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Inggunghwa12(토론)의 16080945판 편집을 되돌림
355번째 줄: 355번째 줄:
|-
|-
|'''31194 편성'''||운행중||
|'''31194 편성'''||운행중||
|-
|}

=== 4세대 ===
{| class="wikitable sortable" width="960"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
|'''31195 편성'''||rowspan="2"|[[2016년]]||시운전 중||rowspan="2"|싱글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
|'''31195 편성'''||rowspan="2"|[[2016년]]||시운전 중||rowspan="2"|싱글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

2016년 3월 27일 (일) 08:42 판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3세대 31184편성
3세대 31184편성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통근형 전동차 (광역 철도 구간 입선용)
제작사

현대로템

제작 연도 1996년 ~ 1999년, 2002년 ~ 2006년, 2010년[1], 2012년 ~ 2014년, 2016년
생산량 95개 편성 950
제원
양 수 10량
차량 중량 369.1 t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제어 방식
기어비 14:99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110 km/h
설계 최고 속도 110 km/h
감속도 상용 최대 3.5 km/h/s
비상 4.5 km/h/s
전동기 출력 200[2] kW
편성 출력 4,000(5800마력)[3] kW
구동 장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5M 5T
보안 장치 ATS [수동운전]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경인선 2복선화에 따른 수요 증가 및 기존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체를 목적으로 도입한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전동차이다. 2011년 3월까지 5000호대 차호를 사용하였으나, 같은 해 4월부터 10월까지 차호를 311000호대로 개번하였다. 현재 총 10량 94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기술적 사양

제어기기

31101~31112, 31114, 31115, 31117~31134, 31136~31147, 31149~31159편성은 기존에 도입되었던 도시바VVVF-GTO[4]를, 31113, 31116, 31135, 31148, 31160~31195편성은 도시바VVVF-IGBT를 채용하였다. 1개의 제어장치가 4개의 모터를 제어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 1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출력을 높여 전력차의 비율을 줄였으며, 동시에 회생제동을 채용하여 에너지 절약 및 검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면허 생산한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1세대 차량은 강제 냉각 방식의 MCK01C형 주제어장치를 채용하였고, 1세대 이후의 차량은 히트파이프에 의한 자연 냉각 방식의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채용하였다. 단 1세대 차량들은 IGBT 개조 이후에도 MCK01C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차체 및 대차

대차의 모습

차체에는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 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해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이루었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

실내 설비

도입 초기에는 아이보리 색 계통의 색상 구성과 전형적인 모켓 롱 시트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후 불연 내장재 개조가 시행되며 파란색과 흰색 등을 사용하여 보다 차가운 계열의 색상 구성을 사용하게 되었고, 시트는 유리 섬유(그라스울) 시트를 사용하였다. 객실 천장에는 31182편성 이전 차량에는 LED 전광판이, 31183편성 이후 차량에는 LCD TV를 사용하는 승객 안내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방은 기존의 1000호대 전동차보다 냉방출력을 강화한 준집중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1998년 2차 도입분인 31128~31141편성(변경 전 29~42편성)은 1호차, 10호차에 휠체어ㅡ 공간이 설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31127편성(변경 전 28편성) 이전 차량은 1,10호차에 3인석 노약좌석을 제거하여 휠체어 공간을 마련하였다.

운전 설비

기존 341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나 ATC 관련 장비는 빠져 있으며, 정차역을 오인,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차역 자동 통보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최초 도입부터 TGIS 모니터를 컬러 모니터로 갖추었으며, 2004년 불연 내장재 개조 이후부터는 서비스 기기 조작을 TGIS와 연계, 자동화하였다. 운전기기는 투핸들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5] 운전 경계 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절연 구간을 통과할 때 지상 장비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수신하도록 되어있으며, 2006년부터는 전 차량의 차장용 출입문 조작장치를 기존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교체하고 있다.

편성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110XX(5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11XX(52XX) M(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12XX(53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13XX(58XX) T(무동력객차)
3114XX(55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15XX(54XX)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16XX(59XX) T(무동력객차)
3117XX(56XX) M(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18XX(57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3119XX(51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소속

구로차량사업소 · 이문차량사업소 · 병점차량사업소에 각각 소속되어 있으며, 중정비는 시흥차량사업소이문차량사업소,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실시하고 있다.

구분

최초 도입분은 341000호대 전동차를 기초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설비를 변경하여 총 12차례에 걸쳐 도입되었다. 전두부 디자인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1세대

1세대 31126편성

31101~31141(변경 전 01~42편성)편성이 이에 해당되며, 1996년 말에서 1999년 초까지 현대정공 창원공장[9]대우중공업 의왕공장[10]에서 제작, 도입되었다. 초기 반입된 6개 편성은, 오랜 기간 시운전을 거쳐 1997년 5월에서야 정식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31101~31106편성은 출입문과 인통문 문양이 이전 차량들은 부식무늬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사양이 비슷하며 출입문 경고음이 없다. 이후 도입된 차량은 역삼각 무늬로 변경되었으며 출입문 경고음이 있다. 반입 당시 도색은 청록색과 노란색 조합(철도청 색상)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2004년 불연화 개조가 이루어지며, 현재의 빨간색, 군청색 조합 도색으로 재도색 되었다. 31128~31141편성은 1973년부터 1974년까지 도입되었던 1000호대 전동차의 폐차를 위하여 도입된 차량으로 1호차와 10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추가되었고, 객실 안내기의 수를 2개로 늘렸다.[11]

19편성은(변경 후 말소) 2007년 5월에 일어난 영등포역 추돌 사고로 2량 폐차 후 31906편성과 319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25, 26편성(변경 후 24, 25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차량 번호가 중복되는 관계로 55, 56편성으로 도입된 후 해당 기관차의 폐차로 인한 차적 삭제로 정상적인 편성 번호로 변경되었으며[12] 31113, 31116, 31135편성의 주 제어 장치가 MCK01C형에서 COVO52-A0형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31137편성(변경 전 38편성)에는 시범적으로 코모넷사의 차내방송 시스템을 내장하였다가 현재는 철거되었다. 31139~31141편성(변경 전 40~42편성)에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2세대형 부수 객차를 개조하여 311000호대에 편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2세대

2세대 31145편성(변경 전 46편성)

수원 ~ 병점 ~ 천안 구간 연장 개통과 1세대형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잔존차량의 폐차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04년까지에 걸쳐서 도입하였다. 31142~31165편성 (변경 전 43~66 편성)이 이에 해당되며 1999년에 도입된 4호선 341000호대 전동차 중 전두부 교체형을 바탕으로 하여 FRP 소재의 선두부와 UV 코팅이 적용된 객실 측면의 통유리창, 전체적으로 백색이 강조된 실내 설비 등을 추가하였다. 그 외의 설비는 기존 도입분과 대체적으로 비슷하다. 31153편성(변경 전 54편성)부터는 반입 당시부터 현재의 도색으로 도입되었고, 55, 56편성(변경 후 31154, 31155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의 차호 중복을 막고자 1세대형 전동차를 해당 차호로 도입하였던 점이 특징이다.[13] 31148, 31160~31163편성은 주 제어 장치가 MCK01C형에서 COVO52-A0형으로 변경되었고[14], 2레벨 방식과 자연 냉각형 냉각 장치를 채용하였다. 그러나 31163편성(변경 전 64편성)의 일부 동력객차는 한동안 MCK01C형과 COVO52-A0형을 혼용해 사용해왔으나, 현재는 모든 동력객차가 COVO52-A0형으로 교체되었다.[15] 31164~31165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IGBT 소자로 반입되었으며, 내장재가 불연화되어 있었고, 선두부의 열차 번호 표시 장치가 LED로 변경되었다. 31142~31163편성은 도입 당시 원래 도시바 GTO 소자로 반입되었다.

3세대

전기형

3세대 전기형 31177편성(변경 전 78편성)

31166~31182편성(변경 전 67~85편성)의 도입분이다. 2005년 중앙본선의 복선 전철화와, 2006년 경원본선 복선 전철화로 인한 전동차 투입 및 경인선 복복선화, 기존 1000호대 전동차 차량의 대체를 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의왕공장의 폐쇄로 인해서 모든 차량들은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하였다. 전두부의 형태가 변화하였으며, 현대로템의 표준형 전동차 설계 기준을 따르고 있다. 실내 설비의 경우 시트 밑에 있던 히터가 경량 프리 히터로, 객실의 출입문 구동 방식이 기존 공기 압축식에서 스크류 모터 구동식으로, 객실 간의 통로에 있던 턱이 낮아지는 등 몇 가지 설계 변경이 있었으며 31178편성[16]부터는 객실 환기용 팬과 1인 승무 기능이 추가되었다.

86~92편성은(변경 후 말소) 8량화를 거쳐 321000호대로 개번, 이들 편성에서 빠진 2량씩의 차량들과 79, 80편성(변경 후 말소)을 활용하여 321000호대 2차분 차량과 319000호대 전동차로 개조되었다. 한 때 경북관광홍보열차로 운행했던 83편성(변경 후 31180편성)은 2007년에 311880호(구 5783호)에 한해 현대로템VVVF-IGBT 2레벨(IPM 모듈화)을 적용하여 시범 운행을 한 적이 있었고[17], 2010년에는 311580호를 개조하여 경기도 민원전철 365라는 이름으로 2010년 11월 29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운행하였다.

후기형

3세대 후기형 31184편성

31183~31194편성이 이에 해당한다. 2012년부터 도입되고 있으며, 경인선으로의 신규 투입[18]1000호대 중기편성의 폐차[19]로 인해 도입되었다. 분당선수인선의 운행용으로 도입된 351000호대 전동차경의선의 운행용으로 도입된 331000호대 전동차에 기초하였으나 10량 혼용 전동차로 반입되었으며, 이 차량부터 천장에 LCD 안내기를 사용하는 승객 안내 장치를 설비하였다.

31183~31187편성은 10량 중 M, T 각 2량씩을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의 6량화 과정에서 남는 잉여차량을 부수차로 전환하여 반입되었으나 코레일2014년까지 수도권 전철 중앙선 잉여차량들을 원위치 시켜 전 차량을 8량으로 재환원 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여 2014년 4량의 신조객차를 편입해서 10량으로 환원되어 운행중이다.

31188편성은 2014년 8월 28일에, 31189편성은 2014년 9월 20일에 신조 부수객차를 추가하여 각각 반입되었다.

31192~31194편성은 전조등이 기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고 선두차 측면 코레일 로고 및 출입문 주의, 약냉방차 안내 스티커가 변경되는 등 작은 변화가 있었다.[20]

31195 편성부터는 집전 장치가 종전과는 달리 고속 주행에 적합한 싱글암으로 적용되었다. 외부는 종전의 차량과 흡사하나 371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설계를 적용해 야간 주행시의 시야 확보가 유리하도록 열차번호 안내기와 행선지 안내기 가운데에 LED 전조등을 새롭게 추가했다. 객실에는 범죄예방을 위한 CCTV가 설치 되었으며 노약자석의 창문은 방풍에 유리한 통유리가 적용되었다.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31190편성과 31191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14편성과 15편성을 10량화 증결 및 혼용으로 개조하기 위해 휴차되었다가 31190편성과 31191편성이 2량 신조되어 반입되었다.[21] 신조된 2량은 31183~31189편성, 31192~31194편성과 같으며, 나머지 8량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에서 1호선 내장재를 적용하였다. 311090호, 311990호, 311091호, 311991호에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도입당시부터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설치되어서 반입이 되었다.[22]

개조

불연화 개조가 이루어진 1세대 차량의 내부 (5109호, 현 311909호)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에 맞추어, 31164편성(변경 전 65편성)부터는 불연재 내장을 갖추어 도입되었다. 또한, 2004년부터 31142편성(변경 전 43편성)을 시작으로 여러 편성들이 불연재 기준에 맞추어 개조되었으며 이후 2005년까지 전 차량이 이에 맞추어 개조가 되었다. 실내 시트의 경우 유리 섬유를 사용한 시트로 교체하였고, 그외 재질도 난연화 처리를 하였으며, 손잡이도 기존의 흰색[23]에서 레드와인색으로 바뀌었다. 이와 동시에 전·측면 행선 표시 장치를 롤지 회전 스크린식에서 LED 표출식으로 교체하였다.

도색의 경우, 도입 초기에는 철도청의 CI에 맞춘 청록색과 노란색을 사용한 도색이 사용되었으나, 31153편성(변경 전 54편성)부터는 한국철도공사의 CI에 맞추어 군청색과 빨간색을 사용한 도색으로 도입되었다. 이전에 도입된 분도 불연화 개조 등에 맞추어 도색을 변경하였다.

2003년부터 31160~31163편성을 시작으로 일부 1세대형과 2세대형 차량의 주변환장치가 기존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1113, 31116, 31135, 31148, 31160~31163편성 등 모두 8개 편성이다.[24]

2008년 8월부터 2013년 말까지 차량간 통로문을 기존의 수동, 스테인레스제 통로문에서 투명유리 자동문으로 교체되었다.[25]

2011년 4월부터의 311000번대 개번 과정에서, 2007년 사고로 인해 사라진 19편성의 결번을 메우기 위하여 20편성부터 78편성까지는 편성 번호를 -1씩, 2008년 개조로 인해 사라진 79, 80편성의 결번을 메우기 위해 81편성부터 85편성까지는 편성 번호를 -3씩 앞당겨 번호를 부여받았다.

2011년, 31124편성에 대해 차내 방송 스피커를 교체하였다.[26]

2012년 10월부터 2세대형 일부 차량의 출입문 제어방식이 기존의 공기 압축식에서 스크류 모터 구동식으로(31147, 31151~31160편성), 3세대형 차량의 전조등이 기존 백열등에서 LED로(311975호) 각각 교체되었다.(311075호는 전조등이 백열등으로 그대로 있다.)

2014년 말부터 일부 전동차에 한하여 방송장치 및 스피커 교체가 이루어졌다. 교체된 방송장치는 31183~31194편성과 같은 사양이며, 차내 스피커도 3세대 후기형과 같은 스피커로 교체되었다. 현재 31125~31157편성까지 모두 교체가 완료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모든 1세대, 2세대 및 3세대 전기형으로까지 신형 방송장치로의 개량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방송장치 교체와 함께 31125~31141편성은 '출입문 닫겠습니다' 등의 음원이 기관사 수동 취급에 의해 송출되는 기능도 추가되었으며, 31128~31141편성은 출입문 개방시 발차경고음이 울리던 문제도 해결되었다.

2015년 7월, 31139~31141편성에 있는 중저항 부수객차 T칸[27]에 대해 노후된 슈트락을 교체하였다. 교체된 슈트락의 사양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에서 T칸에 교체된 슈트락 사양과 같다.

2016년 2월, 311961호 전면부 조명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또한 3세대형 31166, 31168, 31174, 31177, 31181편성의 전조등도 LED로 교체되었다.

현황

현재 운행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1101 편성 1996년 운행중
31102 편성 운행중
31103 편성 운행중
31104 편성 운행중
31105 편성 운행중
31106 편성 운행중
31107 편성 1997년 운행중
31108 편성 운행중
31109 편성 운행중
31110 편성 운행중
31111 편성 운행중
31112 편성 운행중
31113 편성 운행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1114 편성 운행중
31115 편성 운행중
31116 편성 운행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1117 편성 운행중
31118 편성 운행중
31119 편성 운행중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31120 편성 운행중
31121 편성 운행중
31122 편성 운행중
31123 편성 운행중
31124 편성 운행중
31125 편성 운행중
31126 편성 운행중
31127 편성 운행중
31128 편성 1998년 운행중
31129 편성 운행중
31130 편성 운행중
31131 편성 운행중
31132 편성 운행중
31133 편성 운행중
31134 편성 운행중
31135 편성 운행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1136 편성 운행중
31137 편성 운행중 311237호 추진제어장치가 COVO52-A0형으로 교체되었다.
31138 편성 운행중
31139 편성 운행중 중기저항 T 차량 1량을 개조해 투입하였다. 또한 311939호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28]
31140 편성 1999년 운행중 중기저항 T 차량 2량을 개조해 투입하였다.
31141 편성 운행중

2세대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1142 편성 2002년 운행중 311942호 출입문 한개가 4호선 2세대의 것으로 교체되었다.
31143 편성 운행중
31144 편성 운행중
31145 편성 운행중
31146 편성 운행중
31147 편성 운행중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다. 2015년 10월 9일부터 경기도축제열차로 운행 하고 원래 도색으로 돌아왔다.
31148 편성 운행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14]
31149 편성 운행중
31150 편성 운행중
31151 편성 운행중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다.
31152 편성 운행중
31153 편성 2003년 운행중
31154 편성 운행중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되었으며 병점기지에서 하부기기가 침수되어 수리 후 운행 재개하였다.
31155 편성 운행중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다.
31156 편성 운행중
31157 편성 운행중
31158 편성 운행중
31159 편성 운행중
31160 편성 운행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으며,[14]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다.
31161 편성 운행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으며,[14] 311961호 전면부 조명이 LED로 바뀌었다.
31162 편성 운행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1163 편성 운행중
31164 편성 2004년 운행중 코레일 차량 중 최초로 도입 당시부터 도시바 IGBT 소자로 반입되었고, 불연 내장재가 적용되었으며, 열번 표시기가 비발광 세그먼트 형식에서 LED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31165 편성 운행중

3세대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1166 편성 2005년 운행중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31167 편성 운행중
31168 편성 운행중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31169 편성 운행중
31170 편성 운행중
31171 편성 운행중
31172 편성 2006년 운행중
31173 편성 운행중
31174 편성 운행중 2010년 구로차량사업소에서 1058편성과 충돌하여 전두부가 파손되어 수리 후 복귀 하였다.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31175 편성 운행중 311975호 전등이 기존 백열등에서 LED등으로 교체되었다.
31176 편성 운행중
31177 편성 운행중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31178 편성 운행중
31179 편성 운행중
31180 편성 운행중 2010년 11월 29일[29]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민원전철365로 운행하였다.[30]
31181 편성 운행중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31182 편성 운행중
31183 편성 2012년, 2014년 운행중 중간 객차 신조 및 편성 재 조성으로 인해 잠시 휴차하였다.
31184 편성 운행중
31185 편성 운행중
31186 편성 운행중
31187 편성 운행중
31188 편성 운행중 2년 동안 덕산역에서 유치되다가 반입되었다.
31189 편성 운행중
31190 편성 2010년, 2014년 운행중 361000호대 전동차에서 이적된 차량이다.[31]
31191 편성 운행중
31192 편성 2013년 운행중
31193 편성 운행중
31194 편성 운행중
31195 편성 2016년 시운전 중 싱글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

현재 운행 노선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통에서 운행하고 있다.

과거 운행 노선

사고

  • 2007년 5월 12일,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영등포역 구내에서 발생한 구 19편성과 디젤전기기관차 4404호와의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구 19편성 5119호와 5719호가 폐차되고, 남은 차량은 319000호대 전동차의 06, 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 2010년 5월 1일, 구로차량사업소에서 1000호대의 58편성과 (구)5000호대의 75편성(변경 후 311000호대 74편성)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32]. 이 사고로 5075호(변경 후 311074호)의 전면부가 일부 파손되었으며, 1058편성은 중간 프레임이 휘어 결국 폐차 처리되었고, 31174편성(변경 전 75편성)은 문산차량사업소 중수선에 입창되어 장기간 복구작업을 마치고 정상 운행중이다.
  • 2012년 2월 2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에서 청량리역으로 향하던 중 차량 고장으로 멈춰선 31158편성(변경 전 59편성) 열차를 뒤따라 오던 31171편성(변경 전 72편성) 열차가 구원기로 연결한 후 광운대역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종로5가역 구내에서 31158편성(변경 전 59편성) 열차의 10량 중 9번째 칸이 탈선하였다.[33]
  • 2012년 6월 3일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천안역에서 운행을 마치고 인입선으로 들어가려던 31147편성(변경 전 48편성) 열차의 10량 중 일부가 탈선해 이 일대의 열차운행이 9시간 여 동안 차질을 빚었다.[34][35]
  • 2015년 5월 19일 인천시 중구 경인전철 1호선 인천역 승강장 인근 철로에서 31126편성 전동차가 탈선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

각주

  1. 31190, 31191편성 기존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8량 차량에 해당된다.
  2. 연속 정격출력 200kW, 1시간 정격출력 230kW
  3. 연속 정격출력으로 계산할 시 4,000kW이며 1시간 정격출력으로 계산할 시 4,600kW
  4. 이 GTO는 JR 서일본207계 1000번대 전동차에도 사용되므로 311000호대 전동차와 207계 1000번대 전동차의 구동음이 같다.
  5. 다만, 31183~31194편성은 원핸들 방식으로 반입하였다.
  6. 31111편성부터 31113편성까지는 2013년 2월에, 31114편성부터 31119편성까지는 2014년 6월에, 31120편성부터 31124편성까지는 2014년 9월에 각각 구로소속에서 이문소속으로 이관하였다.
  7. 원래 31142~31147편성(옛 43~48 편성)이 구로소속이었고 31148~31153편성(옛 49~54편성)이 병점소속이었지만 2010년 서로 소속을 맞바꾸었다.
  8. 우선적으로 병점~천안구간을 위주로 시운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9. 31101~31127편성이 해당
  10. 31128~31141편성이 해당
  11. 大宇重,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 1백35량 수주, 1997년 5월 28일 작성, 2015년 2월 23일 확인.
  12. 55, 56편성은 차후 2세대형 전동차로 신규 도입 후 31154, 3115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
  13. 해당 1세대형 전동차는 차후 정상적인 차호로 되돌아가면서 이 도입분 때 재 신조되었다.
  14. 본래 31148, 31160~31163편성은 반입 당시 GTO 소자로 반입되었으나, 이후 IGBT 소자로 개조되었다.
  15. MCK01C형을 사용한 동력객차는 311763, 311863호였고, COVO52-A0형을 사용한 동력객차는 311163, 311263, 311463호였다.
  16. 변경 전 79편성 부터 적용되었으나, 79편성과 80편성이 말소되어 실제로는 변경 전 81편성부터 적용
  17. 현재는 기존의 도시바VVVF-IGBT로 환원된 상태이다.
  18. 코레일, 수도권 출퇴근 열차 대폭 증편, 《연합뉴스》, 2012년 5월 18일 작성; 31185편성 이전 반입분이 해당.
  19. 31186편성 이후 반입분이 해당.
  20.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신조 전동차 점검, 2013년 9월 13일 작성, 2015년 2월 23일 확인.
  21. http://blog.naver.com/jascoco/220194878222
  22. 다만, 자전거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23. 1000호대 2세대형 전기 차량을 개조 편입한 차량은 청록색이였다.
  24. 31164, 31165편성 또한 2세대 전동차에 포함되기는 하나, 이들 2개 편성은 반입 당시부터 도시바 IGBT 소자로 반입되었으며, 이에 앞서 31160~31163편성이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또한 31164편성 이후 차량부터는 반입 당시부터 IGBT 소자가 기본 사양으로 장착된다.
  25. 31183편성부터는 자동 통로문이 기본 사양이다.
  26. 단, 운전실에 설치된 방송장치는 예전부터 사용되어 온 방송장치가 적용되어 있어, 31125~31157편성 및 31183~31194편성보다는 다소 음질이 떨어지는 편이다.
  27. 311639,311340,311640,311341,311641호에 해당
  28. http://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ryudong123&logNo=220625573492
  29. <경기도 '민원전철' 1호선 서동탄∼성북 첫 운행>, 《연합뉴스》, 2010.11.29.
  30. '애물단지' 민원전철…원상복구비만 1억, 《뉴시스》, 2013.11.17.
  31. 2012년부터 2014년 2월까지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 차출되어 용문차량사업소 소속으로 이관되었고, 이후 평내차량사업소로 복귀하였다. 곧 6월문산차량사업소로 이동해 휴차되다가 팬터그래프 애자부위에 직류장치를 추가하여 교직혼용 개조를 받았고, 현대로템 창원공장으로 이동하여 2량의 부수객차를 신조하고 운전대를 기존 1인승무에서 2인승무로 개조하였다. 현재 구로차량사업소로 배속되었고, 출입문 경고음이 1호선 311000호대 3세대 후반형과 동일해졌다. 측면 행선지의 광운대역 표출을 기존 "광운대"에서 "광운대역"으로 바뀌었다.
  32. 구로 전동차 차량기지 추돌 사고, 《YTN》 2010년 5월 1일
  33. 종로5가 지하철 탈선
  34. 천안역서 열차 탈선…장항선 열차 운행 중단
  35. 천안역 탈선사고 9시간만에 복구…항의 빗발쳐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