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49번째 줄: 49번째 줄:
| lang="zh-tw"| 廣 || lang="zh-hk"| 廣 || lang="zh-cn"| 廣 || lang="zh-cn"| 广 || lang="ko"| 廣 || 廣 || 広
| lang="zh-tw"| 廣 || lang="zh-hk"| 廣 || lang="zh-cn"| 廣 || lang="zh-cn"| 广 || lang="ko"| 廣 || 廣 || 広
|-
|-
| lang="zh-tw"| 強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強 || lang="zh-cn"| 强 || lang="zh-cn"| 强 || lang="ko"| || 强 || 強
| lang="zh-tw"| 強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強 || lang="zh-cn"| 强 || lang="zh-cn"| 强 || lang="ko"| || 强 || 強
|-
|-
| lang="zh-tw"| 從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從 || lang="zh-cn"| 從 || lang="zh-cn"| 从 || lang="ko"| 從 || 從 || 従
| lang="zh-tw"| 從 || style="background-color:#ddf;" lang="zh-hk"| 從 || lang="zh-cn"| 從 || lang="zh-cn"| 从 || lang="ko"| 從 || 從 || 従

2016년 7월 25일 (월) 22:52 판


한자
발달과정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서체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글꼴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분류법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한자의 표준화
표준
상용한자 강희자전
문자 개혁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나라별 사용
중국 대륙·타이완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파생문자1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파생문자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v  d  e  h

정체자(正體字,중국어 정체자: 正體字, 병음: jhèngtǐdzìh, 주음 부호: ㄓㄥˋㄊㄧˇㄗˋ) 또는 번체자(繁體字,중국어 간체자: 繁体字, 정체자: 繁體字, 병음: fántǐzì), 구자체(舊字体,틀:Ja-y)는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부르는 말이다(일본에서는 구자체, 중화민국에서는 정체자,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번체자라고 칭함). 전통 한자(傳統漢字)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및 해외의 화교들은 간체자 대신 전통적인 한자인 정체자를 고수한다.

명칭 논쟁

한자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통 한자(傳統漢字)를 여러 가지로 지칭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正統性)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 대륙 지역은 전통 한자가 너무 복잡하며, 이제는 간략 한자로 모두 대체되었다는 의미에서 ‘번체자’(繁體字)로 지칭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전후에 새로 제정된 '신자체(新字體)'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舊字體)'라고 부른다.

지역별 한자비교

표의 파란색부분은 홍콩의 표준자체가 중화민국의 표준자체와 상이점이 기본적으로 없음을 나타낸다.

중화민국 홍콩 신자형(新字形) 간체자 한국 일본당용한자 일본신자체
广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