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차수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계차수열의 일반항 구하는 방법 추가
31번째 줄: 31번째 줄: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수변|a<sub>n</sub>}}의 영계 차수열은 자기 자신, 일계 차수열은 {{수학|Δ''a<sub>n</sub>''}}이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수변|a<sub>n</sub>}}의 영계 차수열은 자기 자신, 일계 차수열은 {{수학|Δ''a<sub>n</sub>''}}이다.

== 계차수열의 일반항 ==
수열 <math>\{a_n\}</math>의 계차수열을 <math>\{b_n\}</math>이라고 하자. 다음과 같은 수열을 예시로 들자.

<math>\{a_n\} \;:\; 1,\quad 2,\quad 4,\quad 7,\quad 11,\quad 16,\quad \cdots</math>

<math>\{b_n\} \;:\;\;\;\;\; 1,\quad 2,\quad 3,\quad 4,\quad \;\; 5,\quad \cdots</math>

여기에서,

<math>a_2 = a_1 + b_1</math>

<math>a_3 = a_2 + b_2 = a_1 + (b_1 + b_2)</math>

<math>a_4 = a_3 + b_3 = a_1 + (b_1 + b_2 + b_3)</math>

이와 같은 방식으로,

<math>n\geq2 </math> 일 때, <math>a_n = a_1 + (b_1 + b_2 + \cdots + b_{n-1})</math>임을 추측할 수 있다.


== 예 ==
== 예 ==

2016년 9월 20일 (화) 01:19 판

수학에서, 수열계차수열(階差數列)은 그 수열의 인접하는 두 항의 차로 이루어지는 수열이다. 예를 들어 수열

1, 4, 9, 16, ... , n2, ...

의 계차수열은

3, 5, 7, ... , 2n + 1, ...

과 같다. 수열 틀:수집의 계차수열의 일반항an+1 - an이다.

정의

수열 틀:수집계차수열은 다음과 같은 수열 틀:수집이다.[1]

또, 틀:수집의 계차수열

이계 차수열이라고 하고, 틀:수집으로 표기한다.

임의의 자연수 틀:수변에 대하여 틀:수변계 차수열(kth difference) 틀:수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또는 (점화식을 써서)[1]

위에서 알 수 있듯이, 틀:수변의 영계 차수열은 자기 자신, 일계 차수열은 Δan이다.

계차수열의 일반항

수열 의 계차수열을 이라고 하자. 다음과 같은 수열을 예시로 들자.

여기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 때, 임을 추측할 수 있다.

  • 수열 1, 3, 5, 7, ...2, 4, 6, 8, ...의 계차수열은 모두 2, 2, 2, 2, ...이다.
  • 수열 1, 1/2, 1/3, 1/4, ...의 계차수열은 1/1 × 2, 1/2 × 3, 1/3 × 4, ...이다.
  • 수열 9, 99, 999, 9999, ...의 계차수열은 90, 900, 9000, ...이다. 이계 차수열은 810, 8100, ...이다.
  • 피보나치 수열 1, 1, 2, 3, 5, 8, ...의 계차수열은 0, 1, 1, 2, 3, 5, 8, ..., 즉 0 하나를 앞에 붙인 것과 같다.
  • 등차수열 an = pn + q의 계차수열은 상수열 Δan = p이다. 특별히, 상수열 an = c의 계차수열은 영수열 Δan = 0이다.
  • 조화수열 an = 1/pn + q의 계차수열은 Δan = p/(pn + q)(pn + p + q)이다.
  • 주어진 수열 틀:수변의 합 Sn = a1 + … + an의 계차수열은 a2, a3, a4, ...이다.
  • 3차 다항식n3의 1, 2, 3계 차수열은 각각 3n2 + 3n + 1, 6n + 6, 6이며, 이들은 각각 2차, 1차, 0차 다항식이다.

성질

  • 임의의 수열 틀:수집은 초항과 일계 차수열 틀:수집에 의해 유일하게 결정된다.
다만, 홀수열 1, 3, ...과 짝수열 2, 4, ...처럼, 일계 차수열이 같더라도, 수열의 초항이 다르면 다른 수열이 된다.
  • 더 나아가, 수열은 모든 계수(0, 1, 2, ...)의 계차수열의 초항에 의해 다음과 같이 유일하게 결정된다.[1]
여기서 (n - 1)개의 대상 중에서 틀:수변 개를 고른 조합수이다.

고계 등차수열

틀:수변계 등차수열(m ≥ 0)은 다음과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된다.

  • 0이 아닌 상수의 수열은 0계 등차수열이다.
  • 계차수열이 (k - 1)계 등차수열인 수열은 틀:수변계 등차수열이다.

위의 예시 문단에서, 수열 틀:수집은 0계 등차수열이며, 그 수열을 계차수열로 하는 수열인 틀:수집은 1계 등차수열이다. 마찬가지로 틀:수집은 2계 등차수열, 틀:수집은 3계 등차수열이다.

어떤 수열 틀:수집틀:수변계 등차수열일 필요충분조건은, 일반항이 틀:수변에 대한 [[다항식|틀:수변차 다항식]]이라는 것이다.[1]

같이 보기

각주

  1. 吴强 (2008). 张飞羽, 편집. “阶差数列的几个性质及其应用” [계차수열의 몇가지 성질과 그 응용]. 《河西学院学报》. 24 (중국어) (2):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