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컨걸(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20번째 줄:
[[십자군 전쟁]] 이후 [[유럽]] [[기독교인]]들이 이슬람에 관심을 가져 12세기에 꾸란이 [[라틴어]]로 번역되었고, 이것이 다시 [[독일어]]·[[이탈리아어]]·[[네덜란드어]] 등으로 중역되었다. [[한국어]]로는 [[1980년]] 김용선 교수가 펴낸 《한역주해 코란 역편》이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아 최영길 교수에 의해 이루어진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이 번역본으로 나와 있으며, 이후 한국어로 완역하고 주석과 해석을 첨가한 《꾸란 주해》를 다시 펴내었다.
[[십자군 전쟁]] 이후 [[유럽]] [[기독교인]]들이 이슬람에 관심을 가져 12세기에 꾸란이 [[라틴어]]로 번역되었고, 이것이 다시 [[독일어]]·[[이탈리아어]]·[[네덜란드어]] 등으로 중역되었다. [[한국어]]로는 [[1980년]] 김용선 교수가 펴낸 《한역주해 코란 역편》이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아 최영길 교수에 의해 이루어진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이 번역본으로 나와 있으며, 이후 한국어로 완역하고 주석과 해석을 첨가한 《꾸란 주해》를 다시 펴내었다.


== 꾸란의 장(수라) ==
== 꾸란의 장 (수라) ==
{{본문|수라}}
{{본문|수라}}
여기서의 수라({{llang|ar|سورة}})는 "[[꾸르안]]의 장"에 대한 [[아랍어]] 표기이다. 이는 보통 [[메디나 수라]]와 [[메카 수라]]로 구분되나 그 구분은 확실하지 않다. 모든 수라는 [[아야트]], 즉 절로 나뉜다.
여기서의 수라({{llang|ar|سورة}})는 "[[꾸르안]]의 장"에 대한 [[아랍어]] 표기이다. 이는 보통 [[메디나 수라]]와 [[메카 수라]]로 구분되나 그 구분은 확실하지 않다. 모든 수라는 [[아야트]], 즉 절로 나뉜다.

2016년 11월 11일 (금) 06:05 판

꾸란(아랍어: أَلْقُرآن)또는 쿠란, 코란은 예언자 무함마드610년 이후 23년간 알라(알라는 '하나님'이라는 의미이다.)에게 받은 계시를 구전으로 전하다가 그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이 여러 장소에서 여러 시대를 걸쳐 기록한 기록물들을 모아서 집대성한 으로, 이 계시는 무함마드가 40세 경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히라산 동굴에서 천사 지브릴을 통해 처음 받았다.

꾸란은 까라아(َقَرَأ)(읽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로 '낭송'이라는 뜻을 지닌다. '파알라'(َفَعَل)라는 동사에서 '푸을란'(فُعْلَان)이라는 명사로 변형된 형태이다. 꾸란은 계시되어 가르쳐지면, 제자들이 그것을 낙타의 골편이나 야자의 엽피, 양피지 등에 기록하였으며, (무함마드가 죽자마자) 이후 제1대 칼리프 아부 바크르 시절에 꾸란을 한 권으로 집대성해 보관하였고 , 제3대 칼리프 우스만 이븐 아판은 꾸란 결집위원회를 조직하여 최종적으로 집대성 작업을 완성했다. 이 과정에서 꾸라이쉬 부족의 언어로 그 기재 방법을 통일하였으며, 정통본을 암송자인 하피즈와 함께 이슬람 각지로 파견하여 전파하도록 했으며, 이것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꾸란의 정본(定本)이다. 또한 이것을 달리 '이맘본' 또는 '오스만본'이라 부르기도 한다.

오늘날 쓰이는 꾸란은 이 정본을 원본으로 삼고 있다. 9세기 말부터 모음 기호(타쉬킬)가 붙어 표기되기 시작했으며. 오늘날 쓰이는 꾸란은 최초의 정본에서 타쉬킬(모음기호)이 추가된 형태이다(문법에 따라, 운율에 따른 읽는 법에 따를 수 있으나 그 내용은 같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는 꾸란의 구절로서 이슬람의 다섯 기둥 중의 하나인 샤하다(하나님 이외에는 경배받을 존재가 없으며, 무함마드는 하나님의 사도이다)가 새겨져 있기 때문에 조기를 게양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구성

문체는 사즈아이고 일종의 운을 단 산문체로 되었고, 독송 할 때 리듬감을 느낀다. 6342개의 아야(절)와 114의 수라(장)로 되어 있으며 각 수라는 암소·이므란일가·여자등과 같은 제목으로 분류된다. 꾸란에서 사용되는 단어는 점 하나까지도 리듬과 운율로 연결되어 소홀히 할 수 없다.

주석서 (타프씨르)

꾸란의 주석서는 타프시르(Tafsir)로 불리며 어근은 아랍어 fassara(설명하다)이다. 꾸란 구절을 설명할 때 가장 먼저 사용되는 것은 먼저 꾸란 그 자체의 다른 구절이며, 두 번째로는 하디스(무함마드의 언행록)이며, 마지막으로는 사하바(무함마드의 교우)의 전승이다.

독송

하루 5번 기도 [1]무슬림은 정확한 발음으로 꾸란을 암송하여야 하며 꾸란 전체를 암기하는 자를 하피즈(Hafiz)라고 한다. 각종 의식에서는 정규 독송자가 소리 높이 독송한다. 10여 개의 유파가 각기 다른 정지나 성조로 독송했으며 10세기경 이후는 7파로 통일되어 부르고 있다. 모든 예배 시에 알 파티하는 반드시 독송하며, 하루 다섯 차례 기도를 올리는 동안 최소한 17회 이상 개경장을 암송하게 된다.

번역

알라가 계시한 꾸란은 문학적 아랍어로 되어있으며 아랍어 자체로써 꾸란을 이해할 때만이 그 의미에 가장 정확히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원뜻을 훼손하고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하여, 꾸란은 타언어로 번역된 꾸란을 인정하지 않는다. 비아랍어를 사용하는 독자, 예를 들어 한국인을 위해 한국어로 번역된 꾸란은 ‘한국어 꾸란’이 아닌 ‘꾸란 의미의 한국어 해설’로 불린다.

십자군 전쟁 이후 유럽 기독교인들이 이슬람에 관심을 가져 12세기에 꾸란이 라틴어로 번역되었고, 이것이 다시 독일어·이탈리아어·네덜란드어 등으로 중역되었다. 한국어로는 1980년 김용선 교수가 펴낸 《한역주해 코란 역편》이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아 최영길 교수에 의해 이루어진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이 번역본으로 나와 있으며, 이후 한국어로 완역하고 주석과 해석을 첨가한 《꾸란 주해》를 다시 펴내었다.

꾸란의 장 (수라)

여기서의 수라(아랍어: سورة)는 "꾸르안의 장"에 대한 아랍어 표기이다. 이는 보통 메디나 수라메카 수라로 구분되나 그 구분은 확실하지 않다. 모든 수라는 아야트, 즉 절로 나뉜다.

114개의 수라는 다음과 같다. 이때 "알"은 정관사이고, 그에 따라, 예를 들면 "알 진"은 "정령 장"이라는 뜻을 가진다.

  1. 알 파티하, 또는 개경장
  2. 알 바카라
  3. 알 이므란
  4. 안 니사
  5. 알 마이다
  6. 알 아남
  7. 알 아라프
  8. 알 안파르
  9. 앗 타우바
  10. 유누스
  11. 후드
  12. 요셉
  13. 알 라드
  14. 아브라함
  15. 알 히즈르
  16. 안 나흐르
  17. 알 이스라
  18. 알 까흐프
  19. 마리아
  20. 따하
  21. 알 안비야
  22. 알 하즈
  23. 알 무미눔
  24. 안 누르
  25. 알 푸르깐
  26. 아쉬 슈아라
  27. 안 나믈
  28. 알 까싸스
  29. 알 안카부트
  30. 알 룸
  31. 루끄만
  32. 아스 싸즈다
  33. 알 아흐잡
  34. 싸바아
  35. 파티르
  36. 야 씬
  37. 아스 사파트
  38. 사드
  39. 아즈 주마르
  40. 가피르
  41. 푸실라트
  42. 아쉬 슈 라
  43. 아즈 주크루프
  44. 아드 두칸
  45. 알 자씨야
  46. 알 아흐까프
  47. 무함마드
  48. 알 파트흐
  49. 알 후즈라트
  50. 까프
  51. 아즈 자리야트
  52. 앗 뚜르
  53. 안 나즘
  54. 알 까마르
  55. 알 라흐만
  56. 알 와끼야
  57. 알 하디드
  58. 알 무자달라
  59. 알 하쉬르
  60. 알 뭄타하나
  61. 아스 사프
  62. 알 주므아
  63. 알 무나피쿤
  64. 앗 타가분
  65. 앗 딸라크
  66. 앗 타흐림
  67. 알 물크
  68. 알 깔람
  69. 알 하까
  70. 알 마아리즈
  71. 노아
  72. 알 진
  73. 알 무잠밀
  74. 알 무다씨르
  75. 알 끼야마
  76. 알 인싼
  77. 알 무르쌀라트
  78. 안 나바아
  79. 안 나지아트
  80. 아바싸
  81. 앗 타크위르
  82. 알 인피따르
  83. 알 무따피핀
  84. 알 인쉬까끄
  85. 알 부루즈
  86. 알 따리끄
  87. 알 알라
  88. 알 가쉬야
  89. 알 파즈르
  90. 알 발라드
  91. 아쉬 샴쓰
  92. 알 라일
  93. 알 두하
  94. 알 인샤르흐
  95. 앗 틴
  96. 알 알라끄
  97. 알 까드르
  98. 알 바이아나
  99. 알 질잘
  100. 알 아디야트
  101. 알 까리아
  102. 앗 타카쑤르
  103. 알 아스르
  104. 알 후마자
  105. 알 필
  106. 꾸라이쉬
  107. 알 마운
  108. 알 카우싸르
  109. 알 카피룬
  110. 안 나수르
  111. 알 마싸드
  112. 알 이클라쓰
  113. 알 팔라끄
  114. 안 나쓰

읽어보기

각주

  1. 한국 이슬람에서는 예배라고 부른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