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댓값: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실수의 경우 ===
=== 실수의 경우 ===
[[파일:AbsoluteValueDiagram.svg|섬네일|실수선 위에서, 실수 -3과 실수 0 사이의 거리는 3이다.]]
[[파일:AbsoluteValueDiagram.svg|섬네일|실수선 위에서, 실수 -3과 실수 0 사이의 거리는 3이다.]]
[[실수]] <math>x\in\mathbb R</math>의 절댓값 <math>|x|\in[0,\infty)</math>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실수]] <math>x\in\mathbb R</math>의 '''절댓값''' <math>|x|\in[0,\infty)</math>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x|=\sqrt{x^2}=\begin{cases}x&x>0\\0&x=0\\-x&x<0\end{cases}</math>
:<math>|x|=\sqrt{x^2}=\begin{cases}x&x>0\\0&x=0\\-x&x<0\end{cases}</math>
여기서
여기서
16번째 줄: 16번째 줄:
=== 복소수의 경우 ===
=== 복소수의 경우 ===
[[파일:Complex_conjugate_picture.svg|섬네일|복소평면 위에서, 복소수 ''z''의 절댓값은 원점과의 거리 ''r''와 같다. 모든 복소수 ''z''의 절댓값과 그 켤레 복소수 {{overset|—|''z''}}의 절댓값은 서로 같다.]]
[[파일:Complex_conjugate_picture.svg|섬네일|복소평면 위에서, 복소수 ''z''의 절댓값은 원점과의 거리 ''r''와 같다. 모든 복소수 ''z''의 절댓값과 그 켤레 복소수 {{overset|—|''z''}}의 절댓값은 서로 같다.]]
[[복소수]] <math>z\in\mathbb C</math>의 절댓값 <math>|z|\in[0,\infty)</math>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복소수]] <math>z\in\mathbb C</math>의 '''절댓값''' <math>|z|\in[0,\infty)</math>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z|=\sqrt{z\bar z}=\sqrt{(\operatorname{Re}z)^2+(\operatorname{Im}z)^2}</math>
:<math>|z|=\sqrt{z\bar z}=\sqrt{(\operatorname{Re}z)^2+(\operatorname{Im}z)^2}</math>
여기서
여기서

2017년 12월 25일 (월) 05:04 판

실수 절댓값 함수의 그래프

수학에서, 절댓값(絶對-, 영어: absolute value)은 실수실수선원점과, 복소수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다. 이는 선형대수학노름추상대수학절댓값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정의

실수의 경우

실수선 위에서, 실수 -3과 실수 0 사이의 거리는 3이다.

실수 절댓값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 제곱이다.
  • 주 제곱근이다.
  • 반수이다.

즉, 실수의 절댓값은 그 실수의 숫자 부분만 남겨두고 부호를 버려 얻는 음이 아닌 실수이다. 실수선 위에서 보면, 이는 실수와 0 사이의 거리와 같다.

복소수의 경우

복소평면 위에서, 복소수 z의 절댓값은 원점과의 거리 r와 같다. 모든 복소수 z의 절댓값과 그 켤레 복소수 z의 절댓값은 서로 같다.

복소수 절댓값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 켤레 복소수이다.
  • 실수부이다.
  • 허수부이다.

즉, 복소평면에 놓인 복소수의 절댓값은 그 복소수와 원점 사이의 거리를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여 구한 것과 같다.

이는 실수의 절댓값의 정의와 호환된다.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이를 복소수로 여겼을 때, 그 켤레 복소수는 자기 자신과 같다. 즉,

이다. 따라서,

이다. 즉, 의 실수로서의 절댓값과 복소수로서의 절댓값은 서로 같다. 다른 관점에서, 실수선은 복소평면의 좌표축으로 여길 수 있는데, 이 경우 실수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실수선에 국한되어서 보는지 복소평면에서 보는지와 무관하다. 따라서 실수의 절댓값은 복소수의 절댓값의 특수한 경우이다.

성질

실수를 , (실수일 수도 아닐 수도 있는) 복소수를 로 나타내자. 그렇다면, 절댓값의 성질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부등식

복소수의 절댓값은 0 이상이다.

복소수의 절댓값은 양의 정부호성을 만족시킨다.

실수의 절댓값을 포함하는 몇 가지 실수 부등식의 해는 다음과 같다.

복소수의 절댓값은 삼각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항등식

복소수의 절댓값은 곱셈·나눗셈을 보존한다.

복소수 절댓값 함수는 멱등 함수이며, 회전 대칭반사 대칭을 만족시킨다. 특히, 실수 절댓값 함수는 짝함수이다.

해석학적 성질

실수 절댓값 함수는 0이 아닌 모든 실수점에서 해석 함수이다. 복소수 절댓값 함수는 모든 복소수에서 연속 함수이지만, 모든 복소수점에서 비(非) 복소 미분 가능 함수이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