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어병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Officer781 (토론 | 기여)
→‎운모: corrected according to Lee and Zee (2003) and Duanmu (2007)
Officer781 (토론 | 기여)
→‎운모: whoops stray n removed
105번째 줄: 105번째 줄:
|{{IPA|[u]}}<br />wu<br />-u||{{IPA|[y]}}<br />yu<br />-ü <ref name="ü" />
|{{IPA|[u]}}<br />wu<br />-u||{{IPA|[y]}}<br />yu<br />-ü <ref name="ü" />
|-
|-
|style="background:#efefef"|{{IPA|n}}||&nbsp;n||{{IPA|[in]}}<br />yin<br />-in
|style="background:#efefef"|{{IPA|n}}||&nbsp;||{{IPA|[in]}}<br />yin<br />-in
|&nbsp;||{{IPA|[yn]}}<br />yun<br />-ün <ref name="ü" />
|&nbsp;||{{IPA|[yn]}}<br />yun<br />-ün <ref name="ü" />
|-
|-

2016년 3월 9일 (수) 18:57 판


한자
발달과정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서체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글꼴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분류법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한자의 표준화
표준
상용한자 강희자전
문자 개혁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나라별 사용
중국 대륙·타이완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파생문자1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파생문자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v  d  e  h

한어 병음(중국어 정체자: 漢語拼音, 병음: Hànyǔ pīnyīn 한위 핀인[*])은 중국어 한자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부호이다. 한어 병음 자모(중국어 정체자: 漢語拼音字母, 병음: Hànyǔ pīnyīn zìmǔ)는 현대 표준어인 보통화(普通話) 발음을 로마자 자모로 표기하여 성모(聲母)는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h, ch, sh, r, z, c, s 등 21개, 운모(韻母)는 yi(-i), wu(-u), yu(-ü, -u), a, o, e, ai, ei, ao, ou, an, en, ang, eng, er 등 36개로 되어 있다.

발음

성모

성모(聲母)는 어두의 자음을 나타낸다. 위쪽은 국제 음성 기호, 아래쪽은 병음이다.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권설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파열음 [p]
b
[pʰ]
p
  [t]
d
[tʰ]
t
    [k]
g
[kʰ]
k
비음 [m]
m
  [n]
n
    [ŋ]
ng
마찰음   [f]
f
[s]
s
[ʂ]
sh
[ɕ]
x
[x]
h
[ʐ][1]
r
파찰음     [ts]
z
[tsʰ]
c
[ʈʂ]
zh
[ʈʂʰ]
ch
[tɕ]
j
[tɕʰ]
q
 
설측음     [l]
l
     
접근음       [ɻ] *
r
   


성모 순서는  b p m f   d t n l   g k (ng) h   j q x   zh ch sh r   z c s  .

운모

운모(韻母)는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다. 각 칸에서 첫 번째는 IPA이고, 두 번째는 어두 자음이 없는 병음이고, 세 번째는 어두 자음이 있는 병음이다. -r 때문에 조정되는 마지막 음은 소리내지 않는다. [2]

주모음 운미 개음
Ø i u y
a Ø [a]
a
-a
[ia]
ya
-ia
[ua]
wa
-ua
 
i [æi]
ai
-ai
  [uæi]
wai
-uai
 
u [ɑu]
ao
-ao
[iɑu]
yao
-iao
   
n [æn]
an
-an
[iɛn]
yan
-ian
[uæn]
wan
-uan
[yɛn]
yuan
-üan [3]
ŋ [ɑŋ]
ang
-ang
[iɑŋ]
yang
-iang
[uɑŋ]
wang
-uang
 
ə Ø [ɯɤ]
e
-e
[ie]
ye
-ie
[uo]
wo
-uo/-o [4]
[ye]
yue
-üe [3]
i [ei]
ei
-ei
  [uei]
wei
-ui
 
u [ou]
ou
-ou
[iou]
you
-iu
   
n [ən]
en
-en
  [uən]
wen
-un
 
ŋ [əŋ]
eng
-eng
[iəŋ]
ying
-ing
[uəŋ]
weng
 
 
Ø Ø [ɹ̩], [ɻ̩]

-i
[i]
yi
-i
[u]
wu
-u
[y]
yu
[3]
n   [in]
yin
-in
  [yn]
yun
-ün [3]
ŋ     [ʊŋ]

-ong
[iʊŋ]
yong
-iong

성조

보통화 4성조의 음고(音高) 변화

다음은 표준 중국어의 4성조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음고(音高)를 나타낸다: 오른쪽 그림 참고)

  1. 제1성(음평성(陰平聲), 고평조(高平調), 55) (¯):

    (ᾱ) ā ē ī ō ū ǖ Ā Ē Ī Ō Ū Ǖ
  2. 제2성(양평성(陽平聲), 상승조(上昇調), 35) (´):

    (ά) á é í ó ú ǘ Á É Í Ó Ú Ǘ
  3. 제3성(상성(上聲), 저요조(低凹調), 214) (ˇ):

    (α̌) ǎ ě ǐ ǒ ǔ ǚ Ǎ Ě Ǐ Ǒ Ǔ Ǚ
  4. 제4성(거성(去聲), 하강조(下降調), 51) (`):

    (ὰ) à è ì ò ù ǜ À È Ì Ò Ù Ǜ
  5. 경성(輕聲):

    (α) a e i o u ü A E I O U Ü

중국어는 같은 성모와 운모로 구성되어 있어도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성조 병음 주음 정체자 간체자
제1성 ㄇㄚ / ㄇㄚˉ 어머니
제2성 ㄇㄚˊ
제3성 ㄇㄚˇ 말 (동물)
제4성 ㄇㄚˋ 욕하다, 꾸짖다
경성 ma / ·ma ˙ㄇㄚ 의문문에 쓰이는 조사


컴퓨터에서 나타내는 법

성조\모음 a o e i u ü
제1성 ā
&#257;
&#x0101;

Ā
&#256;
ō
&#333;
&#x014D;

Ō
&#332;
ē
&#275;
&#x0113;

Ē
&#274;
ī
&#299;
&#x012B;

Ī
&#298;
ū
&#363;
&#x016B;

Ū
&#362;
ǖ
&#470;
&#x01D6;

Ǖ
&#469;
제2성 á
&#225;
&#x00E1;
&aacute;

Á
&#193;
ó
&#243;
&#x00F3;
&oacute;

Ó
&#211;
é
&#233;
&#x00E9;
&eacute;

É
&#201;
í
&#237;
&#x00ED;
&iacute;

Í
&#205;
ú
&#250;
&#x00FA;
&uacute;

Ú
&#218;
ǘ
&#472;
&#x01D8;


Ǘ
&#471;
제3성 ǎ
&#462;
&#x01CE;

Ǎ
&#461;
ǒ
&#466;
&#x01D2;

Ǒ
&#465;
ě
&#283;
&#x011B;

Ě
&#282;
ǐ
&#464;
&#x01D0;

Ǐ
&#463;
ǔ
&#468;
&#x01D4;

Ǔ
&#467;
ǚ
&#474;
&#x01DA;

Ǚ
&#473;
제4성 à
&#224;
&#x00E0;
&agrave;

À
&#192;
ò
&#242;
&#x00F2;
&ograve;

Ò
&#210;
è
&#232;
&#x00E8;
&egrave;

È
&#200;
ì
&#236;
&#x00EC;
&igrave;

Ì
&#204;
ù
&#249;
&#x00F9;
&ugrave;

Ù
&#217;
ǜ
&#476;
&#x01DC;


Ǜ
&#475;

주석

  1. "r" 은 원래 [ɻ]이지만, 일부 방언에서 [ʐ]로도 발음된다.
  2. /ər/ (而, 二, etc.) 은 "er"으로 나타낸다. 또 접미사 -r로 형성되는 발음은 병음으로서 나타내는 방법은 없다. 어떤 발음 변화가 있어도 단지 -r을 운미 뒤에 붙일 뿐이다.
  3. "ü"가 운두인 운모는 성모가 없거나(이 경우는 앞에 y를 붙이게 된다.) j, q, x 뒤에 올 때 u 위의 두 점을 생략하여 표기한다.
  4. "uo"는 "b, p, m, f" 뒤에서는 "o"로 쓰인다.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