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uche365 (토론 | 기여)
→‎특징: 소문단 구분
호박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설명|[[호박 (화석)|호박]]은 보석의 일종이기도 하다.}}
{{대해서|호박속 식물의 열매|식물|호박속}}{{다른 뜻 설명|[[호박 (화석)|호박]]은 보석의 일종이기도 하다.}}
[[파일:Cucurbita 2011 G1.jpg|thumb|300px|여러 가지 종류의 호박.]]
[[파일:Cucurbita 2011 G1.jpg|thumb|300px|여러가지 호박.]]'''호박'''은 [[박과]] [[호박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채소 및 그 열매를 이르는 말이다.
[[file:jytim131102 - 16.jpeg|thumb|단호박]]


== 역사 ==
'''호박'''은 [[박과]] [[호박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채소를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열매를 가리키기도 한다. 호박은 열대 및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주로 유럽, 중국,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 이후에 중국에서 들어왔다
호박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또는 남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인 채소로,<ref>{{서적 인용|제목=Handbook of Food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성=Tsao|이름=Jocelyn Shing-Jy|성2=Lo|이름2=Hsiao-Feng|편집자-성=Hui|편집자-이름=Y. H.|출판사=CRC Press|언어=en|장=Vegetables: Types and Biology|isbn=978-1-4665-0787-6|chapter-url=https://books.google.co.kr/books?id=llDOBQAAQBAJ&pg=SA20-PA10}}</ref><ref>{{서적 인용|url=https://www.amazon.com/Cucurbits-Crop-Production-Science-Horticulture/dp/0851991335|제목=Cucurbits|성=Robinson|이름=R. W.|성2=Decker-Walters|이름2=D. S.|날짜=|연도=1997|총서=Crop Production Science in Horticulture|출판사=CABI|언어=en|isbn=978-0-85199-133-7}}</ref> 한국에는 [[동양계 호박]]이 임진왜란 이후에 중국에서 들어왔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호박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1618년 책인 《[[한정록]]》의 〈치농편〉으로, 호박을 심고 재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ref>{{서적 인용|제목=閑情錄|성=허균|저자고리=허균|연도=1618|언어=[[한문]]|번역제목=한정록|장=治農|번역장=치농|chapter-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g007&gunchaId=av043&muncheId=&finId=001}}</ref> 《[[성종실록]]》에는 이보다 앞선 1479년에 제주도 사람인 김비의, 강무, 이정이 [[류큐국|류쿠국]]의 "소내시마"에서 호박을 봤다는 기록이 나온다.<ref>{{서적 인용|url=http://sillok.history.go.kr/id/kia_11006010_001|제목=제주도 표류인 김비의 등으로부터 유구국 풍속과 일본국 사정을 듣다|날짜=1479-06-10|총서=[[성종실록]]|권=105|위치=[[조선]]}}</ref> 서양계 호박인 [[단호박]]은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에 들어왔는데, "왜호박"이라 부르며 꺼렸으며, [[페포계 호박]]인 [[주키니호박]]은 1955년에 도입되었다.<ref>{{웹 인용|url=http://db.gba.go.kr/sub02/sub01_view.php?info_no=152&kind_code=06|제목=호박의 우리나라에서의 내력|성=정종도|웹사이트=경상북도농업정보DB|출판사=[[경상북도농업기술원]]|확인날짜=2017-05-19}}</ref>


==특징==
== 종류와 특징 ==
[[동양계 호박]](''Cucurbita moschata''),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페포계 호박]](''Cucurbita pepo'') 등이 있으며, 수확 시기에 따라 [[여름호박]]과 [[겨울호박]]으로 나누기도 한다. 한국의 [[청둥호박]]과 [[애호박]] 등은 동양계 호박에 속한다. [[잭오랜턴]]을 만들 때 쓰는 서양 호박이나 애호박과 비슷하게 생긴 [[주키니호박]]은 페포계 호박(''Cucurbita pepo'') 품종이고, [[단호박]]은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품종이다. 미국에서는 호박을 "펌킨({{lang|en|pumpkin}})"과 "스쿼시({{lang|en|squash}})"로 나누기도 하는데, 생장기간이 길고 덩굴이 길게 뻗으며 큰 열매가 맺히는 품종을 "펌킨"으로, 빨리 자라고 작은 열매를 맺으며 덩굴이 뻗지 않는 품종을 스쿼시로 부른다.

호박은 커다란 잎이 거친 털로 덮여 있고, 수꽃과 암꽃이 따로 핀다. 수꽃에만 있는 화분을 벌이 암꽃에 옮기면 수분이 되고, 수분된 암꽃에서 호박이 자란다.

===꽃===

암꽃 하나하나가 단 하루만 피어 수분할 수 있는 데다가 호박꽃 대부분이 수꽃이기 때문에 실제로 호박을 생성하는 꽃은 몇 송이밖에 없다. 호박은 약간 산성인 토양에서 잘 자라며 대개 씨를 뿌린 뒤 약 4개월이면 익는다.

===열매===

호박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껍질이 단단하거나 무르다. 속은 결이 거칠고 끈끈한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매 가운데에 씨가 들어 있다. 열매의 무게는 대개 7 ~ 14kg 정도이지만 90kg이 넘게 나가는 것도 있다. 열매는 대개 오렌지색을 띠며, 노란색·녹색·흰색 등 다른 색깔을 띠는 것도 많다. 열매를 식용하고 어린 순도 먹는다. <ref> '호박' <<두산백과>> </ref>


==쓰임새==
==쓰임새==
호박 열매는 [[비타민A]]와 [[칼륨]]이 풍부하며, 여러 방법으로 요리해 먹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호박죽]]을 끓이거나 [[떡]] 등에 첨가하여 먹고, 산후조리로 붓기를 빼기위해서 먹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파이]]를 만들어 먹는다. 호박 씨는 널리 애용되는 간식이고 [[단백질]]과 [[철분]]의 공급원이기도 하다.<ref>'호박 - 속씨식물',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호박 열매는 [[비타민A]]와 [[칼륨]]이 풍부하며, 여러 방법으로 요리해 먹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호박죽]]을 끓이거나 [[떡]] 등에 첨가하여 먹고, 산후조리로 붓기를 빼기위해서 먹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파이]]를 만들어 먹는다. 호박 씨는 널리 애용되는 간식이고 [[단백질]]과 [[철분]]의 공급원이기도 하다.<ref name="GWE">{{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제목=위키문헌/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 씨 식 물/쌍떡잎 식물|주소=https://ko.wikisource.org/wiki/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_계통과_분류/속_씨_식_물/쌍떡잎_식물}}</ref> 또한 항암 효과에 좋은 알파카로틴(alpha-carotene)이 다량 함유돼 있고 단백질과 식이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어 당뇨와 다이어트에 좋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며,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은 물론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핼러윈]]에는 등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gallery>
또한 항암 효과에 좋은 알파카로틴(alpha-carotene)이 다량 함유돼 있고 단백질과 식이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어 당뇨와 다이어트에 좋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며,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은 물론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핼러윈]]에는 등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gallery>
파일:Jack-o'-Lantern 2003-10-31.jpg|[[핼러윈]]에 쓰는 호박 등, [[잭 오 랜턴]]
파일:Jack-o'-Lantern 2003-10-31.jpg|[[핼러윈]]에 쓰는 호박 등, [[잭 오 랜턴]]
</gallery>
</gallery>

== 같이 보기 ==
* [[호박속]]
* [[여름호박]]
* [[겨울호박]]


== 각주 ==
== 각주 ==
{{각주|30em}}
<references/>


== 같이 보기 ==
* [[애호박]]
* [[늙은호박]]
* [[박]]
* [[국수호박]]
* [[조롱박]]
* [[서울마디호박]]

== 참고문헌 및 링크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http://www.rdatv.go.kr/search/list.asp?re_code=0311@@0312&mst_nm=%EC%B1%84%EC%86%8C&dtl_nm=%ED%98%B8%EB%B0%95 (동영상) 농촌진흥청 - 다양한 호박의 종류와 재배기술]

{{토막글|박목}}


[[분류:박과]]
[[분류:박과]]
48번째 줄: 29번째 줄:
[[분류:주식]]
[[분류:주식]]


{{토막글|박목}}
[[tl:Kalabasa]]

2017년 5월 19일 (금) 15:50 판

여러가지 호박.

호박박과 호박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채소 및 그 열매를 이르는 말이다.

역사

호박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또는 남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인 채소로,[1][2] 한국에는 동양계 호박이 임진왜란 이후에 중국에서 들어왔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호박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1618년 책인 《한정록》의 〈치농편〉으로, 호박을 심고 재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3]성종실록》에는 이보다 앞선 1479년에 제주도 사람인 김비의, 강무, 이정이 류쿠국의 "소내시마"에서 호박을 봤다는 기록이 나온다.[4] 서양계 호박인 단호박일제 강점기1920년대에 들어왔는데, "왜호박"이라 부르며 꺼렸으며, 페포계 호박주키니호박은 1955년에 도입되었다.[5]

종류와 특징

동양계 호박(Cucurbita moschata),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페포계 호박(Cucurbita pepo) 등이 있으며, 수확 시기에 따라 여름호박겨울호박으로 나누기도 한다. 한국의 청둥호박애호박 등은 동양계 호박에 속한다. 잭오랜턴을 만들 때 쓰는 서양 호박이나 애호박과 비슷하게 생긴 주키니호박은 페포계 호박(Cucurbita pepo) 품종이고, 단호박은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품종이다. 미국에서는 호박을 "펌킨(pumpkin)"과 "스쿼시(squash)"로 나누기도 하는데, 생장기간이 길고 덩굴이 길게 뻗으며 큰 열매가 맺히는 품종을 "펌킨"으로, 빨리 자라고 작은 열매를 맺으며 덩굴이 뻗지 않는 품종을 스쿼시로 부른다.

쓰임새

호박 열매는 비타민A칼륨이 풍부하며, 여러 방법으로 요리해 먹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호박죽을 끓이거나 등에 첨가하여 먹고, 산후조리로 붓기를 빼기위해서 먹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파이를 만들어 먹는다. 호박 씨는 널리 애용되는 간식이고 단백질철분의 공급원이기도 하다.[6] 또한 항암 효과에 좋은 알파카로틴(alpha-carotene)이 다량 함유돼 있고 단백질과 식이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어 당뇨와 다이어트에 좋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며,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은 물론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핼러윈에는 등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같이 보기

각주

  1. Tsao, Jocelyn Shing-Jy; Lo, Hsiao-Feng. 〈Vegetables: Types and Biology〉. Hui, Y. H. 《Handbook of Food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영어). CRC Press. ISBN 978-1-4665-0787-6. 
  2. Robinson, R. W.; Decker-Walters, D. S. (1997). 《Cucurbits》. Crop Production Science in Horticulture (영어). CABI. ISBN 978-0-85199-133-7. 
  3. 허균 (1618). 〈治農〉 [치농]. 《閑情錄》 [한정록] (한문). 
  4. 《제주도 표류인 김비의 등으로부터 유구국 풍속과 일본국 사정을 듣다》. 성종실록 105. 조선. 1479년 6월 10일. 
  5. 정종도. “호박의 우리나라에서의 내력”. 《경상북도농업정보DB》. 경상북도농업기술원. 2017년 5월 19일에 확인함. 
  6.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위키문헌/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 씨 식 물/쌍떡잎 식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