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가키 다이스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ndore-t33 (토론 | 기여)
Andore-t33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Itagaki Taisuke.jpg|섬네일|이타가키 다이스케]]
[[파일:Itagaki Taisuke.jpg|섬네일|이타가키 다이스케]]
{{일본어 표기
|title = '''이타가키 다이스케'''
|alphabet-type = [[로마자]]
|alphabet = Itagaki Taisuke
|kana = いたがき たいすけ
|kanji = 板垣 退助
|hangeul = 이타가키 다이스케
}}
'''이타가키 다이스케''' ({{ja-y|板垣退助|いたがき たいすけ}}, [[1837년]] [[5월 21일]] ~ [[1919년]] [[7월 16일]]) 는 [[막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다. [[일본]]에서는 [[자유민권운동]]의 주도자로서 알려져 있다.
'''이타가키 다이스케''' ({{ja-y|板垣退助|いたがき たいすけ}}, [[1837년]] [[5월 21일]] ~ [[1919년]] [[7월 16일]]) 는 [[막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다. [[일본]]에서는 [[자유민권운동]]의 주도자로서 알려져 있다.



2016년 11월 19일 (토) 15:16 판

이타가키 다이스케
이타가키 다이스케
일본어식 한자板垣 退助
가나 표기いたがき たいすけ
국립국어원 표준이타가키 다이스케
로마자Itagaki Taisuke

이타가키 다이스케 (틀:Ja-y, 1837년 5월 21일 ~ 1919년 7월 16일) 는 막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다. 일본에서는 자유민권운동의 주도자로서 알려져 있다.

덧붙여, 후에 육군 대신 등을 역임한 이타가키 세이시로와는 혈연 관계가 없다.

약력

  • 1837년 5월 21일에 지금의 고치 시에서 상류계급의 무사 집안인 이누이 마사시게(乾正成)의 장남으로서 태어났다. 원래 이름은 마사카타(正形), 아명(兒名)은 이노스케(猪之助), 다이스케(退助), 무게이(無形)이라고 자칭했다.
  • 보신 전쟁(戊辰戦争)에서는 도사 번(土佐藩)의 군대의 총지령관 으로서 종군하고, 게다가 "도산도 선진 부대총독" 의 참모(東山道先鋒総督府参謀)가 되었다. 그리고, 도쿠가와 바쿠후군(德川幕府軍)이 있는, 고후 성(甲府城)에 향하는 도중, 1868년 음력 2월14일이, 그의 선조의 이타가키 노부카타(板垣信方)의 몰후 정확히 320년이었기 때문, "이타가키씨(板垣氏)의 자손이다라는 증거를 내보이고, 가이 국(甲斐國)의 민중 지지를 얻으십시오"라고 말하는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의 조언을 들으며 이타가키씨(板垣氏)로 되돌렸다.
  • 세습 귀족제도에 반대하고 있었기 때문,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에게서 백작(伯爵)의 정도를 보내어졌다가, 2회 사퇴했지만, 결국 3회째에, 본의 아니지만 백작이 되었다.

"릿시사"(立志社)의 설립.

1874년 4월 10일 다이스케는 "3000여만명(당시의 일본 제국의 인구)의 모든 사람들은 평등해서 귀천존비(貴賎尊卑)의 구별은 없다. 사람들은 모두 각각 목숨이 있어서, 각각의 직업이 곤란했을 때는 복지를 받고 스스로 생각해서 행동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자유(自由)가 일정한 권리가 있는 사람들인 것은 잘 생각하면 누구나 알아차릴 것이다" 라고 말하고 도사(土佐)에 릿시사(立志社)를 만들었다.

가족 관계

다이스케의 가문인 이타가키 씨(板垣氏)는 이타가키 가네노부(板垣兼信)를 시조로 하며 가네노부의 아버지이자 가이 겐지(甲斐源氏) 및 다케다 씨(武田氏)의 당주 다케다 노부요시(武田信義)를 그 뿌리로 한다.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