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룡: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불필요한 주어 삭제
2번째 줄: 2번째 줄:


== 약력 ==
== 약력 ==
김원룡은 [[1945년]] 경성제국대학교 법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였을 때 [[석사]] 논문을 작성하였는데, 이는 [[신라]] 도자기에 대한 것이었다. 이후 [[뉴욕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귀국했다. 김원룡은 [[1961년]] [[서울대학교]]에서 교수가 되었으며 그 이후 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71년]] 국립박물관장으로 재직시 [[무령왕릉]] 발굴을 총지휘했다.
[[1945년]] 경성제국대학교 법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였을 때 [[석사]] 논문을 작성하였는데, 이는 [[신라]] 도자기에 대한 것이었다. 이후 [[뉴욕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귀국했다. [[1961년]] [[서울대학교]]에서 교수가 되었으며 그 이후 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71년]] 국립박물관장으로 재직시 [[무령왕릉]] 발굴을 총지휘했다.


== 업적 ==
== 업적 ==

2015년 11월 28일 (토) 20:40 판

김원룡(金元龍, 1922년 8월 24일 ~ 1993년 11월 14일)은 대한민국의 문인화가이자 고고미술사학자로, 한국에서 처음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고고학자들 중 한 명이었다.[1] 1945년 경성제국대학교 법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고 1959년 뉴욕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김정학, 김재원, 김정배 등과 함께 고고학 분야 뿐 아니라 역사학, 미술사, 건축학, 그리고 한국 철학에 영향을 미친 현대 대한민국 학계의 개척자로 여겨지고 있다.

약력

1945년 경성제국대학교 법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였을 때 석사 논문을 작성하였는데, 이는 신라 도자기에 대한 것이었다. 이후 뉴욕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귀국했다. 1961년 서울대학교에서 교수가 되었으며 그 이후 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71년 국립박물관장으로 재직시 무령왕릉 발굴을 총지휘했다.

업적

1947년 한국산악회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하는 등 모두 다섯 차례에 걸쳐 울릉도 고고학적 조사를 실시했다.

수상

  • 서울시 문화상(1961)
  • 3·1문화상
  • 홍조근로훈장(1971)
  • 학술원 공로상(1981)
  • 인촌상(1988)
  • 일본 후쿠오카 아세아 문화상(1993)
  • 1993년에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에 선정.
  • 제4회 호암상 예술상(사후인 1994.3.22. 시상)

저서

고고학과 미술사학계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다음과 같은 저술을 남겼다.[2]

일반 저서
  • 《신라토기의 연구》(1960)
  • 《한국미술사》(1968)
  • 《한국고고학개설》(1973)
  • 《한국문화의 기원》(1977)
  • 《한국미의 탐구》(1978)
  • 《한국벽화고분》(1979)
  • 《한국고미술의 이해》(1981)
  • 《한국고고학연보》(1974~87)
  • 《신라토기》(1981)
  • 《한국고고학연구》(1987)
  • 《한국미술사연구》(1987)
  • 《신판한국미술사》(1993) 외
보고서
  • 《울릉도》(1963)
  • 《무령왕릉》(1973)
  • 《신창리 옹관묘지》(1963)
  • 《풍납리 포함층조사 보고서》(1967)
  • 《흔암리 주거지》(1973)
  • 《석촌동 발굴조사보고》(1975)
수필집
  • 《삼불수상록》(1970)
  • 《노학생의 향수》(1978)
  • 《하루하루와의 만남》(1985)
유고집
  • 《나의 인생 나의 학문》(1996)

각주

  1. 김원룡 - 네이버 인물
  2. 김원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바깥 고리

  • 김원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