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흑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태그: m 모바일 웹
49번째 줄: 49번째 줄:
[[2001년]] 9월에 처음 반달곰 네 마리를 방사했으나, 한 마리는 얼마 되지 않아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세 마리는 야생에 적응하지 못하고 회수되었다.[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6&article_id=0000005493&section_id=102&menu_id=102] 그러나 반달곰 방사는 계속해서 이어졌다. 우선 [[2004년]] 10월 1일에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크라이|연해주]]에서 들여온 [[곰]] 여섯 마리를 방사했다.
[[2001년]] 9월에 처음 반달곰 네 마리를 방사했으나, 한 마리는 얼마 되지 않아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세 마리는 야생에 적응하지 못하고 회수되었다.[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6&article_id=0000005493&section_id=102&menu_id=102] 그러나 반달곰 방사는 계속해서 이어졌다. 우선 [[2004년]] 10월 1일에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크라이|연해주]]에서 들여온 [[곰]] 여섯 마리를 방사했다.


[[2005년]] [[4월 14일]]에 [[평양 중앙동물원]]에서 [[서울대공원]]으로 들여온 곰 여덟 마리는 같은 해 [[7월 1일]]에 [[지리산]]에 방사되었다.[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5&article_id=0000210463&section_id=102&menu_id=102] 또한 같은 해 9월 러시아에서 들여온 반달곰 6마리가 [[10월 14일]] 추가로 방사되었다. 이로써 2004년과 2005년 사이에 총 스무 마리의 곰이 지리산에 방사되었으며, 그중 네 마리는 죽고, 네 마리는 회수되었으며, 한 마리는 위치확인이[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7052314021372249]
[[2005년]] [[4월 14일]]에 [[평양 중앙동물원]]에서 [[서울대공원]]으로 들여온 곰 여덟 마리는 같은 해 [[7월 1일]]에 [[지리산]]에 방사되었다.[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5&article_id=0000210463&section_id=102&menu_id=102] 또한 같은 해 9월 러시아에서 들여온 반달곰 6마리가 [[10월 14일]] 추가로 방사되었다. 이로써 2004년과 2005년 사이에 총 스무 마리의 곰이 지리산에 방사되었으며, 그중 네 마리는 죽고, 네 마리는 회수되었으며, 한 마리는 위치확인이
되지 않았다.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7052314021372249]


[[2007년]]에 추가로 러시아 연해주에서 반달곰을 들여와 네 마리를 방사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807175]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곰 암컷 두 마리가 야생에서 짝짓기에 성공해 각각 건강한 새끼 한 마리씩을 낳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009년 3월 8일 밝혔다.<ref>[http://news.nate.com/view/20090309n00760 지리산 반달곰 첫 출산 '경사났네' 2009년 3월 9일자 네이트뉴스 한국일보제공(조철환 기자)]</ref> 드디어 방사된 암컷 두 마리가 야생 짝짓기로 각각 새끼를 얻어낸 것으로 10년 복원사업에 마침내 결실을 이룬 것이다. 반달곰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329호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에도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2007년]]에 추가로 러시아 연해주에서 반달곰을 들여와 네 마리를 방사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807175]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곰 암컷 두 마리가 야생에서 짝짓기에 성공해 각각 건강한 새끼 한 마리씩을 낳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009년 3월 8일 밝혔다.<ref>[http://news.nate.com/view/20090309n00760 지리산 반달곰 첫 출산 '경사났네' 2009년 3월 9일자 네이트뉴스 한국일보제공(조철환 기자)]</ref> 드디어 방사된 암컷 두 마리가 야생 짝짓기로 각각 새끼를 얻어낸 것으로 10년 복원사업에 마침내 결실을 이룬 것이다. 반달곰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329호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에도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55번째 줄: 56번째 줄: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는 과거 [[한반도]] 산악에 번성했지만 일제의 해수구제 (害獸驅除) 정책과 서식지 파괴로 위기에 빠진 반달곰 보존을 위해 2004년부터 4차례에 걸쳐 북한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고아 반달곰 새끼 27마리를 들여와 지리산에 풀었다. 그중 12마리는 적응에 실패해 돌아오거나 폐사했지만, 암컷 9마리와 수컷 6마리는 야생에 적응해 이번에 성과를 낸 것이다. 좀 더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성공적인 방사로 보고 있다.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는 과거 [[한반도]] 산악에 번성했지만 일제의 해수구제 (害獸驅除) 정책과 서식지 파괴로 위기에 빠진 반달곰 보존을 위해 2004년부터 4차례에 걸쳐 북한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고아 반달곰 새끼 27마리를 들여와 지리산에 풀었다. 그중 12마리는 적응에 실패해 돌아오거나 폐사했지만, 암컷 9마리와 수컷 6마리는 야생에 적응해 이번에 성과를 낸 것이다. 좀 더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성공적인 방사로 보고 있다.


2009년 6월 28일에 강원도 양구에서 야생반달곰으로 보이는 곰이 생포되었다. 하지만 이 곰이 야생인지 사육 개체인지는 정확하지는 않다.
2009년 6월 28일에 강원도 양구에서 야생반달곰으로 보이는 곰이 생포되었다. 하지만 이 곰은 사육장에서 키우던 말레이시아 사육곰으로 밝혀졌다.


== 전설 ==
== 전설 ==

2018년 2월 20일 (화) 21:34 판

아시아흑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곰과
속: 불곰속
종: 아시아흑곰
학명
Ursus thibetanus
Cuvier, 1823
아시아흑곰의 분포

아시아흑곰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아시아흑곰미얀마, 인도 북부, 일본, 러시아 동부 지역과 방글라데시, 인도차이나 반도, 히말라야,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등의 산지에 분포하는 곰이다. 몸은 검은 색이며 가슴에 V 자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연한 색 털이 나 있다. 옛날에는 몸의 색과 가슴의 색이 바뀐 종도 있었으나, 곧 사라졌다.

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산악과 숲 지역에서 산다.

다 자란 몸길이는 130~190 cm 정도이다. 몸무게는 수컷이 110~150 kg, 암컷이 65~90 kg 가량 나간다. 수명은 25년 정도이다. 잡식성으로 과일, 풀, 씨앗, 곤충, 꿀, 고기 등을 먹는다. 겨울에는 겨울잠을 잔다.

반달가슴곰일본어를 번역한 말이다. 본래 단순히 이라고 불렀으며, 한반도 북부에 서식하는 불곰은 큰곰이라고 일컬었다. 후각과 청각이 매우 발달하여 이를 이용해 섭식생활을 하며 새끼는 평균 2마리 정도 낳는다.

아종

분포지역에 따라 다음 아종으로 구분한다.

  •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 (Heude, 1920) - 한반도와 중국 북동부, 러시아의 연해주, 아무르에 서식한다.
  • 일본반달가슴곰 Urus thibetanus japonica - 일본 혼슈, 시코쿠, 규슈에 서식한다.
  • 히말라야곰 Ursus thibetanus thibetanus - 히말라야와 인도차이나, 아프가니스탄, 러시아의 아무르 일대에 서식한다.
  • 타이완흑곰 Ursus thibetanus formosanus - 타이완에 서식한다.
  • Ursus thibetanus gedrosianus - 이란파키스탄 일대에 서식한다.
  • Ursus thibetanus laniger - 아프가니스탄중국 남부에 서식한다.
  • Ursus thibetanus mupinensis - 중국 서남부 일대에 서식한다.

계통 분류

다음은 곰과의 계통 분류이다.[1]

곰과
판다아과

대왕판다

안경곰아과

안경곰

Arctodus simus

곰아과

느림보곰

말레이곰

아시아흑곰

아메리카흑곰

동굴곰

큰곰

북극곰

멸종 위기

아시아흑곰은 레드 리스트에 취약 종으로 올라와 있다. 숲이 파괴되어 살 곳이 줄어들고 있으며, 농작물을 망치고 쓸모있는 나무껍질을 벗긴다 하여 농부들에게 죽임을 당한다.

한약 재료로 쓰이는 쓸개 때문에 사냥당하기도 한다. 중국이 곰 밀렵을 법으로 금지한 이후 곰 농장에서는 쓸개에 관을 삽입하여 쓸개즙을 모아 팔고 있다. 이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 곰 쓸개즙 수요가 높아져 다시 밀렵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반면에 이를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런 행동이 비인간적이며, 합성 우르소데옥시콜린산도 값이 더 싸면서 약효도 곰 쓸개즙과 같다고 주장한다.

대한민국의 보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
천연기념물 제329호
지정일 1982년 11월 4일
소재지 전국 일원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 | 국가문화유산포털

대한민국에서는 반달가슴곰에 절멸위기 등급이 붙어 있어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보호받고 있다. 현재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종 복원 사업을 하고 있다.

2001년 9월에 처음 반달곰 네 마리를 방사했으나, 한 마리는 얼마 되지 않아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세 마리는 야생에 적응하지 못하고 회수되었다.[1] 그러나 반달곰 방사는 계속해서 이어졌다. 우선 2004년 10월 1일에 러시아 연해주에서 들여온 여섯 마리를 방사했다.

2005년 4월 14일평양 중앙동물원에서 서울대공원으로 들여온 곰 여덟 마리는 같은 해 7월 1일지리산에 방사되었다.[2] 또한 같은 해 9월 러시아에서 들여온 반달곰 6마리가 10월 14일 추가로 방사되었다. 이로써 2004년과 2005년 사이에 총 스무 마리의 곰이 지리산에 방사되었으며, 그중 네 마리는 죽고, 네 마리는 회수되었으며, 한 마리는 위치확인이 되지 않았다. [3]

2007년에 추가로 러시아 연해주에서 반달곰을 들여와 네 마리를 방사하였다.[4]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곰 암컷 두 마리가 야생에서 짝짓기에 성공해 각각 건강한 새끼 한 마리씩을 낳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009년 3월 8일 밝혔다.[2] 드디어 방사된 암컷 두 마리가 야생 짝짓기로 각각 새끼를 얻어낸 것으로 10년 복원사업에 마침내 결실을 이룬 것이다. 반달곰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329호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에도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환경부는 과거 한반도 산악에 번성했지만 일제의 해수구제 (害獸驅除) 정책과 서식지 파괴로 위기에 빠진 반달곰 보존을 위해 2004년부터 4차례에 걸쳐 북한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고아 반달곰 새끼 27마리를 들여와 지리산에 풀었다. 그중 12마리는 적응에 실패해 돌아오거나 폐사했지만, 암컷 9마리와 수컷 6마리는 야생에 적응해 이번에 성과를 낸 것이다. 좀 더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성공적인 방사로 보고 있다.

2009년 6월 28일에 강원도 양구에서 야생반달곰으로 보이는 곰이 생포되었다. 하지만 이 곰은 사육장에서 키우던 말레이시아 사육곰으로 밝혀졌다.

전설

옛날에 어미 곰이 다친 아기 곰을 구하려다가 죽었는데, 아기 곰을 너무나도 사랑한 나머지 아기 곰을 떠나고 싶지 않아 반달이 되어 아기 곰의 가슴에 자리잡았다는 전설이 있다.

각주

  1. Johannes Krause et al.: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BMC Evolutionary Biology 2008, doi 10.1186/1471-2148-8-220
  2. 지리산 반달곰 첫 출산 '경사났네' 2009년 3월 9일자 네이트뉴스 한국일보제공(조철환 기자)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