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03.237.3.73(토론)의 15653463판 편집을 되돌림
10번째 줄: 10번째 줄: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
{{세계화 문단|날짜=2011-2-28|대한민국}}
{{세계화 문단|날짜=2011-2-28|대한민국}}
한국은 [[PAI]]가 정한 물부족 국가<ref>PAI에서는 단순히 강수량을 인구밀도로 나눈 값으로 물부족국가를 구분한다. 따라서 PAI에서 대한민국을 물부족국가로 구분하였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물 부족과는 관련 없을 수 있다. 또한, [[PAI]]는 [[국제 연합|UN]]의 산하기관이 아니다.</ref>로서, 일인당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게다가 한국의 지형학적 특징상 산악지대가 많아 하천의 길이가 짧고 물이 금방 바다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수자원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강수가 6~9월에 집중되는 것도 한국의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ref>[http://www.kwater.or.kr/ 한국수자원공사]</ref>
한국은 [[PAI]]가 정한 물부족 국가<ref>PAI에서는 단순히 강수량을 인구밀도로 나눈 값으로 물부족국가를 구분한다. 따라서 PAI에서 대한민국을 물부족국가로 구분하였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물 부족과는 관련 없을 수 있다. 또한, [[PAI]]는 [[국제 연합|UN]]의 산하기관이 아니다.</ref>로서, 일인당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게다가 한국의 지형학적 특징상 산악지대가 많아 하천의 길이가 짧고 물이 금방 바다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수자원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강수가 6~9월에 집중되는 것도 한국의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ref>[http://www.kwater.or.kr/ 한국수자원공사]</ref>


한국의 한 해 총 강수량 1267억m²가운데 45%(570억m²)는 [[증발]]되어 이용할 수 없으며, 또한 총 강수량의 31%(396억m²)는 그대로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우리가 실제 사용하고 있는 물의 양은 나머지 24% 정도이다.<ref>[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url=/soc_img/society//kfma1/OCGKB7/2002/v5n2s15/OCGKB7_2002_v5n2s15_50.pdf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원문 다운로드&#93;<!-- 봇이 따온 제목 -->]</ref>
한국의 한 해 총 강수량 1267억m²가운데 45%(570억m²)는 [[증발]]되어 이용할 수 없으며, 또한 총 강수량의 31%(396억m²)는 그대로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우리가 실제 사용하고 있는 물의 양은 나머지 24% 정도이다.<ref>[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url=/soc_img/society//kfma1/OCGKB7/2002/v5n2s15/OCGKB7_2002_v5n2s15_50.pdf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원문 다운로드&#93;<!-- 봇이 따온 제목 -->]</ref>

2016년 1월 22일 (금) 13:28 판

자연 습지대
지구 물의 분포 그림

수자원(水資源, 문화어: 물자원)은 사람에게 실질적으로나 잠재적으로 쓸모있는 의 원천을 가리킨다. 농업, 산업, 가정, 레크리에이션, 환경적인 활동에 물이 이용된다. 실질적으로 모든 사람에게는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지구 위의 물 가운데 97퍼센트는 소금기가 있는 물이고, 나머지 3%만이 민물이며, 그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빙하로 얼어 있거나 만년설에 있다.[1] 나머지 얼지 않은 민물은 주로 지하수이며 매우 작은 양의 민물이 공기나 땅 위에 존재한다.[2]

민물은 재생가능자원이지만 전 세계의 깨끗한 민물의 공급은 꾸준히 줄고 있다. 물 수요는 이미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초과 공급을 겪고 있으며 세계 인구가 꾸준히 늘면서 물 수요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의 보존에 대한 국제적인 중요성이 최근에 강조되고 있다. 수자원을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구조를 수리권이라고 한다.

수자원 현황

대한민국

한국은 PAI가 정한 물부족 국가[3]로서, 일인당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게다가 한국의 지형학적 특징상 산악지대가 많아 하천의 길이가 짧고 물이 금방 바다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수자원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강수가 6~9월에 집중되는 것도 한국의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4]

한국의 한 해 총 강수량 1267억m²가운데 45%(570억m²)는 증발되어 이용할 수 없으며, 또한 총 강수량의 31%(396억m²)는 그대로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우리가 실제 사용하고 있는 물의 양은 나머지 24% 정도이다.[5]

같이 보기

주석

  1. Water distribution: Where is water on, above, and in the Earth?
  2. Scientific Facts on Water Resources
  3. PAI에서는 단순히 강수량을 인구밀도로 나눈 값으로 물부족국가를 구분한다. 따라서 PAI에서 대한민국을 물부족국가로 구분하였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물 부족과는 관련 없을 수 있다. 또한, PAIUN의 산하기관이 아니다.
  4. 한국수자원공사
  5.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원문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