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Credit-cards.jpg|thumb|신용카드]]
[[파일:Credit-cards.jpg|thumb|신용카드]]


'''신용 카드'''(信用 - ) 또는 '''크레디트 카드'''({{llang|en|credit card}})는 소비자 신용의 일종이다. [[대한민국의 신용카드사 목록|카드 발행사]]와 계약을 체결한 회원은 가맹 소매점 등에서 상품을 현찰 없이 구매할 수 있다. 가맹점은 [[백화점]], 전문점, [[레스토랑]] 등이 있다. [[KB국민카드]]를 비롯한 [[신한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등 은행계 카드의 경우 해당 은행 계좌를 연동시켜, [[현금인출카드|현금카드]]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신용 카드'''(信用 - ) 또는 '''크레디트 카드'''({{llang|en|credit card}})는 소비자 신용의 일종이다. [[대한민국의 신용카드사 목록|카드 발행사]]와 계약을 체결한 회원은 가맹 소매점 등에서 상품을 현찰 없이 구매할 수 있다. 가맹점은 [[백화점]], 전문점, [[레스토랑]] 등이 있다. 선두 업체인 [[KB국민카드]]를 비롯한, 후발 업체인 [[신한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등 은행계 카드의 경우 해당 은행 계좌를 연동시켜, [[현금인출카드|현금카드]]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2018년 3월 3일 (토) 13:18 판

신용카드

신용 카드(信用 - ) 또는 크레디트 카드(영어: credit card)는 소비자 신용의 일종이다. 카드 발행사와 계약을 체결한 회원은 가맹 소매점 등에서 상품을 현찰 없이 구매할 수 있다. 가맹점은 백화점, 전문점, 레스토랑 등이 있다. 선두 업체인 KB국민카드를 비롯한, 후발 업체인 신한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등 은행계 카드의 경우 해당 은행 계좌를 연동시켜, 현금카드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역사

신용카드라는 개념은 1887년에 에드먼드 벨라미가 발표한 소설 Looking Backward에 처음으로 등장했고, 오늘날과 같은 신용카드가 등장한 건 1951년 미국 뉴욕에서 프랭크 맥나마라 등이 설립한 '다이너스 클럽(국내 업체인 현대카드가 독점 발행)'의 신용카드가 시초이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신용카드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69년 신세계백화점카드이다. 하지만, 가맹점이 "백화점"으로 한정되어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신용카드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 시기는 1978년 외환은행(현 하나카드)에서 비자카드 발급 업무를 개시하면서 부터이다. 1980년 9월 범용성을 가진 최초의 실질적 은행계 신용 카드의 선두 업체인 'KB국민카드'가 업무를 개시했다. 1982년 5개 은행(조흥은행, 상업은행, 제일은행, 한일은행, 서울은행)들이 연합해 은행신용카드협회(현 비씨카드)를 설립하면서 은행들도 본격적으로 카드업무를 시작했으며, 현재 모습의 신용카드는 1987년 신용카드업법이 제정되면서 후발 업체인 삼성카드, LG카드(현 신한카드)가 설립되자마자 활성화 되었다. 2009년 정부는 신용카드결제계좌를 "은행계좌"로만 한정된 것을 금융투자회사 CMA계좌로 확대하여 CMA신용카드를 개설할 수 있게 되었다.

일본

일본에서 신용카드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60년 12월에 일본교통공사와 후지은행이 공동설립한 일본 다이너스 클럽에 의하여 발행된 다이너스클럽카드다. 이어 1961년 산와은행 등 6개 은행이 재팬 크레디트 뷰로(JCB - 일본 신용 정보 은행)를 설립하여 JCB카드를 발급하기 시작하였고, 1970년 이후에는 유명 백화점들이 크레디트 사업에 참여하면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게 된다. 최근[언제?]에는 JCB 등이 비자카드, 마스타카드 등과의 제휴 이외에도 독자적으로 외국은행과 제휴하거나 해외 지역에 직접 진출하는 등 국제화를 시도하여 독자적인 영업망 구축 등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카드번호의 구성

한국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용(체크)카드 번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 번째 자리는 다음과 같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첫째 자리부터 여섯째 자리까지의 번호(BIN 번호)만 보면 해당 카드는 어느 나라의 어느 카드사가 발급한 카드인지, 카드 회원이 일반, 골드, 개인, 법인인지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는 각 카드사가 임의의 규칙에 따라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16번째 숫자는 특정한 공식에 의해 카드번호를 검증하는 값이다. 카드 뒷면의 서명판에 기울여서 인쇄된 3자리 숫자는 카드소지를 확인하는 값으로 카드사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

CVV나 CVC는 모두 카드 번호가 제대로 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값으로 요즈음은 인터넷 상에서 상거래 시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 3자리 값과 16자리 카드 번호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암복호화를 하여 해당 값이 일치하면 카드가 정상 카드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CVV나 CVC는 MS에 기록되는 CVV1(CVC1)과 카드의 뒷면 서명판 윗 부분에 음각되는 CVV2(CVC2)의 값이 있다. 물론 EMV표준의 IC Chip에는 iCVV(Chip CVC)의 값이 입력되어 있다.

브랜드별

비씨카드비씨카드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현재 발급사 기준으로 하였으며, 비자카드 단일브랜드 발급은행은 국내전용이라도 비자카드로 분류한다.

브랜드 발급사
비자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한국씨티은행, NH농협카드, 광주은행, 산은캐피탈, 전북은행, 제주은행
국내카드사 브랜드(해외이용불가) 롯데카드, 비씨카드(국내전용), 삼성카드, 신한카드(국내전용), 하나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한국씨티은행, NH농협은행, 광주은행, 산은캐피탈, 수협중앙회, 전북은행, 제주은행,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 현대백화점
국내카드사 브랜드(해외이용가능) 비씨카드(글로벌(디스커버))), 신한카드(URS(JCB),S&(아멕스)), KB국민카드(K-World(JCB,CUP)), NH농협카드(W(JCB)), 하나카드(One Way(JCB))
마스타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신한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한국씨티은행, NH농협카드
JCB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은련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수협중앙회 포함), 삼성카드, 신한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아메리칸 엑스프레스,다이너스 클럽(현대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KB국민카드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내 카드사의 국내전용카드는 외국에서 사용할 수 없으나 비씨카드의 경우는 2010년 1월 현재 미국, 중국 내 ATM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2010년 10월부터는 해외 가맹점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카드 거래 프로세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는 카드 발급사(Issuer)와 전표를 매입하는 회사(Acquirer)가 분리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대체로 매입사와 발급사가 같으나, 제주은행, NH농협카드 등 비교적 소규모 카드사나 은행의 경우, 다른 은행(회사)이 매입을 하여 가맹점을 공유하기도 한다(예: 제주은행 VISA 카드는 신한카드의 가맹점망을 공유, NH농협카드는 KB국민카드의 가맹점망을 공유, 씨티은행카드는 BC카드의 가맹점망을 공유). 회원이 신용카드를 가맹점에 제시하면 점포에서는 카드의 마그네틱 띠(스트라이프)를 읽히거나, IC칩을 삽입한 뒤, 결제금액과 할부 개월 수를 입력하면 전화 회선 또는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가 카드사로 전송되고, 카드의 사용 가능 여부 및 한도 여부 등을 조회하여 그 결과를 회신하고 거래매출표를 출력한다. 이후, 가맹점은 고객의 서명이 된 전표를 매입사에 제출하면 수수료를 제한 금액이 입금된다. 승인은 즉시 이뤄지지만, 일반적으로 매입까지는 며칠의 시간이 걸린다. 이때, 처리의 편의를 위해, 카드사와 가맹한 부가정보망(VAN) 사업자를 통해 카드 조회를 대행하는데, VAN사는 카드의 BIN(Bank Identification Number;은행별로 고유한 카드번호 앞의 6자리)으로 신용카드 발급사를 구분하여 해당 카드사에 대신 조회 및 승인 여부를 전달해 준다. 본래 카드 결제의 완료는 가맹점이 매출표를 접수하는 것(은행(카드사)이 '매입'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자동이체전표라 하여 이를 생략하고 전산을 통해 이체, 정산 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터넷상에서의 승인과정

또, 인터넷쇼핑몰에서 구매할때는 발행사별로 승인시 필요한 보안매체가 다르다.

승인시 사용하는 보안매체 발급사
ISP 안전결제 BC카드, KB국민카드, 평화은행(우리카드)에서 발급한 카드
안심클릭 NH농협카드[1], 신한카드[1], 씨티카드[1],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현대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1]

신용카드의 장, 단점

장점

신용카드를 이용함으로써 생기는 장점은 이하와 같다.

  • 현금을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 필요로 하는 현금을 항상 휴대할 필요 없이, 소액 및 고액 결제를 할 수 있다. 특히 고액 결제의 경우, 소지, 보관 및 휴대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이를 해결 할 수 있다.
  • 단기간에 걸쳐 현금의 지불이 유예 되므로 이 동안 자금을 운용 혹은 유용 할 수 있다. 또, 일정기간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된 금액을 한꺼번에 모아서 카드사에 한번에 지불할 수 있다.
  • 소액의 할부금융 역할을 하므로, 일시에 부담하기 어려운 금액의 재화나 용역을 단기간(12개월 미만)에 걸쳐 분할하여 상환할 수 있다.
  • 기본적인 상환 능력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신용 및 신분을 증명한다. 일부 업종(호텔, 렌터카 등, 특히 해외의 경우), 신용카드의 제시를 조건으로 예치금을 면제하는 경우가 있다.
  •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마일리지, 포인트, 보험 등). 또, 각종 할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 분실시에도 회원의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 회원은 부정하게 사용된 금액에 대해서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
  • 해외여행시나 인터넷 등의 해외거래에서 유용한 지불수단이 된다.

단점

  • 현금을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추후에 지불하므로, 필요 이상의 금액을 사용하게 되거나, 부담할 수 있는 여력 이상의 이용 한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용 등급에 영향을 미친다.
  • 할부 결제 및 현금 서비스, 해외 결제 이용시에는 비교적 높은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 도용, 도난, 복제 등 부정 사용 위험성에 내재될 소지가 있다.
  • 1회 이상 연체시 이용 한도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 이용 한도가 0원까지 내려갈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결제일에 후불로 납부해야 한다.

같이 보기

출처

  1. 단, BC카드ISP 안전결제를 사용한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