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박근혜의 바지를 벗기고 치마입혀서 시집보내는 용사가 됩시다([[User talk:박근혜의 바지를 벗기고 치마입혀서 시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 중세 유럽 ===
=== 중세 유럽 ===
중세 유럽은 [[성직자]], 귀족, 평민으로 이루어진 [[삼부회]]로 상징되는 구체제를 유지하였으나 실제 신분 제도는 크게 보아 귀족과 평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귀족에는 [[봉건영주|영주]], [[기사 (군사)|기사]]와 같은 지배 계급이 있었으며 평민은 주로 [[농노]]와 [[장인]] 등이 있었다. 이후 [[부르주아지]]로 불리는 부유한 평민이 등장하면서 중세 유럽의 신분 제도는 흔들리게 된다.
중세 유럽은 [[성직자]], 귀족, 평민으로 이루어진 [[삼부회]]로 상징되는 구체제를 유지하였으나 실제 신분 제도는 크게 보아 귀족과 평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귀족에는 [[봉건영주|영주]], [[기사 (군사)|기사]]와 같은 지배 계급이 있었으며 평민은 주로 [[농노]]와 [[장인]] 등이 있었다. 이후 [[부르주아지]]로 불리는 부유한 평민이 등장하면서 중세 유럽의 신분 제도는 흔들리게 된다.
==축복받은 신분==

===축복받은 신분에 대한 개관===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축복받은 신분은 존재한다.

민주주의가 존재하기 전 전제군주제에서의 축복받은 신분은 왕족과 귀족이고 민주주의가 존재한후 공화제에서의 축복받은 신분은 정치인의 자손과 재벌의 자손이다.

===전제군주제에서의 축복받은 신분===

====왕족====

왕족들은 태어날때부터 호의호식하면서 일도 안하고 살아서 축복받은 신분이다.

====귀족====

===공화제에서의 축복받은 신분===

귀족들도 태어날때부터 호의호식하면서 일도 안하고 살아서 축복받은 신분이다.

====정치인의 자손====

대통령, 국무총리, 장관, 차관, 국회의원 등 정치인의 자손들은 부모를 잘 만나서 호의호식하면서 일도 안하고 살아서 축복받은 신분이다.

박근혜가 대표적으로 대통령 아버지 박정희덕분에 평생 호의호식하면서 일도 안하고 살면서 아버지처럼 대통령이 된 축복받은 신분이다.

====재벌의 자손====

재벌 2세, 3세, 4세 등 재벌의 자손들도 부모를 잘 만나서 호의호식하면서 일도 안하고 살아서 축복받은 신분이다.

이건희가 대표적으로 재벌 1세 아버지 이병철덕분에 평생 호의호식하면서 일도 안하고 살면서 아버지처럼 재벌총수가 된 축복받은 신분이다.
==저주받은 신분==

오늘날에는 민주주의의 확립으로 신분제가 폐지되었다.

신분제가 있던 시절 저주받은 신분은 노예들이다.

이들은 평생 호의호식은 못하고 죽어라 일만하다 가서 저주받았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6년 1월 2일 (토) 05:33 판

신분 제도(身分制度)는 출신에 따라 계층을 나누는 제도이다. 인류 대부분의 문화에서 신분 제도를 유지한 역사적 시기가 존재한다.

개요

어떤 개인이 사회에서 처한 상황에 따라 나뉘는 계급과 달리 신분은 태어날 때 이미 정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신분의 가장 큰 특징은 혈연적 관계에 의해 세습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이다. 신분 제도가 강하게 유지되는 사회에서도 경우에 따라 한 개인이 신분 상승을 하거나 몰락하는 경우가 있어 왔으나 사회 전체의 지배 질서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러한 것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이다.

역사

노예, 평민, 귀족, 왕족과 같은 신분은 서양의 경우 고대 그리스 이전부터 동양의 경우 수메르고대 이집트를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고대 문명에서 이미 발견된다. 이 중에는 인도의 카스트 제도와 같이 현대에 이르러서도 신분 제도가 강한 영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한국

한국사에서 신분의 구분은 이미 고조선 시기부터 언급된다. 지금까지 전하는 고조선의 8조법 중 도둑질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구절이 그것이다. 삼국 시대에 이르러 왕족과 귀족 및 평민과 천민의 구분이 명확해졌다. 신라의 경우 지배 계급의 신분을 다시 진골과 여러 단계의 두품으로 세분화 하였다. 조선 시대에 이르러 법에 명문화된 신분은 양민천민으로 단순화 되었으나 실제 조선 사회에서는 양반, 중인, 평민, 천민의 구분이 있었다. 조선은 갑오경장으로 인하여 신분제를 폐지하였으나 형평사 운동이 1935년까지 지속된 것처럼 사회적 불평등이 쉽게 사라지지는 않았다.[1] 그러나 한국전쟁 이후 양반출신, 천민출신 여부를 따지는 것과 같은 신분제의 잔재는 거의 완벽히 사라졌다.

  • 노비와 천민: 조선 시대에 노비는 모두 천민이었으나 천민 모두가 노비는 아니었다. 노비는 관가에 속하거나 양반가에 딸린 종의 신분이었으나 천민은 보다 넓은 계급을 아우르는 말이다. 백정이나 사당패, 기생, 광대 등이 모두 천민으로 불렸으나, 실제로 법률, 곧 《경국대전》을 비롯한 법전에 명문화된 천민은 아니었다.

중세 유럽

중세 유럽은 성직자, 귀족, 평민으로 이루어진 삼부회로 상징되는 구체제를 유지하였으나 실제 신분 제도는 크게 보아 귀족과 평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귀족에는 영주, 기사와 같은 지배 계급이 있었으며 평민은 주로 농노장인 등이 있었다. 이후 부르주아지로 불리는 부유한 평민이 등장하면서 중세 유럽의 신분 제도는 흔들리게 된다.

같이 보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