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병기
18번째 줄: 18번째 줄:
{{음소 문자}}
{{음소 문자}}


'''만주 문자'''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다.
'''만주 문자'''({{lang|한자|滿洲文字}}, {{lang|mnc|ᠮᠠᠨᠵᡠ ᡥᡝᡵᡤᡝᠨ}})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다.


==역사==
==역사==

2016년 8월 17일 (수) 22:29 판

만주 문자
유형 [[음소 문자]]
표기 언어 만주어
사용 시기 1599년 ~ 현재
계통 원시 가나안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소그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만주 문자(滿洲文字, ᠮᠠᠨᠵᡠ ᡥᡝᡵᡤᡝᠨ)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다.

역사

만주족은 여진족으로 불리던 시절에는 여진 문자를 쓰기도 했으나 금나라 멸망 이후 곧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후 여진족들은 몽골문자로 만주어를 표기해 자신들의 기록을 남겼는데 청태조 누르하치는 후금건국 뒤 몽골 문자로 만주어를 표기할 것을 지시했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무권점(無圈點) 만주문자이다.

그러나 이것은 몽골 문자를 그대로 빌려 쓴 것이라 몽골 문자 본래의 문제점인 a,e 와 o,u g,k등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1632년 글자 오른쪽에 권점을 찍는 등의 방법으로 기존의 몽골 문자에서 구별이 안 되는 소리들을 구별해 적을 수 있도록 개량하였다.

이것이 유권점(有圈點)만주문자이며 오늘날 쓰이는 만주문자이다.

서체

인쇄체와 일종의 필기체인 소해체가 았다. 소해체는 꼬리 처리 등이 인쇄체와 차이가 난다.

글자

만주어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글자는 "a, e, i, o, u, ū"에 해당하는 모음과 "n, k, g, h, b, p, s, š,​ t, d, l, m, c, j, r, f, ng"에 해당하는 자음들, 그리고 반모음 "w, y"에 해당하는 글자들이다. 그 밖에 중국어 등을 적는 데 쓰이는 확장 글자들이 존재한다.

글자 로마자 유니코드 비고
고립 시작 중간
모음
ᠠ᠊ ᠊ᠠ᠊ ᠊ᠠ a 1820
᠊ᠠ᠋
ᡝ᠊ ᠊ᡝ᠊ ᠊ᡝ e 185D 두 번째 끝 형태 [k] [g] [x] kh gh hh 다음에 사용
()
ᡳ᠊ ᠊ᡳ᠊ ᠊ᡳ i 1873
᠊ᡳ᠌᠊
᠊ᡳ᠍᠊ ᠊ᡳ᠋
᠊ᡳ᠌
ᠣ᠊ ᠊ᠣ᠊ ᠊ᠣ o 1823
᠊ᠣ᠋
ᡠ᠊ ᠊ᡠ᠊ ᠊ᡠ u 1860
??
ᡡ᠊ ᠊ᡡ᠊ ᠊ᡡ ū/uu/v 1861
() ᠊ᡟ᠊ ᠊ᡟ y/y/i' 185F
자음
ᠨ᠊ ᠊ᠨ᠋᠊ ᠊ᠨ ??? n 1828 첫 중간 형태 모음 앞에 사용된다;두 번째것은 자음 앞에 사용
᠊ᠨ᠊
᠊ᠩ᠊ ᠊ᠩ ng 1829 첮 중간 형태는 i o u ū 앞에 사용; 두 번째 것의 e i 앞에 사용
ᡴ᠊ ᠊ᡴ᠊ ᠊ᡴ k [q] 1874 첫 중간 형태 a o ū 앞에 사용; 두 번째것은 자음앞에 사용
᠊ᡴ᠋᠊
() ᠊ᡴ᠌᠊ ᠊ᡴ᠋ k [k] 1874
ᡤ᠊ ᠊ᡤ᠊ g [ɢ] 1864
g [g] 1864
ᡥ᠊ ᠊ᡥ᠊ h [χ] 1865
h [x] 1865
ᠪ᠊ ᠊ᠪ᠊ ᠊ᠪ b 182A
ᡦ᠊ ᠊ᡦ᠊ p 1866
ᠰ᠊ ᠊ᠰ᠊ ᠊ᠰ s 1867
ᡧ᠊ ᠊ᡧ᠊ ᠊ᡧ š 1867
ᡨ᠋᠊ ᠊ᡨ᠋᠊ t 1868 첫 시작 / 중간 형태는 a o i 앞에 사용;

두 번째 시작 / 중간 형태 e u ū 앞에 사용;
세 번째 중간 형태 자음 앞에 사용

᠊ᡨ
ᡨ᠊ ᠊ᡨ᠊
ᡩ᠊ ᠊ᡩ᠊ d 1869 첫 시작/ 중간 형태 a o i 앞에 사용;

두 번째 시작 / 중간 형태 e u ū 앞에 사용

ᡩ᠋᠊ ᠊ᡩ᠋᠊
ᠯ᠊ ᠊ᠯ᠊ ᠊ᠯ l 182F
ᠮ᠊ ᠊ᠮ᠊ ᠊ᠮ m 182E
ᠴ᠊ ᠊ᠴ᠊ c/ch/c 1834
ᠵ᠊ ᠊ᠵ᠊ j/zh/j 1835
ᠶ᠊ ᠊ᠶ᠊ y 1836
ᡵ᠊ ᠊ᡵ᠊ ᠊ᡵ r 1875
ᡶ᠊ ᠊ᡶ᠊ f 1876 첫 시작/ 중간 형태 a e 앞에 사용;

두 번째 시작/중간 형태 i o u ū 앞에 사용

ᡶ‍᠋ ᠊‍ᡶ‍
ᠸ᠊ ᠊ᠸ᠊ v (w) 1838
ᠺ᠊ ᠊ᠺ᠊ k'/kk/k῾/k’ 183A
ᡬ᠊ ᠊ᡬ᠊ g'/gg/ǵ/g’ 186C
ᡭ᠊ ᠊ᡭ᠊ h'/hh/h́/h’ 186D
ᡮ᠊ ᠊ᡮ᠊ ts'/c/ts῾/c 186E
ᡯ᠊ ᠊ᡯ᠊ dz/z/dz/z 186F
ᡰ᠊ ᠊ᡰ᠊ ž/rr/ž/r’ 1870
ᡱ᠊ ᠊ᡱ᠊ c'/ch/c῾/c’ 1871
ᡷ᠊ ᠊ᡷ᠊ j/zh/j̊/j’ 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