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매일신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사장과 발행인은 엄연히 다른 말이고요. 이런 말로 미래의 한국사의 새싹들이 잘못된 지식을 습득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Galaxian (토론 | 기여)
사진 변경
1번째 줄: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5-10-31}}
{{출처 필요|날짜=2015-10-31}}
[[파일:대한매일신보.jpg|썸네일|200px|right|대한매일신보 창간호]]
[[File:대한매일신보 창간호.jpg|thumb|대한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일제강점기의 [[매일신보]]와 현재 [[서울신문]]의 전신이다.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일제강점기의 [[매일신보]]와 현재 [[서울신문]]의 전신이다.

2017년 12월 26일 (화) 10:19 판

대한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일제강점기의 매일신보와 현재 서울신문의 전신이다.

대한매일신보는 사장이 영국인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이었기에 통감부에 검열받지 않고 항일 논설을 자유롭게 실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 민중의 지지도가 높았고 발행 부수도 가장 많았다. 영문판의 제호는 《The Korea Daily News》였다. 주요 논설진으로는 양기탁 외에 신채호·박은식 등이 있다.

양기탁이 편집과 경영의 실질적 책임지고 있었는데 주요 논설의 대부분은 양기탁이 집필했다. 신채호박은식을 비롯해 애국지사들의 논설도 많이 실었다. 대한매일신보는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해 애국운동을 주도했고 1904년 4월에는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를 설치했다. 대한매일신보는 항일 논설을 이용해 일제의 침략 야욕을 폭로하면서 항일 논조를 견지했다. 조선 민중의 민족의식을 드높여 신교육과 애국계몽운동에도 크게 이바지했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중심체 역할을 자임했고 통감부의 간교한 방해 공작에도 1910년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로 전락하기까지 고종의 강제 퇴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의 부당성과 일제의 야만스러운 행위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등 항일 투쟁을 계속하였다.

대한매일신보가 일제의 침략 전쟁에 정면으로 저항하자 일제는 창간주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1907년1908년 2차례에 걸쳐 재판에 회부했다. 실질적 책임자인 양기탁도 국채보상의연금을 횡령했다는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었으나 결국 무죄로 석방되었다.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이 일제의 탄압과 싸우는 가운데 1908년 5월 27일부터 발행인 명의가 영국인 앨프리드 W. 마넘(萬咸(만함), Alfred W. Marnham)으로 바뀌었다. 1909년 5월 1일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이 서거하고서 1910년 5월 21일에는 통감부에 매수된 뒤부터 통감부의 기관지가 되었다. 1910년 6월 1일부터는 발행인이 이장훈으로 변경되었고 1910년 8월 29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에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매일신보(每日申報)》로 전락하고 말았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