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8.237.158.92(토론)의 18391464판 편집을 되돌림
5번째 줄: 5번째 줄:
== 이력 ==
== 이력 ==
=== 창설 초기 ===
=== 창설 초기 ===
1951년, 4년제 육군 사관학교 첫 입학생 중 영남 출신 생도인 [[전두환]], [[노태우]], [[김복동]], [[최성택]], [[박병하]] 등 5인이 조직한 5성회가 시초이다.
1951년, 4년제 육군 사관학교 첫 입학생 중 영남 출신 생도인 전두환, 노태우, 김복동, 최성택, [[박병하]] 등 5명이 5성회를 조직한 것이 시초이다.


1961년 말 [[전두환]], [[노태우]], [[손영길]], [[정호용]], [[권익현]], [[최성택]], [[백운택]] 등 육사 11기들이 친목 모임으로 칠성회를 만들었다. 이게 나중에 하나회로 바뀌었는데, 오성회 구성원이었던 [[김복동]]은 그때 탈퇴<ref>박정희가 키운 하나회의 쿠데타, 왜 진압 못했나, 프레시안, 2016.09.08</ref>했다.
1961년 말 [[전두환]], [[노태우]], [[손영길]], [[정호용]], [[권익현]], [[최성택]], [[백운택]] 등 육사 11기들이 친목 모임으로 칠성회를 만들었다. 이게 나중에 하나회로 바뀌었는데, 오성회 구성원이었던 [[김복동]]은 그때 탈퇴했다.<ref>박정희가 키운 하나회의 쿠데타, 왜 진압 못했나, 프레시안, 2016.09.08</ref>


[[전두환]] 주도로 육군사관학도들은 [[5·16 군사 정변]] 지지 시위를 벌였고, 이는 박정희 소장의 관심을 끌었다. 이후 5성회는 회원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확대 개편 과정을 여러번 거쳤다. 이들은 1963년 7월 6일을 기점으로 육사 8기를 몰아내기 위해 '7·6 친위 쿠데타'를 기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동향 출신 세력을 키우고자한 박정희는 이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았다.
전두환 주도로 육군사관학도들은 [[5·16 군사 정변]] 지지 시위를 벌였고, 이는 박정희 소장의 관심을 끌었다. 이후 5성회는 회원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확대 개편 과정을 여러번 거쳤다. 이들은 1963년 7월 6일을 기점으로 육사 8기를 몰아내기 위해 '7·6 친위 쿠데타'를 기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동향 출신 세력을 키우고자한 박정희는 이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았다.


가입하기 위해서 가입 대상자는 보스에게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서약 절차를 거쳤다.
하나회에 가입하기 위해서 가입 대상자는 보스에게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서약 절차를 거쳤다.


* 하나회의 선후배와 동료들에 의해 합의된 명령을 복종한다.
* 하나회의 선후배와 동료들에 의해 합의된 명령을 복종한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이상의 서약을 위반할 시 '인격말살'을 감수한다
* 이상의 서약을 위반할 시 '인격말살'을 감수한다


회원들은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보안사령부 내사과 등의 진급 담당 요직을 점거하여 승진이나 자리이동때 선배가 후배를 추천하고 밀어주는 식으로 군내 주요 요직을 독점하였다. 1973년 [[윤필용 사건]]에서 수사 도중 '''하나회'''의 실체가 드러났다. [[강창성]] 보안사령관이 조사한 하나회는 (1) 정규육사 출신을 기본 정원제로 가입, 10명 내외로 (2) 회원 다수는 영남 출신이 점한다. (3)비밀 점조직 방식으로 조직하되 가입시 조직에 신명을 바쳐 충성할 것을 맹세케한다. (4) 고위층으로 부터 활동비를 지급받거나 재벌로부터 자금을 징수 (5) 회원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진급 및 보직 상의 특혜 라고 밝혀졌다.<ref>한용원, 한국의 군부정치 320~321쪽</ref>
하나회 회원들은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보안사령부 내사과 등의 진급 담당 요직을 점거하여 승진이나 자리이동때 선배가 후배를 추천하고 밀어주는 식으로 군내 주요 요직을 독점하였다. 1973년 [[윤필용 사건]]에서 수사 도중 '''하나회'''의 실체가 드러났다. [[강창성]] 보안사령관이 조사한 하나회는 (1) 정규육사 출신을 기본 정원제로 가입, 10명 내외로 (2) 회원 다수는 영남 출신이 점한다. (3)비밀 점조직 방식으로 조직하되 가입시 조직에 신명을 바쳐 충성할 것을 맹세케한다. (4) 고위층으로 부터 활동비를 지급받거나 재벌로부터 자금을 징수 (5) 회원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진급 및 보직 상의 특혜 라고 밝혀졌다.<ref>한용원, 한국의 군부정치 320~321쪽</ref>


초기 리더는 [[윤필용]]과 [[전두환]] 등으로 1973년 [[윤필용 사건]]으로 한풀 꺾이지만, 조직의 다른 우두머리인 [[전두환]]은 기적적으로 보안사령관으로 복귀, 그에 대한 [[박정희]]의 각별한 신뢰를 바탕으로 그 이후에도 계속 세력을 확장하였다. 하나회는 [[박정희]] 전 대통령에 충성을 맹세하며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엄청난 세력이 되었으며, 서로에 대해 "형님"이라는 암호명으로 서로가 하나회 멤버임을 과시했다.<ref>{{뉴스 인용
팀의 초기 리더는 [[윤필용]]과 [[전두환]] 등으로 1973년 [[윤필용 사건]]으로 한풀 꺾이지만, 조직의 다른 우두머리인 [[전두환]]은 기적적으로 보안사령관으로 복귀, 그에 대한 [[박정희]]의 각별한 신뢰를 바탕으로 그 이후에도 계속 세력을 확장하였다. 하나회는 [[박정희]] 전 대통령에 충성을 맹세하며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엄청난 세력이 되었으며, 서로에 대해 "형님"이라는 암호명으로 서로가 하나회 멤버임을 과시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형님’은 잊어도 ‘장포스’는 못 잊는다
|제목 = ‘형님’은 잊어도 ‘장포스’는 못 잊는다
|url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8069
|url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8069
|출판사 = 시사인 |저자 = 고제규 기자 |쪽 = |날짜 = 2010-08-06 |확인일자 = }}</ref><ref>{{뉴스 인용
|출판사 = 시사인
|저자 = 고제규 기자
|쪽 =
|날짜 = 2010-08-06
|확인일자 =
}}</ref><ref>{{뉴스 인용
|제목 = 군대 내 '사조직' 발본색원 해야한다
|제목 = 군대 내 '사조직' 발본색원 해야한다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0056954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0056954

2017년 3월 2일 (목) 22:12 판

하나회(一心會) 혹은 신군부(新军部)는 1963년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김복동대한민국육군사관학교 11기생들의 주도로 비밀리에 결성한 군사 조직이다. 이후 육군사관학교의 각 기수를 내려오면서 주로 경상도 출신 소장파 장교들을 대상으로 3-4명씩 회원을 계속 모집하였다.

1979년에는 육사 11기, 12기생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12·12 군사 반란, 5·17 쿠데타를 주도하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 과정에도 참가했으며, 1995년 12·12 및 5·18 사건 재판에서 핵심 인사들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력

창설 초기

1951년, 4년제 육군 사관학교 첫 입학생 중 영남 출신 생도인 전두환, 노태우, 김복동, 최성택, 박병하 등 5명이 5성회를 조직한 것이 시초이다.

1961년 말 전두환, 노태우, 손영길, 정호용, 권익현, 최성택, 백운택 등 육사 11기들이 친목 모임으로 칠성회를 만들었다. 이게 나중에 하나회로 바뀌었는데, 오성회 구성원이었던 김복동은 그때 탈퇴했다.[1]

전두환 주도로 육군사관학도들은 5·16 군사 정변 지지 시위를 벌였고, 이는 박정희 소장의 관심을 끌었다. 이후 5성회는 회원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확대 개편 과정을 여러번 거쳤다. 이들은 1963년 7월 6일을 기점으로 육사 8기를 몰아내기 위해 '7·6 친위 쿠데타'를 기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동향 출신 세력을 키우고자한 박정희는 이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았다.

하나회에 가입하기 위해서 가입 대상자는 보스에게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서약 절차를 거쳤다.

  • 하나회의 선후배와 동료들에 의해 합의된 명령을 복종한다.
  • 하나회원 상호 간에 경쟁하지 않는다.
  • 이상의 서약을 위반할 시 '인격말살'을 감수한다

하나회 회원들은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보안사령부 내사과 등의 진급 담당 요직을 점거하여 승진이나 자리이동때 선배가 후배를 추천하고 밀어주는 식으로 군내 주요 요직을 독점하였다. 1973년 윤필용 사건에서 수사 도중 하나회의 실체가 드러났다. 강창성 보안사령관이 조사한 하나회는 (1) 정규육사 출신을 기본 정원제로 가입, 10명 내외로 (2) 회원 다수는 영남 출신이 점한다. (3)비밀 점조직 방식으로 조직하되 가입시 조직에 신명을 바쳐 충성할 것을 맹세케한다. (4) 고위층으로 부터 활동비를 지급받거나 재벌로부터 자금을 징수 (5) 회원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진급 및 보직 상의 특혜 라고 밝혀졌다.[2]

팀의 초기 리더는 윤필용전두환 등으로 1973년 윤필용 사건으로 한풀 꺾이지만, 조직의 다른 우두머리인 전두환은 기적적으로 보안사령관으로 복귀, 그에 대한 박정희의 각별한 신뢰를 바탕으로 그 이후에도 계속 세력을 확장하였다. 하나회는 박정희 전 대통령에 충성을 맹세하며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엄청난 세력이 되었으며, 서로에 대해 "형님"이라는 암호명으로 서로가 하나회 멤버임을 과시했다.[3][4]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

1979년10·26 사건 이후 육사 11기, 12기생 회원들을 중심으로 권력공백기를 이용하여 군의 정상적인 지휘체계를 무시하고 군내 각 요직에 배치된 하나회 회원들이 보안사령관이었던 전두환의 뜻에 따라 12·12 군사 반란을 주도했다. 12·12 군사 반란 이후 하나회 인사들은 군의 핵심 요직에 올랐다. 또한 전두환은 12·12 군사 반란을 묵인한 이희성을 계엄사령관 겸 육군참모총장에, 황영시를 육군참모차장에 직접 임명하였다. 12·12 군사 반란에 참여한 하나회 회원과 12·12 군사 반란 비호한 일부 장성들의 세력은 "새로운 군부 세력"이란 뜻으로 '신군부'로 불리게 되었다.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군부 세력들은 5월 초 집권 시나리오를 기획하여, 방해 세력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기 위해 5·17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들은 정치인과 재야인사들을 불법 연행하고, 국회에 군병력을 주둔하여 임시국회를 무산시키는 등 반대 세력을 탄압하였다. 또한, 이들은 5·17 쿠데타에 항거하여 일어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유혈진압 하였다. 이후 전두환이 대통령에 취임하자 하나회 회원들은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보안사령관, 특전사령관, 수도경비사령관과 같은 군내 요직 뿐만 아니라 전역 후에도 장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해체 과정

1993년육사 31기생들이 동기회장 선출을 두고 하나회와 비(非)하나회로 분열되어 물리적 충돌까지 빚었던 사건이 발생했다. 사태는 양측이 한 선술집에서 맥주병이 깨지고 바닥에 뒹굴며 난투극까지 치르는 소동을 벌인 뒤에야 다소 진정되었으나, 이미 동기생들 간의 앙금은 씻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5] 또한 김영삼 정부가 출범한 직후인 1993년 4월 2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빙고동 군인아파트에 익명의 군인에 의해 '하나회' 명단이 살포되었다. 이러한 사태로 인하여[5], '군정 종식'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던 김영삼문민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하나회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작업을 진행하였다.[5]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책임과 12·12 군사 반란에 대한 책임을 물어 전두환노태우 등 관련자들은 재판에 회부되었다.

지속 논란

하나회는 사실상 육사 36기부터 종식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일각에서는 현 소장, 준장급 장성들 가운데 하나회 멤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예비역 단체도 잠식한다는 주장도 있다.[6]

하지만 공식적으로 군부라는 인식이 없지만 내부적으로 알력이 아직도 상당히 남아있다. 때문에 대령에서 준장으로의 진급심사에서 총 공석 55자리 중 육사출신이 무려 40석이나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진급총원의 78%에 달한다. 이는 비육사 출신 공석을 모두 합친 것보다 3배 가까이 많은 숫자이다.

군내 유사한 사조직으로 청죽회, 만나회, 알자회, 나눔회가 있었으나 문민정부의 군사 조직 금지조치 이후로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지만 내부적인 알력이 아직 남아 있으며 특히 현역에서 예비군의 세력다툼이 심각하다.

주요 회원 명단

후원자
  • 윤필용(육사 8기, 소장 전역): 육군 방첩부대장, 육군 수도보병사단장, 육군 수도경비사령관, 한국도로공사장, 한미친선협회 이사장, 한국전매공사 이사장, 한국담배인삼공사장
  • 차규헌(육사 8기, 대장 전역): 주월사령부 비둘기부대장, 육군 제7보병사단장, 육군 수도경비사령관, 육군 수도군단장, 육군사관학교장, 육군참모차장, 육군 제2작전사령부 사령관, 교통부 장관
  • 유학성(육사 8기(정훈 1기), 대장 전역): 육군 100군수지원사령관(십자성), 육군 제26보병사단장, 육군 전투발전사령관, 육군 동해안경비사령관, 육군본부 교육참모부장, 육군 제2군단장, 국방부 군수차관보, 육군 제3야전군 사령관, 국가안전기획부장, 국회의원
  • 황영시(육사 10기, 대장 전역): 주월사령부 참모장, 육군3사관학교장, 육군 제1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육군 제3야전군 사령관, 육군참모총장, 감사원장
육사 11기
  • 전두환(대장 전역):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제30경비대대장,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 육군 제9보병사단 제29연대장,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장, 대통령경호실 작전차장보, 육군 제1보병사단장, 국군보안사령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 중앙정보부장 서리,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
  • 노태우(대장 전역): 육군 수도보병사단(맹호) 1연대 3대대장,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 특전사 제9공수특전여단장, 대통령경호실 행정차장보, 대통령경호실 작전차장보, 육군 제9보병사단장, 육군 수도경비사령관, 국군보안사령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 정호용(대장 전역): 특전사 제7공수특전여단장, 육군 제50보병사단장, 특전사령관, 제3야전군 사령관, 육군참모총장, 내무부 장관,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 김복동(중장 전역): 대통령경호실 차장보, 육군 제5보병사단장, 육군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육군사관학교장,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 학교법인 한국광산학원 이사장, 민주자유당 당무위원, 민주자유당 국회의원, 자유민주연합 국회의원
  • 권익현(대령 전역): 육군참모총장 비서실 보좌관, 육군 제26보병사단 76연대장, 삼성정밀 상무,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사무총장
  • 손영길(준장 전역):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 백운택(현역 중장 신분으로 사망): 육군 제71방위사단장, 육군 제9보병사단장, 육군 제1군단장(1983년 사망)
  • 최성택
  • 안교덕 :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과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국회의원, 농수산물 유통공사 사장
  • 노정기
  • 박갑룡
  • 남중수
  • 김홍진
육사 12기
  • 박희도(대장 전역):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장, 육군 제26보병사단장, 특수전사령관, 육군 제3야전군사령관, 육군참모총장, 한국토지개발공사 이사장
  • 박준병(대장 전역): 육군 제20기계화보병사단장,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국군보안사령관, 국회의원
  • 박세직(소장 전역): 육군사관학교 교수, 대통령비서실 안보담당 특별보좌관, 국방부 장관 보좌관, 육군 제3보병사단장, 육군 수도경비사령관, 한국전력공사 수석부사장, 국가안전기획부 차장보,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총무처 장관, 체육부 장관,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 제16대 국가안전기획부장, 서울특별시 시장, 제14·15대 국회의원, 제31·32대 재향군인회장
  • 제갈욱(소장 전역): 육군 제3보병사단장, 체육청소년부 장관, 국가안전기획부장,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원, 88서울올림픽조직위원장
  • 김대리(대장 전역): 육군 제20기계화보병사단장, 보안사령관, 국회의원
  • 이충열(대장 전역):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장, 특수전사령관, 육군참모총장, 토지개발공사장
  • 양성은(중장 전역): 특전사 제5공수특전여단장, 총무처 장관
  • 김단(중장 전역):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제30경비단장, 국회의원
  • 손성환(소장 전역): 국군보안사령부 비서실장
  • 김인석(준장 전역): 국군보안사령부 인사처장, 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 비서관, 국회의원
  • 안필준
  • 정동철
  • 황인수
  • 이광근
  • 장기오(중장 전역): 특전사 제5공수특전여단장, 총무처 장관
육사 13기
  • 최세창(대장 전역): 특전사 제3공수특전여단장, 육군참모차장, 육군 제3야전군사령관, 합동참모의장,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 국방부 장관
  • 정동호(중장 전역): 대통령 경호실 상황실장, 대통령 경호실장, 한국도로공사 사장, 국회의원
  • 오한구
  • 신재기
  • 윤태균
  • 이우재(준장 전역): 육군 제1군단 통신참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 국회의원
  • 조홍
  • 황진기
  • 조명기: 서울지하철공사(현 서울메트로) 감사
  • 우경윤(준장 전역): 육군범죄수사단장
  • 최문규
  • 권영휘
  • 박종남
  • 정진태
육사 14기
  • 이종구(대장 전역): 육군참모총장
  • 안무혁(준장 전역): 건설공병단장,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건설분과위원, 공병여단장, 국세청장, 국가안전기획부장, 국회의원, 한국발전연구원 이사장
  • 이춘구(준장 전역):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재무분과위원, 민주정의당 국회의원, 내무부 차관, 민주정의당 사무총장, 내무부 장관, 민주자유당 국회의원, 신한국당 국회의원, 신한국당 대표 최고위원
  • 배명국
  • 정도영(소장 전역): 국군보안사령부 보안처장
  • 박정기
  • 장기하
  • 신우식(소장 전역): 특전사 제7공수특전여단장, 한국관광공사 감사
  • 장홍열
  • 이경종
  • 신쌍호
  • 문영일
  • 최종국
  • 김충욱
육사 15기
육사 16기
육사 17기
  • 허화평(준장 전역): 육군 제9보병사단 작전참모, 국군보안사령부 비서실장, 대통령비서실 보좌관, 대통령 비서실 제1정무수석 비서관, 국회의원
  • 허삼수(준장 전역): 국군 보안사령부 인사처장, 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 미국 하와이대학교, 동서문화센터, 일본 교토대학교, 미국 스텐퍼드대학교 객원교수, 민주정의당 국책평가위원, 한국문화연구원장, 국회의원, 한국청소년연맹 총재, 사단법인 국제장애인협의회 이사장
  • 안현태(소장 전역): 대통령경호실장, 국가원로자문회의 사무총장(장관급)
  • 김진영(대장 전역):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제33경비단장, 수도경비사령관, 육군참모총장
  • 이현우(중장 전역): 국군정보사령관, 대통령 경호실장, 국가안전기획부장
  • 류근하
  • 이문석
  • 김근준
  • 임인조
  • 김태섭
  • 이병태
  • 이해룡
  • 강명오
  • 박장호
육사 18기
  • 이학봉(준장 전역): 국군보안사령부 수사과장, 대공처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 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국회의원
  • 구창회(대장 전역): 육군 제9보병사단 참모장, 국군기무사령관, 육군 제3야전군사령관
  • 정태화
  • 성환옥 육본 헌병감실 기획과장
  • 조남풍(대장 전역):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장,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맹호),교육사령관, 국군보안사령관, 제1야전군사령관, 제35대 재향군인회장
  • 김정헌
  • 김재창
  • 이시용
  • 배대웅
  • 반준석(소장 전역):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56사단장, 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
  • 이승남
육사 19기
육사 20기

각주

  1. 박정희가 키운 하나회의 쿠데타, 왜 진압 못했나, 프레시안, 2016.09.08
  2. 한용원, 한국의 군부정치 320~321쪽
  3. 고제규 기자 (2010년 8월 6일). “‘형님’은 잊어도 ‘장포스’는 못 잊는다”. 시사인. 
  4. “군대 내 '사조직' 발본색원 해야한다”. 오마이 뉴스. 2005년 1월 18일. 
  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하나회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6. 감명국 (2009년 6월 24일). “몰락한 하나회 되살아나나”. 시사저널. 
  7. 소대장 시절부터 사단장에 부임할 때까지 오직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한 부대에서만 복무했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