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행정 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06번째 줄: 106번째 줄:
*대도호부(大都護府)
*대도호부(大都護府)
**영흥(永興)
**영흥(永興)
*목(牧)
**길주(吉州)
*도호부(都護府)
*도호부(都護府)
**갑산(甲山), 경성(鏡城), 경원(慶源), 덕원(德源), 부령(富寧), 북청(北靑), 안변(安邊), 온성(穩城), 정평(定平), 종성(鐘城), 회령(會寧)
**갑산(甲山), 경성(鏡城), 경원(慶源), 덕원(德源), 부령(富寧), 북청(北靑), 안변(安邊), 온성(穩城), 정평(定平), 종성(鐘城), 회령(會寧)
111번째 줄: 113번째 줄:
**고원(高原), 단천(端川), 문천(文川), 삼수(三水)
**고원(高原), 단천(端川), 문천(文川), 삼수(三水)
*현(縣)
*현(縣)
**길성(吉城), 명천(明川), 이성(利城), 홍원(洪原)
**명천(明川), 이성(利城), 홍원(洪原)


===황해도===
===황해도===

2015년 6월 5일 (금) 01:05 판

조선의 지방 행정 구역은 전국을 팔도로 나누어 고을의 크기에 따라 지방관의 등급을 조정하고, 작은 군현을 통합하여 전국에 약 330여 개의 군현을 두어 이루어졌다. 고려 시대까지 특수 행정 구역이었던 향, 소, 부곡도 일반 군현으로 승격시켰다.

왕조의 초기에는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답습하였으나 태종 13년(1413년)에 이르러 8도로 구획을 나누었다. 이 구획은 이후 약간의 변경은 있었으나, 대체로 조선 왕조의 말기까지 유지되었으며, 고종 32년(1895년)에 이르러 부·군·현의 각 칭호를 고쳐 군수(郡守)로 하는 한편, 8도를 23부(府)로 고치고 부에 관찰사를 두었다. 그러나 다음해에는 다시 구제(舊制)에 따라 13도로 고치면서 대폭 개편하였다.

v  d  e  h 조선 행정기구 조직
의정부육조이조
승정원호조
경직의금부예조
사헌부병조
국왕사간원삼사형조
홍문관공조
한성부
외직팔도

관제

조선왕조의 지방관은 외관(外官)이라 하여 그 수위를 차지하는 것은 도(道)의 관찰사였고, 그 밑에 수령(守令)인 부윤(府尹)·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목사(牧使)·도호부사(都護府使)·군수(郡守)·현령(縣令)·현감(縣監) 등이 있었다. 고려와는 달리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관찰사의 직무는 본래 관하 각지를 순찰하며 수령의 행적과 민간의 실정 등을 관찰함에 있었으므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단신으로 순력(巡歷)하라는 것이니, 관찰사의 직(職)은 반드시 순찰사(巡察使)를 겸하게 되어 있다. 관찰사의 지방행정을 보좌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되는 관원으로 경력(經歷)·도사(都事)·판관(判官)·중군(中軍)·검률(檢律)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수령 가운데서 가장 큰 것이 부윤(府尹)으로서 관찰사와 동격이며, 관찰사 소재지의 부윤은 대개 관찰사가 겸하기도 하였다. 대도호부는 부윤에 다음가는 제2급 지방장관으로서 본래 도호라는 제도는 (漢)과 (唐)의 제도였으며 군사상 진호(鎭護)가 그 임무였으나 조선의 경우에는 다만 지방구획상의 한 명칭에 불과했다.

목사는 부윤·대도호부사에 다음 가는 지방관으로서 군읍(郡邑)의 이름이 주(州)로 된 곳 약 20개처의 구획명을 목이라고 하였으며 그 장관을 사(使)라고 하였다.

도호부사(약칭 府使)는 목사 다음에 가는 제4급 지방관으로서 전국에 약 80개처, 군수는 제5급 지방관으로서 약 80개처였다.

이들 정식적 지방관제상의 행정권 이외에 관찰사, 병사(兵使)·수사(水使)와 대읍(大邑)의 수령은 그 막료(幕僚)로 비장(裨將)을 두었고, 또 향교(鄕校)의 지도를 위해 부·목에는 무록관(無祿官)인 교수(敎授), 군·현에는 무록관인 훈도(訓導)가 있었다.


이 밖에 지방행정관으로 교통행정에 관한 특수직인 찰방(察訪)·역승(驛丞)·도승(渡丞) 등이 있었다. 관찰사 및 수령의 사무는 중앙관제의 축도(縮圖)로서 (吏)·(戶)·(禮)·(兵)·(刑)·(工)의 육방(六房)으로 분장(分掌)케 하고, 그 사무는 토착의 이속(吏屬)을 임용하였으며, 이서(吏胥) 또는 아전(衙前)이라 불리었다. 이와 같이 지방관청의 부편성은 중앙관서의 육조(六曹)와 상응하게 6방으로 되어 있었으나 지방의 특정한 방이 중앙의 같은 상응조직(counterpart organization)인 조의 직접적 통제나 서로 긴밀한 연관성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고 본다. 즉 이들 지방관청의 6방은 의정부와 6조와는 내·외직 간의 위계(位階)의 차이는 있었으나 직접적인 종적 명령계열이 확립되지는 않았으며 다만 도의 관찰사가 국왕의 직접적인 지휘감독을 받고, 또 군의 수령은 관찰사의 직접적인 지휘감독을 받았던 것이며 이들 6방은 각각 관찰사와 수령의 보조기관에 불과했다.

각 도의 하부 행정구역

한성부

한성부에는 경기도의 행정을 담당하는 경기감사의 집무실인 경기감영이 조선 후기 돈의문 밖에 있었다. 한성부의 수장은 한성부판윤이나, 거의 명예직이었다. 한성부는 크게 동, 서, 남, 북, 중의 다섯 부(部)로 나뉘어 있었으며, 그 아래 52개의 방(坊)이 있었다.[1]

강원도

  • 대도호부(大都護府)
    • 강릉(江陵)
  • 목(牧)
    • 원주(原州)
  • 도호부(都護府)
    • 삼척(三陟), 양양(襄陽), 철원(鐵原), 춘천(春川), 회양(淮陽)
  • 군(郡)
    • 간성(杆城), 고성(高城), 영월(寧越), 정선(旌善), 통천(通川), 평창(平昌), 평해(平海)
  • 현(縣)
    • 금성(金城), 김화(金化), 낭천(狼川), 안협(安峽), 양구(楊口), 울진(蔚珍), 이천(伊川), 인제(麟蹄), 평강(平康), 홍천(洪川), 횡성(橫城), 흡곡(翕谷)

경기도

  • 유수부(留守府)
    • 개성(開城)
  • 부(府)
    • 광주(廣州: 유수부로 승격)
  • 목(牧)
    • 양주(楊州), 여주(驪州), 파주(坡州)
  • 도호부(都護府)
    • 강화(江華: 유수부로 승격), 남양(南陽), 부평(富平), 수원(水原: 유수부로 승격), 이천(利川), 인천(仁川), 장단(長湍)
  • 군(郡)
    • 고양(高陽), 마전(麻田), 삭녕(朔寧), 안산(安山), 안성(安城), 양근(楊根), 풍덕(豊德)
  • 현(縣)
    • 가평(加平), 과천(果川), 교동(喬桐), 교하(交河), 금천(衿川), 김포(金浦), 양성(陽城), 양지(陽智), 양천(陽川), 연천(漣川), 영평(永平), 용인(龍仁), 음죽(陰竹), 적성(積城), 죽산(竹山), 지평(砥平), 진위(振威), 통진(通津), 포천(抱川)

경상도

경상도는 크게 경상좌도(낙동강 동쪽 지역, 한성 기준으로 좌측)과 경상우도(낙동강 서쪽 지역, 한성 기준으로 우측)으로 나뉘어 있었다. 경상 관찰사의 사무실인 경상 감영은 경주, 상주, 성주, 달성(대구), 안동에 시대별로 위치하였다.

  • 부(府)
    • 경주(慶州)
  • 대도호부(大都護府)
    • 안동(安東), 창원(昌原)
  • 목(牧)
    • 상주(尙州), 성주(星州), 진주(晉州)
  • 도호부(都護府)
    • 김해(金海), 대구(大丘: 大邱로 변경), 밀양(密陽), 선산(善山), 순흥(順興), 영해(寧海), 청송(靑松), 칠곡(漆谷)
  • 군(郡)
    • 곤양(昆陽), 김산(金山), 양산(梁山), 영천(永川), 영천(榮川), 예천(醴泉), 울산(蔚山), 청도(淸道), 초계(草溪), 풍기(豊基), 함안(咸安), 함양(咸陽), 합천(陜川), 흥해(興海)
  • 현(縣)
    • 개령(開寧), 거제(巨濟), 거창(居昌), 경산(慶山), 고령(高靈), 고성(固城), 군위(軍威), 기장(機張), 남해(南海), 단성(丹城), 동래(東萊), 문경(聞慶), 봉화(奉化), 비안(比安), 사천(泗川), 산음(山陰), 삼가(三嘉), 신녕(新寧), 안음(安陰), 언양(彦陽), 영덕(盈德), 영산(靈山), 영양(英陽), 영일(迎日), 예안(禮安), 용궁(龍宮), 웅천(熊川), 의령(宜寧), 의성(義城), 의흥(義興), 인동(仁同), 자인(慈仁), 장기(長鬐), 지례(知禮), 진보(眞寶), 진해(鎭海), 창녕(昌寧), 청하(淸河), 칠원(漆原), 하동(河東), 하양(河陽), 함창(咸昌), 현풍(玄風)

전라도

  • 부(府)
    • 전주(全州)
  • 목(牧)
    • 광주(光州), 나주(羅州), 능주(綾州), 제주(濟州)
  • 도호부(都護府)
    • 남원(南原), 담양(潭陽), 순천(順天), 장흥(長興)
  • 군(郡)
    • 고부(古阜), 금산(錦山), 김제(金堤), 낙안(樂安), 보성(寶城), 순창(淳昌), 여산(礪山), 영광(靈光), 영암(靈巖), 익산(益山), 진도(珍島), 진산(珍山)
  • 현(縣)
    • 강진(康津), 고산(高山), 고창(高敞), 곡성(谷城), 광산(光山), 광양(光陽), 금구(金溝), 구례(求禮), 남평(南平), 대정(大靜: 군으로 승격), 동복(同福), 만경(萬頃), 무안(務安), 무장(茂長), 무주(茂朱: 도호부로 승격), 부안(扶安), 옥과(玉果), 옥구(沃溝), 용담(龍潭), 용안(龍安), 운봉(雲峰), 임실(任實), 임피(臨陂), 장성(長城: 선조 33년에 진원현을 편입하고 도호부로 승격), 장수(長水), 정읍(井邑), 정의(旌義: 군으로 승격), 진안(鎭安), 진원(珍原), 창평(昌平), 태인(泰仁), 함열(咸悅), 함평(咸平), 해남(海南), 화순(和順), 흥덕(興德), 흥양(興陽)

충청도

  • 목(牧)
    • 공주(公州), 청주(淸州), 충주(忠州), 홍주(洪州)
  • 군(郡)
    • 괴산(槐山), 단양(丹陽), 면천(沔川), 서산(瑞山), 서천(舒川), 옥천(沃川), 온양(溫陽), 임천(林川), 천안(天安), 청풍(淸風), 태안(泰安), 한산(韓山)
  • 현(縣)
    • 결성(結城), 남포(藍浦), 당진(唐津), 대흥(大興), 덕산(德山), 목천(木川), 문의(文義), 보령(保寧), 보은(報恩), 부여(扶餘), 비인(庇仁), 석성(石城), 신창(新昌), 아산(牙山), 연기(燕岐), 연산(連山), 연풍(延豊), 영동(永同), 영춘(永春), 예산(禮山), 은진(恩津), 음성(陰城), 이산(伊山), 전의(全義), 정산(定山), 제천(堤川), 직산(稷山), 진잠(鎭岑), 진천(鎭川), 청산(靑山), 청안(淸安), 청양(靑陽), 평택(平澤), 해미(海美), 홍산(鴻山), 황간(黃澗), 회덕(懷德), 회인(懷仁)

평안도

  • 부(府)
    • 의주(義州), 평양(平壤)
  • 대도호부(大都護府)
    • 영변(寧邊)
  • 목(牧)
    • 안주(安州), 정주(定州)
  • 도호부(都護府)
    • 강계(江界), 구성(龜城), 삭주(朔州), 성천(成川), 숙천(肅川), 창성(昌城)
  • 군(郡)
    • 가산(嘉山), 개천(价川), 곽산(郭山), 덕천(德川), 박천(博川), 벽동(碧潼), 상원(祥原), 선천(宣川), 순천(順川), 영원(寧遠), 용천(龍川), 운산(雲山), 위원(渭原), 이산(理山), 자산(慈山), 중화(中和), 철산(鐵山), 희천(熙川)
  • 현(縣)
    • 강동(江東), 강서(江西), 맹산(孟山), 삼등(三登), 삼화(三和), 순안(順安), 양덕(陽德), 영유(永柔), 용강(龍岡), 은산(殷山), 증산(甑山), 태천(泰川), 함종(咸從)

함경도

  • 부(府)
    • 함흥(咸興)
  • 대도호부(大都護府)
    • 영흥(永興)
  • 목(牧)
    • 길주(吉州)
  • 도호부(都護府)
    • 갑산(甲山), 경성(鏡城), 경원(慶源), 덕원(德源), 부령(富寧), 북청(北靑), 안변(安邊), 온성(穩城), 정평(定平), 종성(鐘城), 회령(會寧)
  • 군(郡)
    • 고원(高原), 단천(端川), 문천(文川), 삼수(三水)
  • 현(縣)
    • 명천(明川), 이성(利城), 홍원(洪原)

황해도

  • 목(牧)
    • 해주(海州), 황주(黃州)
  • 도호부(都護府)
    • 서흥(瑞興), 연안(延安), 평산(平山), 풍천(豊川)
  • 군(郡)
    • 곡산(谷山), 배천(白川), 수안(遂安), 신천(信川), 안악(安岳), 재령(載寧)
  • 현(縣)
    • 강령(康翎), 강음(江陰), 문화(文化), 송화(松禾), 신계(新溪)

함께 보기

주석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