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곱: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1번째 줄: 51번째 줄:


== 역사 ==
== 역사 ==
1935년 9월 4일~10일 동안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차 세계 위상 수학 학회({{llang|en|International Topological Conference}})에서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와 [[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독자적으로 [[코호몰로지류]]의 개념 및 코호몰로지류의 곱셈을 도입하였다.<ref>{{저널 인용|url=http://www.math.purdue.edu/~gottlieb/Bibliography/53.pdf|이름=James C.|성=Becker|이름2=Daniel Henry|성2=Gottlieb|제목=A history of duality in algebraic topology|언어=en}}</ref> 이후 [[에두아르트 체흐]]<ref>{{저널 인용|제목=Multiplications on a complex|이름=Eduard|성=Čech|저자고리=에두아르트 체흐|날짜=1936-07|zbl=0015.13101|권=37|쪽=681–697|호=3|저널=Annals of Mathematics|언어=en}}</ref>와 [[해슬러 휘트니]]<ref>{{저널 인용|이름=Hassler|성=Whitney|저자고리=해슬러 휘트니|제목=On products in a complex|날짜=1937-05|저널=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권=23|쪽=285–291|zbl= 0016.42001|jfm=63.1160.02|doi=10.1073/pnas.23.5.285|issn=0027-8424|언어=en}}</ref><ref>{{저널 인용|이름=Hassler|성=Whitney|저자고리=해슬러 휘트니|날짜=1938|제목=On products in a complex|저널=Annals of Mathematics|권=39|쪽=397–432|mr=1503416 |jfm= 64.1265.04 |zbl=0019.​14204|doi=10.2307/1968795|jstor=1968795|issn=0003-486X|언어=en}}</ref>는 코호몰로지류의 합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였다. 1944년에 [[사무엘 에일렌베르크]]는 그 정의를 일반화하였다.<ref>{{저널 인용|이름=Samuel|성=Eilenberg|저자고리=사무엘 에일렌베르크|제목=Singular homology|저널=Annals of Mathematics|권=45|쪽=407–447|언어=en}}</ref>
1935년 9월 4일~10일 동안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차 세계 위상 수학 학회({{llang|en|International Topological Conference}})에서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와 [[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독자적으로 [[코호몰로지류]]의 개념 및 코호몰로지류의 곱셈을 도입하였다.<ref>{{저널 인용|url=http://www.math.purdue.edu/~gottlieb/Bibliography/53.pdf|이름=James C.|성=Becker|이름2=Daniel Henry|성2=Gottlieb|제목=A history of duality in algebraic topology|언어=en}}</ref> 이후 [[에두아르트 체흐]]<ref>{{저널 인용|제목=Multiplications on a complex|이름=Eduard|성=Čech|저자고리=에두아르트 체흐|날짜=1936-07|zbl=0015.13101|권=37|쪽=681–697|호=3|저널=Annals of Mathematics|언어=en}}</ref>와 [[해슬러 휘트니]]<ref>{{저널 인용|이름=Hassler|성=Whitney|저자고리=해슬러 휘트니|제목=On products in a complex|날짜=1937-05|저널=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권=23|쪽=285–291|zbl= 0016.42001|jfm=63.1160.02|doi=10.1073/pnas.23.5.285|issn=0027-8424|언어=en}}</ref><ref>{{저널 인용|이름=Hassler|성=Whitney|저자고리=해슬러 휘트니|날짜=1938|제목=On products in a complex|저널=Annals of Mathematics|권=39|쪽=397–432|mr=1503416 |jfm= 64.1265.04 |zbl=0019.14204|doi=10.2307/1968795|jstor=1968795|issn=0003-486X|언어=en}}</ref>는 코호몰로지류의 합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였다. 1944년에 [[사무엘 에일렌베르크]]는 그 정의를 일반화하였다.<ref>{{저널 인용|이름=Samuel|성=Eilenberg|저자고리=사무엘 에일렌베르크|제목=Singular homology|저널=Annals of Mathematics|권=45|쪽=407–447|언어=en}}</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6년 1월 29일 (금) 13:15 판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합곱(合곱, 영어: cup product 컵 프로덕트[*])은 두 코호몰로지류를 더 큰 코호몰로지류로 이어붙이는 연산이다. 이에 따라, 코호몰로지호몰로지와 달리 등급환을 이룬다.

정의

쌍대사슬의 합곱

위상 공간 가환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특이 쌍대사슬의 합곱은 다음과 같은 -선형 변환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임의의 차 특이 쌍대사슬 차 특이 쌍대사슬 특이 단체 에 대하여,

여기서

()는 차원 표준 단체를 꼭짓점들이 차원 표준 단체의, 에 속하는 꼭짓점들만을 갖는 부분 표준 단체로 포함시키는 함수이다.

코호몰로지류의 합곱

쌍대사슬의 합곱은 다음과 같이 쌍대경계 와 호환된다.

따라서, 쌍대사슬의 합곱은 코호몰로지류 위에도 정의된다. 이에 따라, 코호몰로지류의 합곱

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곱으로 삼으면, 코호몰로지 군 등급환을 이룬다.

텐서곱

위상 공간 가환환 위의 가군 ,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특이 쌍대사슬에 대한 다음과 같은 사상이 존재한다.

여기서

곱공간의 사영 사상이다. 이 역시 쌍대경계와 호환되어, 코호몰로지류의 텐서곱

을 정의할 수 있다. 만약 라면, 이므로 이는

이다. 이 사상은 퀴네트 정리에 등장하는 사상과 같다.

성질

코호몰로지류의 합곱은 다음과 같은 등급 교환 법칙을 따른다.

합곱은 함자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연속 함수 에 대하여, 코호몰로지의 당김

을 정의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즉, 등급환준동형을 이룬다.

합곱과 텐서곱의 관계

위상 공간 가환환 위의 가군 ,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대각 사상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텐서곱의 대각 사상에 대한 당김

이 존재한다. 만약 라면, 이는 합곱 과 일치한다.

역사

1935년 9월 4일~10일 동안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차 세계 위상 수학 학회(영어: International Topological Conference)에서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독자적으로 코호몰로지류의 개념 및 코호몰로지류의 곱셈을 도입하였다.[1] 이후 에두아르트 체흐[2]해슬러 휘트니[3][4]는 코호몰로지류의 합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였다. 1944년에 사무엘 에일렌베르크는 그 정의를 일반화하였다.[5]

같이 보기

참고 문헌

  1. Becker, James C.; Gottlieb, Daniel Henry. “A history of duality in algebraic topology” (PDF) (영어). 
  2. Čech, Eduard (1936년 7월). “Multiplications on a complex”.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37 (3): 681–697. Zbl 0015.13101. 
  3. Whitney, Hassler (1937년 5월). “On products in a complex”.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영어) 23: 285–291. doi:10.1073/pnas.23.5.285. ISSN 0027-8424. JFM 63.1160.02. Zbl 0016.42001. 
  4. Whitney, Hassler (1938). “On products in a complex”.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39: 397–432. doi:10.2307/1968795. ISSN 0003-486X. JFM 64.1265.04. JSTOR 1968795. MR 1503416. Zbl 0019.14204. 
  5. Eilenberg, Samuel. “Singular homology”.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45: 407–447.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