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초 관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번째 줄: 6번째 줄: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 <math>(x_i)_{i=0}^\infty\subseteq X</math>이 존재하지 않는다.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 <math>(x_i)_{i=0}^\infty\subseteq X</math>이 존재하지 않는다.
** 임의의 <math>i\in\mathbb N</math>에 대하여, <math>(x_{i+1},x_i)\in R</math>
** 임의의 <math>i\in\mathbb N</math>에 대하여, <math>(x_{i+1},x_i)\in R</math>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math>M</math>과 [[전단사 함수]] <math>j\colon X\to M</math>가 존재한다.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math>M</math>과 [[단사 함수]] <math>j\colon X\to M</math>가 존재한다.
** 임의의 <math>x,y\in X</math>에 대하여, <math>(x,y)\in R\iff j(x)\in j(y)</math>
** 임의의 <math>x,y\in X</math>에 대하여, <math>(x,y)\in R\iff j(x)\in j(y)</math>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추이적 집합]] <math>M</math>과 [[전단사 함수]] <Math>j\colon X\to M</math>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추이적 집합]] <math>M</math>과 [[전단사 함수]] <Math>j\colon X\to M</math>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2016년 8월 24일 (수) 05:32 판

집합론에서, 정초 관계(整礎關係, 영어: well founded relation)는 (무한히 재귀적이지 않은) 집합의 원소 관계로서 나타낼 수 있는 이항 관계이다. 이 경우 초한 귀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정의

집합 위의 이항 관계 에 대하여 다음 네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이항 관계하향 정초 관계라고 한다.

  • 임의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 이 존재하지 않는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추이적 집합 전단사 함수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마지막 두 조건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의 정칙성 공리를 필요로 한다.

성질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공집합이다.
  • 위에 반사 관계인 정초 관계 가 존재한다.

이는 에 대한 상수열이므로 정초 관계의 정의를 위반하기 때문이다.

집합 위의 정초 관계 부분 집합 에 대하여, 의 제한 역시 위의 정초 관계이다.

초한 귀납법

집합 위의 정초 관계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초한 귀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술어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그렇다면, 가 성립한다.

정초 집합

집합 에서, 원소 관계 위의 정초 관계라면, 정초 집합(整礎集合, 영어: well-founded set)이라고 한다.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정칙성 공리(正則性公理, 영어: axiom of regularity)에 따르면 모든 집합은 정초 집합이다.

정렬 원순서 집합

원순서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16, Remark 5

  • 정렬 원순서 집합이다.
  • 위의 원순서 를 정의하였을 때, 이항 관계 는 정초 관계이다. (여기서 하폐포를 뜻한다.)

참고 문헌

  1. Forster, Thomas (2003). “Better-quasi-orderings and coinductio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영어) 309 (1–3): 111–123. doi:10.1016/S0304-3975(03)00131-2.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