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1756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oreevad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생애 ==
== 생애 ==
=== 천주교와의 만남 ===
=== 천주교와의 만남 ===
[[남인]] 학자의 가문에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20세 전후에 고명한 학자들과 사귀었다. [[1780년]]([[조선 정조|정조]] 4년) 진사 시험에 합격했다. 당시 남인 학자들 사이에는 [[북경]]으로부터 들어온 서학(西學)이 단순한 학문으로 연구되다가 점차 그 뛰어난 진리를 깨달음에 이르러 하나의 실천학으로 받아들여 마침내 그리스도 신앙으로 귀의(歸依)해 가는 뚜렷한 움직임이 있었다.
[[남인]] 학자의 가문에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20세 전후에 고명한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1780년]]([[조선 정조|정조]] 4년) 진사 시험에 합격했다. 당시 남인 학자들 사이에는 [[북경]]으로부터 들어온 서학(西學)이 단순한 학문으로 연구되다가 점차 그 뛰어난 진리를 깨달음에 이르러 하나의 실천학으로 받아들여 마침내 그리스도 신앙으로 귀의(歸依)해 가는 뚜렷한 움직임이 있었다.

=== 세례 ===
=== 세례 ===
[[1783년]](정조 7년) [[황인점]](黃仁點) 서장관으로 베이징에 가는 아버지 이동욱을 따라가게 되었다. 떠나기 전에 천주학을 연구하던 [[이벽]]이 찾아와, 교리와 그 실천 방법을 자세히 살피고 올 것과 천주교에 관한 서적을 구해 올 것을 부탁하였다. 세계 천주교회에서 처음으로 민족적 자진 귀의의 특사로서 이승훈은 이해 [[11월 8일]]([[음력 10월 14일]]) 한양을 떠나 [[1784년]] [[1월 13일]](1783년 [[음력 12월 21일]]) 북경에 도착했다. 40여 일 동안 이곳에 머무르며 즉, [[천주교회]]나 [[성공회]]에서 [[주교]]가 목회하는 교회를 뜻하는 주교좌(主敎座)성당인 남천주당에서 필담으로 [[교리]]를 배운 후, 1784년 [[음력 1월]] 이승훈은 [[그라몽]](Louis de Grammont) 신부로부터 [[영세]]를 받고 조선 [[천주교회]]의 주춧돌이 되라는 뜻에서 [[베드로]](반석)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1784년]](정조 8년) [[4월 13일]]([[음력 3월 24일]]) 이승훈은 [[성서]]와 [[성상]]·[[묵주]] 등을 가지고 [[한양]]에 돌아왔다.
[[1783년]](정조 7년) [[황인점]](黃仁點) 정사(正使)로 하는 사절단이 구성될 때, 그의 아버지 이동욱(李東郁)은 서장관(書狀官)으로 사절단의 일원이 되어 [[북경]]에 가게 되었는데, 그도 아버지를 따라 나섰다. 그가 떠나기 전, 천주학을 연구하던 [[이벽]]이 그를 찾아와 교리와 그 실천 방법을 자세히 살피고 올 것과 천주교에 관한 서적을 구해 올 것을 부탁하였다. 세계 천주교회에서 처음으로 민족적 자진 귀의의 특사로서 이승훈은 이해 [[11월 8일]]([[음력 10월 14일]]) 한양을 떠나 [[1784년]] [[1월 13일]](1783년 [[음력 12월 21일]]) 북경에 도착했다.<ref>[[#정조실록 1805|정조실록 1805]] [http://sillok.history.go.kr/id/kva_10802017_004 17권, 정조 8년 2월 17일 계유 4번째기사]</ref> 40여 일 동안 이곳에 머무르며 즉, [[천주교회]]나 [[성공회]]에서 [[주교]]가 목회하는 교회를 뜻하는 주교좌(主敎座)성당인 남천주당에서 필담으로 [[교리]]를 배운 후, 1784년 [[음력 1월]] 이승훈은 [[그라몽]](Louis de Grammont) 신부로부터 [[영세]]를 받고 조선 [[천주교회]]의 주춧돌이 되라는 뜻에서 [[베드로]](반석)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1784년]](정조 8년) [[4월 13일]]([[음력 3월 24일]]) 이승훈은 [[성서]]와 [[성상]]·[[묵주]] 등을 가지고 [[한양]]에 돌아왔다.


=== 천주교회를 세우다 ===
=== 천주교회를 세우다 ===
29번째 줄: 28번째 줄:
== 주석 ==
== 주석 ==
<references/>
<references/>
==참고 문헌==

*{{위키인용 |ref="정조실록 1805"| reference ={{서적 인용 |저자=춘추관 관원들 |연도=1805 |제목=[[정조실록]] |ref={{sfnRef|정조실록 1805}} }} }}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 {{두피디아|101013000761315}}
* {{두피디아|101013000761315}}

2016년 1월 30일 (토) 23:04 판

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다. 이승훈의 교명은 베드로이며 본관은 평창(平昌)이다. 이승훈은 조선 최초로 천주교 영세를 받았다.

생애

천주교와의 만남

남인 학자의 가문에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20세 전후에 고명한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1780년(정조 4년) 진사 시험에 합격했다. 당시 남인 학자들 사이에는 북경으로부터 들어온 서학(西學)이 단순한 학문으로 연구되다가 점차 그 뛰어난 진리를 깨달음에 이르러 하나의 실천학으로 받아들여 마침내 그리스도 신앙으로 귀의(歸依)해 가는 뚜렷한 움직임이 있었다.

세례

1783년(정조 7년) 황인점(黃仁點)을 정사(正使)로 하는 사절단이 구성될 때, 그의 아버지 이동욱(李東郁)은 서장관(書狀官)으로 사절단의 일원이 되어 북경에 가게 되었는데, 그도 아버지를 따라 나섰다. 그가 떠나기 전, 천주학을 연구하던 이벽이 그를 찾아와 교리와 그 실천 방법을 자세히 살피고 올 것과 천주교에 관한 서적을 구해 올 것을 부탁하였다. 세계 천주교회에서 처음으로 민족적 자진 귀의의 특사로서 이승훈은 이해 11월 8일(음력 10월 14일) 한양을 떠나 1784년 1월 13일(1783년 음력 12월 21일) 북경에 도착했다.[1] 40여 일 동안 이곳에 머무르며 즉, 천주교회성공회에서 주교가 목회하는 교회를 뜻하는 주교좌(主敎座)성당인 남천주당에서 필담으로 교리를 배운 후, 1784년 음력 1월 이승훈은 그라몽(Louis de Grammont) 신부로부터 영세를 받고 조선 천주교회의 주춧돌이 되라는 뜻에서 베드로(반석)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1784년(정조 8년) 4월 13일(음력 3월 24일) 이승훈은 성서성상·묵주 등을 가지고 한양에 돌아왔다.

천주교회를 세우다

마침내 1785년(정조 9년) 봄 명례동(明禮洞 : 명동) 김범우(金範禹)의 집에 처음으로 조선 천주교회를 세웠다. 이벽·이가환정약용·정약종·정약전 3형제와 함께 주일 미사강론을 행하면서 성서한글로 번역하여 천주교인들에게 나누어주었다. 그는 1789년(정조 13년) 관직에 나가 평택 현감을 지내기도 했으나, 1791년(정조 15년) 천주교의 전국적 전파를 막으려는 조정의 탄압으로 신해박해가 일어나 관직을 빼앗겼다. 1795년 주문모 신부 입국 사건으로 충남 예산군에 유배되었으며, 1801년 신유박해 때 서대문 형장에서 사형되었다. 1868년 그의 뒤를 이어 아들과 손자가 순교하고, 1871년 증손까지 순교하여 4대에 걸친 순교자 집안이 되었다.[2]

가족 관계

  • 증조부 : 이태석(李泰錫)
    • 할아버지 : 이광부(李光傅)
      • 아버지 : 이동욱(李東旭)
      • 어머니 : 여주 이씨(驪州 李氏) - 이가환의 누이
        • 동생 : 이치훈(李致薰)
        • 부인 : 나주 정씨(羅州 丁氏) - 정약전, 정약전, 정약용의 누이
          • 장남 : 이
          • 차남 : 이
          • 삼남 : 이신규(李身逵)

함께 보기

주석

참고 문헌

바깥 고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