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쳐서 수도 사비성을 함락시키고, 웅진성으로 도망쳤던 의자왕과 태자를 사로잡았다. 수도가 함락된 상황에서 남잠성(南岑城)과 정현성(貞峴城) 등의 지방군 전력은 여전히 저항을 계속했다. 이때 이미 복신은 승려 도침(道枕)과 함께, 임존성과 주류성을 거점으로 나·당 연합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비슷한 시기에 중부(中部) 구마노리성(久麻怒利城)을 거점으로 거병한 달솔 여자진(餘自進)과 함께[4], 서부은솔(西部恩率)[5] 복신이 이끌던 백제군은 전쟁에 필요한 무기도 변변하게 갖추지 못한 채 몽둥이만 가지고도 신라 병사들을 제압하고 그들의 무기를 빼앗아 무장을 갖추었다고 한다.(《일본서기》) 한편 신라는 8월 26일에 임존성을 공격하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9월 1일에 복신은 휘하의 달솔과 사미승 각종(覺宗)을 왜국에 파견해 처음으로 백제에서 일어난 전쟁의 상황을 알리고 있다.(《일본서기》) 3일에 소정방은 사로잡은 의자왕과 백제의 여러 왕족, 대신 및 백성 1만 2천 명을 데리고 당나라로 떠나고, 당나라가 웅진도독부를 설치한 사비성(당나라명 우이현)에는 유수(留守)가 된 유인원(劉仁願)의 주둔군 1만 명만이 남아 지키고 있었다. 23일에 백제 부흥군은 사비성에 잠입, 당나라군에 항복하여 살아남은 백제 사람들을 붙잡아가려 했지만 유인원의 저항으로 실패했다. 대신 부흥군은 사비성의 외성을 무너뜨리고 그곳에 보관중이던 군량을 모두 빼앗은 뒤, 사비성 남쪽 산마루의 요충지에 네 개의 요새를 쌓고, 사비성에 주둔하던 당나라군에 대해 약탈 형식의 게릴라전과 더불어 사비도성으로 가는 물자 수송로를 봉쇄해 고립시키는 포위전술을 펼쳤다. 이에 신라는 당나라군을 지원하고 군량수송로를 확보하기 위해, 10월 9일에 무열왕이 직접 태자 김법민(훗날의 문무왕)과 함께 이례성(尒禮城)을 쳐서 9일만에 함락시키고, 30일에는 사비의 남쪽 산마루에 있던 백제군의 요새를 공격해 1,500명의 백제군 사상자가 발생했다.(《삼국사기》)

한편 이 달에 복신은 전쟁에서 사로잡은 당나라군 포로 1백여 명을 왜국에 보내면서, 처음으로 군사 지원 및 왜국에 체류중이던 왕자 부여풍장의 송환을 요구하고 있다.(《일본서기》)

고사비성(古沙比城) 전투

661년 복신이 이끄는 부흥군은 점점 늘어나, 백제 서북부 지역에서부터 마침내는 금강 동쪽에까지 세력을 확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때 복신은 도침과 함께 상잠장군(霜岑將軍) · 영군장군(領軍將軍)을 자칭하며 군사를 지휘했다.(《구당서》) 사비성에 주둔하던 당나라군은 1천 명을 뽑아 복신을 공격하지만, 거꾸로 백제군의 손에 궤멸당하고 한 사람도 돌아오지 못했다.(『문무왕보서』) 한편 당나라 조정은 조서를 내려, 유인궤를 검교대방주자사(檢校帶方州刺史)로 삼아 전임 웅진도독 왕문도(王文度)의 군사를 거느리고 지름길[便道]로 신라와 함께 유인원의 당나라군을 구하게 했다.

이때를 즈음해 복신은 유인궤에게 사신을 보내 “대당(大唐)이 신라와 서약하여, 백제인은 노소(老少) 가리지 않고 다 죽인 다음 우리 나라를 신라에게 넘겨주기로 했다는데, 가만히 앉아 죽음을 받음은 싸우다 죽느니만 못하기에, 모여서 스스로 굳게 지키고 있는 것이다.”(《구당서》 백제전)라는 취지를 전하게 했다. 유인궤는 이들을 회유하기 위해 사절을 시켜 답서를 보냈지만, 그 사절의 터무니없이 낮은 관등을 트집잡은 도침측에 의해 접견도 못 해보고 협상은 무산되었다. 복신이 이끄는 백제 부흥군은 웅진강(熊津江) 어구에 두 개의 목책을 세우고 맞섰지만, 거꾸로 나·당 연합군의 반격을 받고 목책 안으로 퇴각하는 와중에 익사자 및 전사자 1만여 명을 내고, 사비성의 포위를 풀고 임존성으로 퇴각했다. 신라군도 군량이 떨어져 철군했다.(《삼국사기》) 이후 당나라군은 부흥군과 직접 전투를 벌이는 대신 신라군으로 하여금 당나라군 대신 백제 부흥군을 공격하게 하는 전술로 전환했다.(『문무왕보서』)

복신은 신라가 파병한 지원군이 부흥군 지도부가 있던 주류성으로 오던 도중인 3월 5일, 두량윤성(豆良尹城) 남쪽에 신라군이 군영을 짓느라 대열이 정비되지 않은 틈을 노려 불시에 기습했다. 신라 군사는 군영을 짓다 말고 놀라 흩어져 달아났다. 12일에 고사비성(古沙比城) 바깥에 주둔하면서 신라군은 두량윤성을 공격했으나 한 달 엿새가 되도록 이기지 못하고 4월 19일에 군사를 돌이켰다. 복신은 남은 신라 병사의 숫자가 적다는 것을 알고 퇴각하는 신라군의 후방을 빈골양(賓骨壤)에서 엄습했고, 여기서 신라군이 지니고 있던 많은 무기와 식량, 말과 수레 등 각종 보급품을 획득했다. 이후 신라는 감히 다시 출병하지 못했다.(《구당서》) 이에 남쪽의 여러 백제 성들이 일시에 모두 복신에게 가담하기에 이르렀으며, 여세를 몰아 복신은 다시 사비성에 주둔한 당나라군에 대한 포위전과 게릴라전을 재개했다. 복신에게 포위되어 보급로가 차단당한 당나라군은 원병도 요청하지 못하고 신라군이 몰래 간간이 보내주는 소금으로 버텨야 했다. 이들 고립된 당나라군에게 복신은 사신을 보내 “언제쯤 돌아가실 생각입니까. 마땅히 사람을 시켜 전송해 드리겠습니다.”라며 야유를 보내고 있다.

한편 4월경에 복신은 세 번째로 왜국에 사신을 보내어, 부여풍과 함께 왜국에 머무르고 있던 왕자 규해(糺解)를 맞이하고자 청했다.(《일본서기》)

부여풍의 귀환과 왜병의 참전

6월에 이르러 신라에서는 무열왕이 죽었다. 미처 3년상도 모두 마치지 못한 문무왕에게 당은 고구려와 전쟁을 하고 있는 당병에게 지원병과 군량을 지원함과 동시에 사비성의 웅진도독부에 주둔중인 당병에게도 양식을 공급하라는 요구를 해왔다. 이때 사비성은 복신이 이끄는 백제군에 포위되어 물자가 통할 수 있는 모든 길이 차단된 상태였다. 한편 왜에서는 복신이 부여풍의 송환을 요구한 때부터 백제 부흥군을 지원하기 위해 군선을 만들던 왜국의 사이메이 천황(齊明天皇)이 죽고 그녀의 아들인 나카노오에 황자(中大兄皇子)가 뒤를 이어 소복 차림으로 즉위식도 미뤄가면서 백제 부흥군을 지원할 군사 파병에 주력하여, 이에 사이노무라치 아치마사(狹井連檳榔)와 하타노 미야쓰코 에치노 다쿠쓰(秦造朴市田來津)를 시켜, 5천 군사로 부여풍을 호위하여 백제로 보냈다.(《일본서기》)

대고구려 전선에 있는 당나라군보다, 가까운 대백제 전선에 있는 웅진도독부를 먼저 지원하지 않으면 부흥군이 다시 당병을 몰아내고 사비성을 되찾을 것이라는 판단하에, 함자도총관(含資道摠管) 유덕민(劉德敏)과 동행한 신라 문무왕의 군사들은 9월 27일에 웅진도독부로 가는 길목의 요충지에 위치한 옹산성(甕山城)을 함락시키고 군량수송로를 확보하는데 성공한다. 나아가 백제의 달솔 조복(助服)과 은솔(恩率) 파가(波伽)가 항복하고 있다. 한편 백제 부흥군 진압뿐 아니라 대고구려 전선에 투입된 당병의 군량까지 대느라 이중고에 시달리던 신라는 12월에 이르러 웅진도독부의 양식이 떨어지자, 대고구려 전선으로 간 젊고 힘센 장정들 대신 늙고 약한 자들을 시켜 웅진으로 양식을 나르게 했지만, 이들 양식을 수송하러 간 사람들은 도중에 폭설을 만나 사람과 말들이 모두 죽는 바람에 1백 명 중 한 명도 돌아오지 못했다.

피성 천도와 나·당 연합군의 반격

662년 정월 27일에 왜국은 복신에게 화살 10만 대와 실 5백 근, 면 1천 근, 포(布) 1천 단, 위(韋) 1천 장, 곡식의 종자 3천 곡을 보내고, 백제왕에게는 포 3백 단을 보내고 있다. 7월 30일, 유인원과 유인궤 등이 이끄는 당나라군은 웅진 동쪽에서 복신이 이끄는 군사들을 크게 깨뜨리고 지라성(支羅城) 및 윤성(尹城)과 대산(大山)·사정(沙井) 등의 목책을 빼앗아 차지했다. 복신 등은 강에 임해 있는 요충지인 진현성(眞峴城)에 군사를 더해 지켰지만, 유인궤는 한밤중에 신라군을 몰아 성가퀴에 오르게 하고, 날이 밝을 무렵에 성으로 들어가 800명을 죽이고 성을 빼앗았다. 이것으로 신라의 군량 수송로를 뚫는데 성공한 유인원은 본국에 증원병력을 요청했고, 좌위위장군(左威衛將軍) 손인사(孫仁師)가 이끄는 치(淄)· 청(靑)· 내(萊)· 해(海)의 수군 7천 명[6]이 백제로 보내졌다.(《삼국사기》)

12월 1일, 백제 부흥군 지도부는 수도를 주류성에서 피성(避城, 벽성壁城 즉 지금의 김제)으로 옮겼다. 주류가 논밭과는 멀리 떨어진 곳인데다 돌이 많고 척박해 농사짓기가 어려워 백성들이 굶주리게 될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서였다. 왜군 장수 에치노 다쿠쓰만이 적과 너무 가깝고 지대도 낮다며 반대했지만 지도부는 피성으로의 천도를 단행했다. 이듬해(663년) 2월, 신라의 김흠순과 김천존이 이끄는 신라군이 백제의 거열성(居列城)·거물성(居勿城)·사평성(沙平城)을 차례대로 공격하여 항복시키고 덕안성(德安城)을 쳐서 백제군은 1,07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신라군은 부흥군 지도부가 있는 피성으로 더 가까이 다가서게 되었다. 결국 옮긴지 두 달 만에 백제 지휘부는 에치노 다쿠쓰의 말대로 도로 주류성으로 옮겨갔다.(《일본서기》·《삼국사기》신라본기)

몰락과 죽음

백제 지도층 내부에서는 이미 발족 초기부터 알력이 끊이지 않았는데, 부여풍이 왕이 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복신은 승려 도침을 죽이고 그의 군사까지 차지하여 모든 병권을 틀어쥐고 있었다. 실권을 장악한 복신의 옆에서 풍왕은 그저 제사만 주관할 뿐이었다. 두 사람의 사이가 점차 벌어지면서, 풍왕에게 습격당해 끔살당했다.[7] 《일본서기》에 의하면 그의 머리는 소금에 절여진 채 젓갈이 되었다 한다.[8]

사후

사후 신라시대에 와서 부여군 은산면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전염병이 발생하여 사람들이 죽어갔다. 이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여 마을 주민이 점쟁이를 데려다가 점을 쳐보자 백제 멸망 때 죽은 병사들의 원혼이 떠돌아 생기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이 백제 부흥군의 유골을 수습하고 씻김굿을 지내주자 질병이 없어졌다 한다.

이후 부여군 은산 지역 사람들은 매년 음력 2월 별신제를 지내게 되었고,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도 계속 이어졌다. 이것은 은산별신제라 하며 대한민국에 와서 1966년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복신은 은산별신제에서 장군신으로 존숭된다.

가계

  • 문신 : 귀실복신(鬼室福信)
  • 부인 : ?

귀실복신이 등장한 작품

일화

  • 《일본서기》에서는 풍왕이 복신을 처형하려 할 때, 스스로 결정하기 어려워 여러 신하들에게 “복신의 죄는 이미 이러하다. 베는 것이 옳은가, 그른가?”하고 묻자, “이런 악역(惡逆)한 자를 풀어 보낼 수는 없습니다.”라며 풍왕의 역정을 드는 달솔 덕집득(德執得)에게, 손바닥이 가죽끈으로 꿰여 결박된 와중에도 침을 뱉으며 “이 썩은 개, 미친 놈 같으니!”하고 욕을 하고 있다. 복신의 과격한 성격의 일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평가

백제부흥군을 사실상 주도했으며 나·당 연합군과의 전쟁에서 여러 차례 승리를 거두었던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오래된 정사인 《삼국사기》에는 복신의 열전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는 복신이 풍왕을 죽이려다 거꾸로 풍왕에 의해 죽었다는 《구당서》기록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삼국사기》편찬 책임자이자 유학자인 김부식의, 충신과 역적에 대한 포폄을 분명히 밝힌다는 유교적 춘추대의와, 신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백제와 고구려를 소홀히 취급한 그의 신라 중심적 사고방식이 혼재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이는 훗날 단재 신채호에 의해 몹시 비판받았던 점이기도 하다. 한국의 경우 고려, 조선 시대까지 복신은 용맹하고 지략을 갖춘 장수로서라기보다, 권력을 틀어쥔 채 왕을 업신여기며 독단을 행하다 결국 왕의 자리를 넘보고 그렇게 목숨을 잃은 역적으로서의 면모가 더욱 부각되었다. 다만 드물게, 남효온[9]이나 정약용[10] 같은 문인들이 부여 지역을 돌아보고 지은 한시 작품에서 복신이 남긴 위업을 추모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고 있다. 반면 일본측 자료인 《일본서기》는 복신을 가리켜, 많은 장수들 가운데 홀로 신묘한 꾀를 내어 이미 멸망한 나라를 부흥시킨 인물로 몹시 떠받들고 있다. 나아가 복신의 죽음을 두고 백제가 '우수한 장수(良將)'를 잃은 것을 신라가 기회로 삼아서 백제를 쳐서 멸망시켰다는 어투로 전개되고 있다.

관련작품

소설
  • 『삼한지』 김정산
  • 『취리산』 문영
  • 『여왕 누카타』 이노우에 야스시

함께 보기

각주

  1. 《신찬성씨록》좌경제번(左京諸蕃)·하(下), 구다라노기미(百濟公)조 "百濟公, 因鬼神感化之義, 命氏爲鬼室."
  2. 김부식 (1145). 〈백제본기 27 무왕〉. 《삼국사기》. 二十八年... 秋八月 遣王姪福信 (28년(627) ...가을 8월에 왕의 조카 복신(福信)을 당나라에 보내 조공하니, ) 
  3. 하정민 (2015년 7월 22일). “한국에선 잊혀진 백제 왕족… 日서 1500년간 조상신 추모”. 동아닷컴. 2015년 10월 11일에 확인함. 
  4. 단재 신채호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여자진과 《구당서》에 등장하는 도침을 동일인물로 보고 있다.
  5. 『당유인원기공비』에는 한솔로 기록되어 있다.
  6. 40만 명이라고 적은 것도 있다.
  7. 《일본서기》에 따르면 서기 663년 6월의 일이었다.
  8. 《구당서》는 복신이 먼저 풍왕을 죽이기 위해 병을 핑계로 동굴 속에 숨어 있다가 풍왕에게 엄습당해 죽었다고 했으나, 《일본서기》는 풍왕이 먼저 복신을 의심해서 그를 잡아 죽였다고 했다. 단재 신채호는 《일본서기》의 기록을 택함에 1) 모든 군권을 장악한 복신이 실권 없는 풍왕을 당장에 죽이지 않고 동굴에 누워있다가 문병 오기를 기다려 죽이려고 했다는 점, 2) 《일본서기》에서 복신의 사망시점으로 지목한 6월 직후인 7월에 당나라군이 백제 부흥군을 공격해 여러 요충지를 차지하고 있는 점, 3) 각처의 성책이 거의 다 함락된 절박한 상황에서 풍왕이 복신을 죽이는 어리석은 짓을 할리가 없다는 점 등, 세 가지를 들어 《구당서》의 오류를 지목하고 있다.(조선상고사)
  9. 《추강집》권제3, "鶴唳風聲奔北日/任存城主抗唐兵/曹蜍李志生猶死/福信雖亡擅美名"('부여회고' 제9)
  10. 《다산시문집》권제2, "北部幾州懷福信/亂山無處覓扶豐."('부여회고' 中)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