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100번째 줄: 100번째 줄:
[[분류:1464년 죽음]]
[[분류:1464년 죽음]]
[[분류:명나라의 황제]]
[[분류:명나라의 황제]]
[[분류:중국의 태상황제]]
[[분류:전쟁 중 포로가 된 군주]]
[[분류:전쟁 중 포로가 된 군주]]
[[분류:15세기 중국 사람]]
[[분류:15세기 중국 사람]]

2018년 1월 28일 (일) 20:35 판

정통제
명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435년 ~ 1449년
1457년 ~ 1464년
전임 선덕제
경태제
후임 경태제
성화제
신상정보
부친 선덕제
모친 효공장황후
배우자 효장예황후
효숙예황후

정통제(正統帝, 1427년 11월 29일 ~ 1464년 2월 23일)는 중국 명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 1435년 ~ 1449년, 복위 1457년 ~ 1464년)이다. 기진(祁鎭)이다. 명 왕조 사상 첫 복위를 한 황제로, 정통(正統)의 연호를 사용하였다가, 복위 후에 천순(天順)으로 개원하였다. 명나라는 일세일원제(一世一元制), 즉 한 황제마다 하나의 연호만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명나라 황제 중, 유일하게 복위하여 연호를 개원하였으므로 혼란을 피하기 위해 묘호인 명 영종(明英宗)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선덕제(宣德帝)의 장남이며, 경태제(景泰帝)의 이복형이다. 어머니는 효공장황후 손씨(孝恭章皇后 孫氏)이다. 묘호는 영종(英宗)이며, 시호는 법천입도인명성경소문헌무지덕광효예황제(法天立道仁明誠敬昭文憲武至德廣孝睿皇帝)이다.

즉위

1435년 선덕제가 죽자, 9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명나라 황제가 되었다. 정통제의 나이가 어렸으므로 황제의 조모인 태황태후 장씨(太皇太后 張氏, 성효소황후)가 섭정을 하고 양사기(楊士奇)를 비롯한 현명한 신하들의 섭정에 의해 안정된 정국을 이끌어 나갔다. 그러나 정통제의 총애를 업고 환관 왕진(王振)이 전횡을 일삼기도 하였으나, 정통제는 이를 눈감아 주었다. 이후 명나라는 환관의 전횡과 폐단으로 여러 차례 파국을 맞게 된다.

토목의 변

환관 왕진의 전횡과 더불어 명나라 초기의 안정적인 조정은 해이해지기 시작했고, 1449년에는 몽골계 부족인 오이라트(Oirāt)가 세력을 형성하고 무역의 확장을 위해 명과 교섭하였으나 여러 차례 결렬되자 오이라트족의 족장 에센은 명나라 변방에 침입하였다. 이에 환관 왕진(王振)은 정통제에게 직접 친정(親征)을 간청했으나 이부상서와 병부상서는 친정을 만류했다. 하지만 정통제는 왕진의 건의를 받아들여 오이라트족을 친정하고자 50만의 군대를 이끌고 북진했으나, 50만 명의 군사중에는 문신(文臣), 귀족(貴族) 등 전쟁과 무관한 이들을 포함시켜 군대의 규모를 과시하였다.

전투에서 비정예군이 오이라트족에게 대패하였음에도 여러 군신들의 말을 듣지 않은 채 왕진이 국정을 농단하였다. 이들의 패전 소식은 북경(北京) 조정에 큰 충격을 주었고, 남경(南京) 천도설이 나왔지만 병부시랑 우겸(于謙)이 "남쪽으로 도망하여 멸망한 (宋, 960년 ~ 1279년)의 예를 못 보았느냐며 북경은 천리이므로 사수하여야 한다" 라고 강력히 주장하여 조정을 안정시켰다.

한편 에센족은 명군의 수급로를 차단하고 연승하였으나 환관 왕진은 이 와중에도 신하들의 충고를 무시하는 등 전횡을 일삼다가 피살당하였으며, 결국 에센군은 토목보를 포위하여 정통제를 잡아갔다. 중국 역사상 외적과의 전쟁 중 황제가 포로로 잡혀 간 것은 정통제가 처음이다. 이 사건을 토목의 변이라고 한다.

황제를 포로로 잡아간 에센족은 전세의 유리함을 알고, 명과의 교섭을 시작하려 하였으나 북경 조정은 정통제의 이복동생인 경태제(景泰帝)를 새로운 황제로 옹립한다. 에센족은 포로로 잡은 정통제가 협상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자 아무런 조건 없이 1450년에 명나라 조정에 송환했다. 하지만 이미 이복동생인 경태제가 즉위하여 황제가 되었으므로 정통제는 태상황(太上皇)이 되었으나 궁에 유폐되었다.

탈문의 변

경태제가 정통제를 유폐시키자 조정은 정통제를 중심으로 하는 파와 경태제를 중심으로 하는 파로 나뉘었다. 경태제는 본래 황태자였던 그의 아들 성화제를 폐하고, 자신의 아들을 황태자로 책봉하였지만 그는 병으로 죽고 만다. 1457년에 병을 앓는 도중 정통제를 중심으로 하는 일파가 정변을 일으켜 경태제는 폐위되었고, 폐위된 지 한 달 후에 급사하였다. 정통제는 천순제라는 이름으로 복위에 성공했다.

가족

조부모와 부모

황후

후궁

  • 정장안목신비 만씨(靖莊安穆宸妃 萬氏, 1431년 ~ 1468년)
  • 단정안화혜비 왕씨(端靖安和惠妃 王氏, 1429년 ~ 1485년)
  • 장정안영숙비 고씨(莊靜安榮淑妃 高氏, 1429년 ~ 1511년)
  • 공단장혜덕비 위씨(恭端莊惠德妃 魏氏)
  • 공화안정순비 번씨(恭和安靜順妃 樊氏, 1414년 ~ 1470년)
  • 장희단숙안비 양씨(莊僖端肅安妃 楊氏, 1414년 ~ 1487년)
  • 소숙정단현비 왕씨(昭肅靖端賢妃 王氏)
  • 정순의공경비 유씨(貞順懿恭敬妃 劉氏)
  • 안화영정여비 유씨(安和榮靖麗妃 劉氏)
  • 단장소비 무씨(端莊昭妃 武氏)
  • 공화화비 궁씨(恭安和妃 宮氏)
  • 소정공비 유씨(昭靜恭妃 劉氏)
  • 소의현비 이씨(昭懿賢妃 李氏)
  • 공정장비 조씨(恭靖莊妃 趙氏)
  • 공희성비 장씨(恭僖成妃 張氏)
  • 희각충비 여씨(僖恪充妃 余氏)
  • 혜화여비 진씨(惠和麗妃 陳氏)
  • 영정정비 왕씨(榮靖貞妃 王氏)
  • 유비(劉妃) - 봉호가 없음.

황자

  1. 황태자 주견심(朱見深) - 효숙황후 소생. 제9대 황제 헌종 성화순황제(憲宗 成化純皇帝).
  2. 덕장왕(德章王) 주견린(朱見潾, 1448년 ~ 1517년) - 정장안목신비 소생.
  3. 주견식(朱見湜, 1449년 ~ 1451년) - 정장안목신비 소생. 요절함.
  4. 허도왕(許悼王) 주견순(朱見淳, 1450년 ~ 1453년) - 단정안화혜비 소생. 요절함.
  5. 수회왕(秀懷王) 주견주(朱見澍, 1452년 ~ 1472년) - 장정안영숙비 소생.
  6. 숭간왕(崇簡王) 주견택(朱見澤, 1455년 ~ 1505년) - 효숙황후 소생.
  7. 길간왕(吉簡王) 주견준(朱見浚, 1456년 ~ 1527년) - 정장안목신비 소생.
  8. 흔목왕(炘穆王) 주견치(朱見治, 1458년 ~ 1472년) - 정장안목신비 소생.
  9. 휘장왕(徽莊王) 주견패(朱見沛, 1462년 ~ 1505년) - 공단장혜덕비 소생.

황녀

  • 장녀 : 중경공주(重慶公主, 1446년 ~ 1499년) - 효숙황후 소생.
  • 차녀 : 가선공주(嘉善公主, ? ~ 1499년) - 단정안화혜비 소생.
  • 3녀 : 순안강희공주(淳安康僖公主, ? ~ 1500년) - 정장안목신비 소생.
  • 4녀 : 숭덕공주(崇德公主, ? ~ 1489년) - 장희단숙안비 소생.
  • 5녀 : 광덕공주(廣德公主) 주연상(朱延祥, 1454년 ~ 1484년) - 정장안목신비 소생.
  • 6녀 : 의흥공주(宜興公主, ? ~ 1514년) - 공단장혜덕비 소생.
  • 7녀 : 융경공주(隆慶公主, 1455년 ~ 1480년) - 장정안영숙비 소생.
  • 8녀 : 가상공주(嘉祥公主, ? ~ 1483년) - 황비 유씨 소생.
  • 9녀 : 공주(公主) - 공단장혜덕비 소생. 요절함.
  • 10녀 : 공주(公主) - 공화안정순비 소생. 요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