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sadal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SouthSudan (토론 | 기여)
67번째 줄: 67번째 줄:


* 다음은 좀 더 복잡한 조합의 예입니다. 첫 번째 문단은 허용됩니다.
* 다음은 좀 더 복잡한 조합의 예입니다. 첫 번째 문단은 허용됩니다.
{{인용문|{{체크표}} 김철수는 홍길동이 다른 저자의 책에서 참고 문헌을 그대로 복사해, 표절을 했다고 주장했다. 홍길동은 새로운 출처를 찾기 위해 다른 사람의 책을 이용하는것은 학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라고 항변했다.}}
{{인용문|{{체크표}} 김철수는 홍길동이 다른 저자의 책에서 참고 문헌을 그대로 복사해, 표절을 했다고 주장했다. 홍길동은 새로운 출처를 찾기 위해 다른 사람의 책을 이용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라고 항변했다.}}
: 하지만 다음 문단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 하지만 다음 문단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인용문|{{가위표}} 만약 홍길동이 원전 출처를 참고하지 않았다면, 이것은 하버드 대학교의 "출처를 적는 법" 안내서에서 추천한 것처럼, 실제로 참고한 참고 문헌만 적도록 한 관례와는 어긋난다. 하버드 대학교의 안내서는 이 규칙을 어기는 것을 "표절"이라고 단정짓지는 않았다. 대신에 원전의 정보, 발상, 단어, 문장 구조 등을 인용 없이 사용하는 것을 표절이라고 정의했다.}}
{{인용문|{{가위표}} 만약 홍길동이 원전 출처를 참고하지 않았다면, 이것은 하버드 대학교의 "출처를 적는 법" 안내서에서 추천한 것처럼, 실제로 참고한 참고 문헌만 적도록 한 관례와는 어긋난다. 하버드 대학교의 안내서는 이 규칙을 어기는 것을 "표절"이라고 단정짓지는 않았다. 대신에 원전의 정보, 발상, 단어, 문장 구조 등을 인용 없이 사용하는 것을 표절이라고 정의했다.}}

2015년 5월 20일 (수) 22:50 판

독자 연구(獨自硏究, Original research)는 위키백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공개 발표되지 않은 사실, 주장, 개념, 진술 또는 이론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공개 발표된 자료에 대한 공개 발표되지 않은 분석이나 공개 발표된 자료를 토대로 이를 확대 재생산한 내용도 포함됩니다. 위키백과의 공동 설립자인 지미 웨일스의 말에 따르면, 이는 "소설을 이야기하는 것이나 역사를 해석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독자 연구를 위한 곳이 아닙니다. 이러한 독자 연구를 피하는 것과 출처를 밝히는 것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당신이 쓴 글이 독자 연구가 아니라는 것을 설명하려면, 문서 내용에 포함된 정보와 직접 관련된 믿을 수 있는 출처를 밝히고, 해당 출처의 내용을 충실히 전달하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독자 연구 금지 (NO original research)는 문서 내용에 대한 세 가지 정책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두 정책은 위키백과:중립적 시각위키백과:확인 가능입니다. 이 정책들은 문서에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와 가치를 결정합니다. 이 세 가지 정책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각각 따로 해석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문서 편집자는 이 세 가지 정책 모두를 확실히 알아두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안 되는 것

이 정책을 만들게 된 원래 동기는 위키백과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론과 생각을 홍보하려는 사람들을 막기 위해서입니다.[1] 독자 연구에는 편집자의 개인 견해, 정치적 의견, 그리고 공개 발표된 자료에 대한 공개 발표되지 않은 분석이나 공개 발표된 자료를 토대로 이를 확대 재생산한 내용이 포함됩니다. 이는 위키미디어를 통해 발표된 사실·의견·해석·정의·주장은 반드시 해당 문서 내용과 관련된 믿을 수 있는 출처를 통해 이미 공개 발표된 것이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다음과 같은 편집은 독자 연구로 여겨집니다.

  • 새로운 문제 해결 방법 또는 이론을 소개
  • 고유한 아이디어를 소개
  • 새로운 용어를 정의
  • 기존 용어를 새롭게 정의하거나, 새로운 의미를 가정하여 부여
  • 믿을 수 있는 출처가 없는 주장을 소개하고, 이를 다른 아이디어·이론·주장·입장을 반박하거나 지지하는 데 사용
  • 믿을 수 있는 사실·아이디어·이론·주장을 편집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분석하거나 종합한 자료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믿을 수 있는 출처를 밝히지 않음
  • 새로운 단어를 소개하거나 사용하고, 이에 대한 믿을 수 있는 출처를 밝히지 않음

자료에 대한 출처

믿을 수 있는 출처

의심받고 있거나 의심받을 만한 문서 내용에는 반드시 믿을 수 있는 출처가 있어야 합니다. 믿을 수 있는 출처가 발견되지 않아서, 글쓴이의 고유한 생각으로 여겨지는 내용은 “독자 연구”로 간주합니다. 당신이 쓴 글이 독자 연구가 아니라는 것을 설명하는 유일한 방법은 당신과 같은 주장 또는 논거를 제시하는 공개 발표된 믿을 수 있는 출처를 밝히는 것뿐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믿을 수 있는 출처는 책, 정기 간행물, 잡지 그리고 주류 신문입니다. 이들은 대학 출판부 또는 잘 알려진 출판사에 의해 발행됩니다. 보통 더 많은 사람이 사실 확인이나 법적 문제 검토, 글의 검증에 관여할수록, 더욱더 믿을 수 있는 출판물이 됩니다. 종이 또는 온라인을 통해 스스로 발표한 자료는 대체로 믿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예외 사항은 위키백과:확인 가능에서 볼 수 있습니다.

1차, 2차, 3차 자료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는 방식의 연구는, 위키백과의 문서 내용에 대한 정책만 지켜진다면 장려할 만한 일입니다. 이는 “자료에 기반을 둔 연구”로서, 백과사전을 쓰는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자료의 의미를 확대하거나 소설처럼 자료를 소재로 창작하지는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자료는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차 자료는 정보와 매우 가까운 기록 또는 사람입니다. 교통사고의 목격자는 1차 자료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문도 1차 자료입니다. 믿을 수 있는 출처를 통해 공개 발표된 1차 자료는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이를 잘못 사용하기도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차 자료에 기반을 둔 문서 내용은 1차 자료를 읽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검증할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경우에도 가능해야 합니다. 1차 자료의 해석에는 2차 자료를 사용합니다. 1차 자료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고학 유물
    • 사진
    • 일기,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감시 비디오 및 필기록, 공청회, 사법재판, 인터뷰 같은 역사적 기록물
    • 조사 결과 또는 설문 결과를 정리한 표
    • 실험실과 현장에서 이루어진 실험 또는 관측 과정에서의 짧은 기록, 수기, 비망록, 주석 등
    • 시, 대본, 영화 각본, 소설, 영화, 비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 같은 예술적 창작 작업물
  • 2차 자료는 1차 자료를 일반화하거나 해석, 분석, 또는 조합한 의견입니다. 교통사고나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문에 대해 해당 사실과 관련이 없는 언론인이 쓴 기사는 2차 자료입니다. 역사가가 로마 제국의 쇠퇴에 대해 해석하거나 역사 속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분석한 것도 2차 자료입니다. 위키백과의 문서에는 믿을 수 있는 출처를 통해 공개 발표된 1차 및 2차 자료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 3차 자료는 2차 자료와 때로는 1차 자료를 요약 정리한 백과사전과 같은 공개 발표물입니다. 위키백과도 3차 자료입니다. (다만, 저명성이나 검증 가능성을 판단할 때는 위키백과를 믿을 수 있는 3차 자료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3차 자료 중에는 더욱 믿을 수 있는 문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나 이와 비슷한 수준의 백과사전에서 전문가가 보증한 문서는 3차 자료가 아닌 믿을 수 있는 2차 자료로 여길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보증이 없는 문서는 덜 믿을 만하지만, 백과사전의 수준이 높다면 사용될 수 있습니다.

1차 자료에 기반으로 문서를 쓸 경우, 기여자는 아래의 두 조건을 지켜야 합니다.

  1. 오직 있는 그대로만 적어야 하며, 그 정확성은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보통의 일반 사람이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1차 자료들을 기여자 자신이 분석, 조합, 해석, 설명, 평가하는 의견을 적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한 의견을 적으시려거든, 신뢰할 수 있는 2,3차 자료에서 그러한 의견을 이미 말하고 있다는 근거와 그 출처를 제시하십시오.

공개 발표된 자료를 근거로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

문서 편집자는 종종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실수를 합니다.

만약 A와 B가 공개 발표된 믿을 수 있는 출처의 자료라면, 이 둘을 조합하여 새로운 결론 C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공개 발표된 자료를 근거로 새로운 결론을 만드는 한 예이며, 이는 독자 연구가 될 것입니다.[2] “A이고 B이니까 C”라는 주장을 쓰려면, 먼저 해당 내용이 믿을 수 있는 출처를 통해 공개 발표되어야 합니다. 즉, 어떠한 해석도 먼저 믿을 수 있는 출처를 통해 공개 발표되어야만 위키백과에 실을 수 있습니다.

  •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내는 예로 다음과 같은 문장을 봅시다.

아니오아니오 유엔의 목적은 국제 평화와 안보의 유지이나, 창설 이후 세계는 160여 회나 전쟁을 겪었다.

문장의 두 부분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가지고 있으나, 인과 관계가 있는 듯한 조합을 통해 유엔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조합된 문장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없다면, 이 문장은 독자 연구입니다. 같은 문장을 가지고도 간단히 정반대의 뜻이 되도록 조합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오아니오 유엔의 목적은 국제 평화와 안보의 유지이며, 창설 이후 세계는 160여 회밖에 전쟁을 겪지 않았다.

  • 다음은 좀 더 복잡한 조합의 예입니다. 첫 번째 문단은 허용됩니다.

예 김철수는 홍길동이 다른 저자의 책에서 참고 문헌을 그대로 복사해, 표절을 했다고 주장했다. 홍길동은 새로운 출처를 찾기 위해 다른 사람의 책을 이용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라고 항변했다.

하지만 다음 문단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니오아니오 만약 홍길동이 원전 출처를 참고하지 않았다면, 이것은 하버드 대학교의 "출처를 적는 법" 안내서에서 추천한 것처럼, 실제로 참고한 참고 문헌만 적도록 한 관례와는 어긋난다. 하버드 대학교의 안내서는 이 규칙을 어기는 것을 "표절"이라고 단정짓지는 않았다. 대신에 원전의 정보, 발상, 단어, 문장 구조 등을 인용 없이 사용하는 것을 표절이라고 정의했다.

두번째 글상자는 김철수가 원문에서 사용한 표절의 정의가 아닌, 작성자가 하버드 대학교 안내서에서 표절의 정의를 가져와서 사용한 것으로, 독자적 조합에 해당합니다. 두번째 글상자와 같이 쓰고 싶으면, 홍길동과 김철수가 모두 하버드 대학교 안내서의 표절 정의를 인용해서 의견을 밝혔다는 것을 확인해줄 출처를 제시해야 합니다.

자신의 연구 성과를 사용하는 것

이 정책은 전문 지식을 가진 편집자가 그들의 지식을 위키백과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믿을 수 있는 출처를 통해 공개 발표되지 않은 개인 지식을 쓰는 것을 금지하는 것입니다. 만약 편집자가 믿을 수 있는 출처를 통해 자신의 연구 성과를 다른 곳에 공개 발표한 적이 있다면, 이를 출처로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삼자의 입장에서 중립적 시각을 지켜 글을 써야 합니다.

직접 만든 그림

그림 대부분은 이 정책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위키백과는 편집자가 직접 찍은 사진이나 직접 그린 그림, 다이어그램 등을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또는 기타 자유 라이선스로 업로드하여, 문서 내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도록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환영할 만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그림은 특정 아이디어나 주장을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공개 발표되지 않은 아이디어나 주장 등을 금지하는 이 정책을 어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러 나라의 저작권법과 자유 백과사전을 만드는 작업이 갖게 되는 제약 때문에,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림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유도 있습니다.

직접 찍은 사진을 허용할 경우의 문제점은 편집자가 사진을 수정하여 실제 사진과 다른 왜곡된 사진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수정된 사진에는 그러한 사항이 명확하게 적혀야 합니다. 독자 연구와 관련하여 만들어진 그림은 자유 라이선스라 하더라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공개 발표되지 않은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수소 원자의 다이어그램 같은 그림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기타 참고사항

  • 몇몇 페이지는 위키백과와 관련된 사항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 위키백과의 경우에는 위키백과의 통계를 위한 페이지위키백과에 대한 학술적 연구 페이지 등이 있습니다. 이 페이지들은 독자 연구를 포함하고 있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위키백과 이외에는 참고할 만한 자료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키백과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사안에 대해서는 이러한 페이지들 또한 독자 연구를 피해야 합니다.
    • 위키백과 자신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는 상황에서 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 규정을 완화한 것입니다. 비슷한 예로, 위키백과:확인 가능 정책은 '수상한 출처'가 그 자신에 대한 이야기의 출처로 쓰일 때는 그런 출처에 기반해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관련 틀

함께 보기

주석

  1. 위키백과의 공동 설립자인 짐보 웨일스는 독자 연구 정책을 만들기 시작하게 된 배경에 대해 다음처럼 말하였다.
    “The phrase ‘original research’ originated primarily as a practical means to deal with physics cranks, of which of course there are a number on the Web. The basic concept is as follows: It can be quite difficult for us to make any valid judgment as to whether a particular thing is true or not. It is not appropriate for us to try to determine whether someone's novel theory of physics is valid; we are not really equipped to do that. But what we can do is check whether or not it actually has been published in reputable journals or by reputable publishers. So it is quite convenient to avoid judging the credibility of things by simply sticking to things that have been judged credible by people much better equipped to decide. The exact same principle will hold true for history.”
    “독자 연구라는 용어는 실제 에 존재하는 괴짜들을 다루는 실질적 수단을 우선으로 고려하면서 생겨났다.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다: 우리가 특정 사안이 사실인지에 대해 정확한 판단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우리가 누군가가 남긴 전혀 새로운 물리학 이론이 근거 있는 것인지를 결정하려고 시도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 우리는 그러한 것들에 준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이 믿을 수 있는 정기 간행물 또는 출판사에 의해 공개 발표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믿을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사람들이 믿을 수 있다고 판단한 자료를 쓰는 것이 직접 믿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보다는 훨씬 편리하다. 이와 동일한 원리를 역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미 웨일스. "Original research", 2004년 12월 3일)
  2. 웨일스는 여러 역사 이론과 역사적 상황을 근거로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에 찬성하지 않고 있다.
    “Some who completely understand why Wikipedia ought not create novel theories of physics by cit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so on and synthesizing them into something new, may fail to see how the same thing applies to history.”
    “위키백과가 왜 여러 실험 결과 등을 근거로 새로운 독창적인 물리학 이론을 만들지 말아야 하는지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이라도 이와 동일한 것이 어떻게 역사에도 적용되는지를 깨닫지 못할 수 있다.” (지미 웨일스. "Original research", 2004년 12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