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물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53번째 줄: 53번째 줄:


위의 식 ⓑ를 풀어
위의 식 ⓑ를 풀어
:<math> y = \frac{1}{4p}x^2 - \frac{1}{2}mx + \frac{1}{4p}m^2 + k</math>
:<math> y = \frac{1}{4p}x^2 - \frac{1}{2p}mx + \frac{1}{4p}m^2 + k</math>
의 꼴로 나타낼 때, <math> \frac{1}{4p} = a, - \frac{1}{2p}m = b, \frac{1}{4p}m^2 + k = c </math>라고 하면, 포물선의 방정식은
의 꼴로 나타낼 때, <math> \frac{1}{4p} = a, - \frac{1}{2p}m = b, \frac{1}{4p}m^2 + k = c </math>라고 하면, 포물선의 방정식은
:<math> y = ax^2 + bx +c </math> --- ⓒ
:<math> y = ax^2 + bx +c </math> --- ⓒ
로 나타낼 수 있다.
로 나타낼 수 있다.


준선이 y축에 평행하다면 식 ⓑ는 x와 y가 뒤바뀌어 <math> x - k = \frac{(y - h)^2}{4p} </math> 꼴이 될 것이다.<ref name="스티브69" />
준선이 y축에 평행하다면 식 ⓑ는 x와 y가 뒤바뀌어 <math> x - k = \frac{(y - h)^2}{4p} </math> 꼴이 될 것이다.<ref name="스티브69" />


== 접선의 방정식 ==
== 접선의 방정식 ==

2016년 4월 24일 (일) 09:04 판

포물선 위의 점은 초점 F준선 L에 이르는 거리가 같다, 즉 PiF = PiQi (i = 1, 2, 3)

포물선(抛物線, 문화어: 팔매선, 영어: parabola)은 평면에서 어떤 를 지나지 않는 직선 이 주어졌을 때, 에 이르는 거리와 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들의 자취이다. 이때 초점, 준선(準線, directrix)이라고 한다. 포물선은 준선에 수직이고 초점을 지나는 직선에 대해 대칭인데 이 직선을 포물선의 축이라고 하고, 축과 포물선의 교점을 포물선의 꼭짓점이라고 한다.[1]

포물선은 , 타원, 쌍곡선과 함께 원뿔 곡선으로 불린다. 이들은 모두 원뿔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자취이기 때문이다.[2]

개요

포물선 위의 한 점에서 초점 또는 준선과의 거리

포물선은 유클리드 평면에서 초점과 준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들의 자취이다. 직교좌표계에서 준선이 x축에 평행하고 원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포물선을 생각할 때, 초점은 y축 위의 한 점이 된다. 그림과 같이 초점 와 준선 가 있다고 할 때 포물선 위의 한 점 에서 초점 또는 준선까지의 거리는 아래와 같다.[3]

와 초점 의 거리: [주해 1]
와 춘선 의 거리:

포물선의 정의에 의해 위 두 거리가 같으므로;

따라서 준선이 x축에 평행하고 꼭지점이 원점인 포물선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 경우 초점은 , 준선은 이 된다. 한편, 준선이 y축에 평행하고 꼭지점이 원점에 놓이는 포물선은 으로 나타낼 수 있다.[3]

준선이 x축에 평행하고 꼭지점이 원점에 놓이는 포물선의 경우, 준선과 y축의 교점이 음수이면 포물선은 그림과 같이 아래로 볼록하게 되고, 준선이 y축의 교점이 양수이면 포물선은 반대로 위로 볼록한 모양이 된다.[3]

직교좌표계에서 일반적인 이차방정식을 관계식으로 갖는 함수 그래프는 포물선을 그린다.[4]

포물선은 원뿔곡선의 하나이다. 원뿔곡선의 일반적인 방정식은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위 식에서 의 관계가 성립할 때 포물선이 된다.[5]

역사

마주 보는 두 원뿔을 하나의 평면으로 자를 때 나타나는 자취가 원뿔 곡선이다. 제일 왼쪽의 A가 포물선이다.

원뿔 곡선의 엄밀한 정의는 메나이크모스에 의해 정립되었다. 메나이크모스는 정육면체부피를 두배로 늘리는 문제[주해 2], 즉 의 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원뿔 곡선을 그림과 같이 마주보는 두 개의 원뿔을 하나의 평면으로 자를 때 나타나는 자취로 파악하였다.[6][주해 3]

원뿔 곡선의 수학적 특성을 집대성한 것은 페르게의 아폴로니오스로 그는 모두 8권의 《원뿔 곡선론》을 저술하였다. 이 가운데 일곱권이 오늘날까지 전해지는데 네 권은 그리스어로 세 권은 아랍어로 된 판본이 남아있다.[2]

17세기 이후 포물선은 다시 활발하게 응용되기 시작했는데, 고전역학등가속도운동의 계산[7]이나 반사망원경과 같은 광학 도구의 제작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포물선의 방정식

준선이 x축에 평행하고 아래로 볼록한 일반적인 포물선

개요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준선이 x축에 평행하고 꼭지점이 원점에 놓인 포물선의 초점을 F(0,p)라고 하면, 이 포물선의 방정식은

--- ⓐ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x축으로 h만큼, y축으로 k만큼 평행 이동하면

--- ⓑ

이 된다.[8]

이때 초점과 준선 역시 평행이동 되므로 초점은 , 준선은 가 된다.

위의 식 ⓑ를 풀어

의 꼴로 나타낼 때, 라고 하면, 포물선의 방정식은

--- ⓒ

로 나타낼 수 있다.

준선이 y축에 평행하다면 식 ⓑ는 x와 y가 뒤바뀌어 꼴이 될 것이다.[8]

접선의 방정식

기울기가 주어졌을 경우

기울기가 로 주어졌을 경우,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일 때

  • 일 때

접점이 주어졌을 경우

포물선 위의 점 에서 접선을 그었을 경우,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일 때

  • 일 때

포물선의 극방정식

극좌표계에서 포물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성질

  • 원뿔 곡선이다.
  • 준선이 좌표축과 평행한 포물선은 이차곡선이다.
  • 의 포물선의 꼭짓점의 곡률이고 곡률 반지름은 이다.
  • 준선위의 한 점에서 포물선에 그은 두 접선은 서로 수직이다.
  • 축과 평행한 빛이 포물선에 반사되면 초점을 향한다. 마찬가지로 초점에서 나온 빛이 포물선에 반사되면 광축과 평행하게 나아간다.
  • 초점을 지나고 준선에 평행한 직선이 포물선에 의해 잘리는 선분의 길이는 꼭짓점과 초점을 잇는 선분의 길이의 4배이다.

응용

뉴턴 역학에서, 포물선은 균등한 중력장 속에서 물체를 던졌을 때, 공기 저항을 무시했을 때 물체가 그리는 궤적이다.

주해

  1.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2. 정육면체의 부피 문제는 고대 그리시 시대 기하학의 난제 가운데 하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미노스의 묘비에 얽힌 전설, 아폴로의 제단에 얽힌 전설 등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 Howard Eve, 이우영 신향균 역, 《수학사》, 경문사, ISBN 89-7282-298-1, 95-96쪽
  3. 메나이크모스의 해는 전하지 않는다. 11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오마르 하이얌이 포물선과 원을 이용하여 꼴의 삼차방정식에 대한 양의 실수근을 작도하였다. - 스티븐 크란츠, 남호영 장영호 역, 《문제해결로 살펴본 수학사》, 경문사, ISBN 978-89-6105-603-8, 88-89쪽

각주

  1. 정달영 외, 《쉬운 미분적분학》, 숭실대학교출판부, 2009년, ISBN 978-89-7450-235-5, 82쪽
  2. Howard Eve, 이우영 신향균 역, 《수학사》, 경문사, ISBN 89-7282-298-1, 156-157 쪽
  3. Geoge F. Simmons, 고석구 외 역, 《미적분학과 해석기하》, 경문사, ISBN 89-7282-435-6, 21-22쪽
  4. Geoge F. Simmons, 고석구 외 역, 《미적분학과 해석기하》, 경문사, ISBN 89-7282-435-6, 24쪽
  5. Methods to solve Ax^2 + Bxy + Cy^2 + Dx + Ey + F = 0
  6. 토비아스 단치히, 심재관 역, 《과학의 언어 수》, 지식의숲, 2007년, ISBN 978-89-9176-244-2, 366쪽
  7. 오가미 마사시, 임정 역, 《수학으로 풀어보는 물리의 법칙》, 이지북, 2005년, ISBN 978-89-5624-190-6, 137-138쪽
  8. 스티브 크란츠, 남호영 장영호 역, 《문제해결로 살펴본 수학사》, 경문사, ISBN 978-89-6105-603-8, 69쪽 - 이 책에서는 초점을 원점에 놓은 포물선을 평행이동 시켜 일반적인 관계식을 구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본질적으로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