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의 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ikier (토론 | 기여)
잔글 동음이의: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영가의 난'''(永嘉之)은 중국 [[서진]]말기에 이민족에 의해 일어난 반란을 가리키는 말이다. [[회제]](懐帝)의 연호였던 영가(永嘉 [[307년]]~[[312년]])때 일어났기에 그렇게 부르고 있다.
'''영가의 난'''(永嘉之)은 중국 [[서진]]말기에 이민족에 의해 일어난 반란을 가리키는 말이다. [[회제]](懐帝)의 연호였던 영가(永嘉 [[307년]]~[[312년]])때 일어났기에 그렇게 부르고 있다.


[[혜제]](恵帝)의 치세때 일어난 [[팔왕의 난]]([[300년]])이후 고대부터 [중원](中原)이라 불리우던 화북(華北)지역은 혼란상태에 빠져 다수의 [유민](流氓)이라 불리는 피난민이 각지을 유랑하고 있었고, 예전 [[한나라]]시대 이후 중원에 침입하여 한민족과 함께 살고 있었던 새외민족도 활약의 기회을 엳보고 있었다.
[[서진 혜제|혜제]](恵帝)의 치세때 일어난 [[팔왕의 난]]([[300년]])이후 고대부터 [중원](中原)이라 불리우던 화북(華北)지역은 혼란상태에 빠져 다수의 [유민](流氓)이라 불리는 피난민이 각지을 유랑하고 있었고, 예전 [[한나라]]시대 이후 중원에 침입하여 한민족과 함께 살고 있었던 새외민족도 활약의 기회을 엳보고 있었다.


[[산서성]]을 중심으로 이주했던 흉노의 족장 [[유연]]은 팔왕의 난 때 성도왕 [[사마영]]의 휘하에 있었으나 [[304년]] 진왕조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좌국성(左城;현재 산서성 이석현(山西省離石)을 본거지로 삼고, 대선우(大于)의 지위에 앉았다. 또한 한나라때 내려진 유씨성에 의거해 한왕(漢王)을 칭했다.(이 나라는 후에 [[전조 (십육국)|전조]](前趙)로 이름을 바꾼다) 그후 산서성 남부로 세력을 확장해 갈족의 [[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을 휘하에 흡수해 [[하북성]]과 [[산동성]]도 지배하에 두게 되었다.
[[산서성]]을 중심으로 이주했던 흉노의 족장 [[유연]]은 팔왕의 난 때 성도왕 [[사마영]]의 휘하에 있었으나 [[304년]] 서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좌국성(左城;현재 산서성 이석현(山西省 離石)을 본거지로 삼고, 대선우(大于)의 지위에 앉았다. 또한 한나라때 내려진 유씨성에 의거해 한왕(漢王)을 칭했다.(이 나라는 후에 [[전조 (십육국)|전조]](前趙)로 이름을 바꾼다) 그후 산서성 남부로 세력을 확장해 갈족의 [[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을 휘하에 흡수해 [[하북성]]과 [[산동성]]도 지배하에 두게 되었다.


팔왕의 난 후, 진왕조는 동해왕 [[사마월]]에 의해 간신히 정권을 유지하는 상황에 있었기에 회제와의 관계에 잡음이 와 동해왕이 분사(憤死)하자 일거에 구심력을 잃어버렸다. [[311년]] 석륵군에 의해 진나라군이 대패하여 장병 10여만이 학살당하거나 포로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유연의 아들이자 후계자였던 [[유총]]은 [[낙양]]에 대군을 보내 함락시키고, 회제을 한나라의 수도 [[평양]](平陽;현재 산서성 임분현山西省臨汾)으로 연행했다.
팔왕의 난 후, 진왕조는 동해왕 [[사마월]]에 의해 간신히 정권을 유지하는 상황에 있었기에 회제와의 관계에 잡음이 와 동해왕이 분사(憤死)하자 일거에 구심력을 잃어버렸다. [[311년]] 석륵군에 의해 진나라군이 대패하여 장병 10여만이 학살당하거나 포로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유연의 아들이자 후계자였던 [[유총]]은 [[낙양]]에 대군을 보내 함락시키고, 회제을 한나라의 수도 [[평양]](平陽;현재 산서성 임분현 山西省 臨汾)으로 연행했다.


회제의 사후 [[장안]]에서 [[민제]]가 옹립되었으나 이미 실질적인 서진왕조는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민제도 한나라의 포로가 되었고 얼마안가 살해되었다. 화북은 이후 본격적인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획기적인 사건이 바로 영가의 난이었다.
회제의 사후 [[장안]]에서 [[민제]]가 옹립되었으나 이미 실질적인 서진왕조는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민제도 한나라의 포로가 되었고 얼마안가 살해되었다. 화북은 이후 본격적인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획기적인 사건이 바로 영가의 난이었다.

2008년 3월 20일 (목) 13:00 판

영가의 난(永嘉之亂)은 중국 서진말기에 이민족에 의해 일어난 반란을 가리키는 말이다. 회제(懐帝)의 연호였던 영가(永嘉 307년~312년)때 일어났기에 그렇게 부르고 있다.

혜제(恵帝)의 치세때 일어난 팔왕의 난(300년)이후 고대부터 [중원](中原)이라 불리우던 화북(華北)지역은 혼란상태에 빠져 다수의 [유민](流氓)이라 불리는 피난민이 각지을 유랑하고 있었고, 예전 한나라시대 이후 중원에 침입하여 한민족과 함께 살고 있었던 새외민족도 활약의 기회을 엳보고 있었다.

산서성을 중심으로 이주했던 흉노의 족장 유연은 팔왕의 난 때 성도왕 사마영의 휘하에 있었으나 304년 서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좌국성(左國城;현재 산서성 이석현(山西省 離石縣)을 본거지로 삼고, 대선우(大單于)의 지위에 앉았다. 또한 한나라때 내려진 유씨성에 의거해 한왕(漢王)을 칭했다.(이 나라는 후에 전조(前趙)로 이름을 바꾼다) 그후 산서성 남부로 세력을 확장해 갈족의 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을 휘하에 흡수해 하북성산동성도 지배하에 두게 되었다.

팔왕의 난 후, 진왕조는 동해왕 사마월에 의해 간신히 정권을 유지하는 상황에 있었기에 회제와의 관계에 잡음이 와 동해왕이 분사(憤死)하자 일거에 구심력을 잃어버렸다. 311년 석륵군에 의해 진나라군이 대패하여 장병 10여만이 학살당하거나 포로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유연의 아들이자 후계자였던 유총낙양에 대군을 보내 함락시키고, 회제을 한나라의 수도 평양(平陽;현재 산서성 임분현 山西省 臨汾縣)으로 연행했다.

회제의 사후 장안에서 민제가 옹립되었으나 이미 실질적인 서진왕조는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민제도 한나라의 포로가 되었고 얼마안가 살해되었다. 화북은 이후 본격적인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획기적인 사건이 바로 영가의 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