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전거 정보 틀 추가; 예쁘게 바꿈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불교}}
{{불교}}


'''법현'''(法顯: [[337년|337]]~[[422년|422]])은 [[중국]] [[동진]]의 [[승려]]이다. [[산시 성 (산서성)|산시 성]]에서 출생하여 3[[나이|세]] 때부터 [[사찰|절]]에 들어가 불도를 [[공부]]하였다. 당시의 중국에는 [[불교]] 문헌이 별로 없었으므로 [[399년]]에 [[서역]]을 통하여 [[인도]]로 건너가 [[범어]]를 배우고, 그곳에서 불전과 불적을 살펴본 뒤 불교 [[책|서적]]을 구하여 [[413년]]에 귀국하였다. 《[[대반니원경]]》 등 많은 불교 서적을 [[번역]]하였다.
'''법현'''(法顯: 함강 3년([[337년|337]])~영초 3년([[422년|422]]))은 [[중국]] [[동진]]의 [[승려]]이다. 속성(俗姓)은 공(龔), 평남군(平陽郡) 무양현(武陽縣, 지금의 [[산시 성 (산서성)|산시 성]]) 사람이다.

== 생애 ==
3[[나이|세]] 때부터 [[사찰|절]]에 들어가 불도를 [[공부]]하였고, 20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당시 사람들은 「뜻과 행동이 명민하고 의궤는 엄숙하였다」(志行明敏、儀軌整粛)고 사람됨을 평하고 있다.

당시의 중국에는 [[불교]] 문헌이 한역된 것이 별로 없었으므로 경률에도 착오나 누락이 많았다. 법현은 융안(隆安) 3년([[399년]])에 혜경(慧景), 혜응(慧応), 혜외(慧嵬), 도정(道整) 등의 승려와 함께 장안(長安)을 출발해 [[서역]]으로 떠났다. 도중에 부탄 왕국을 거쳐 6년만에 중[[인도]](중천축)에 닿았고, [[범어]]를 배우고, 그곳에서 왕사성(王舎城) 등의 불전과 불적을 살펴본 뒤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잡아비담심론(雑阿毘曇心論), [[스리랑카]]를 돌며 오분률(五分律), 장아함경(長阿含経) 등의 불교 [[책|서적]]을 구하고 의희(義熙) 9년([[413년]])에 남해 항로를 따라 청주(지금의 산둥 성)으로 귀국하였다. 귀국한 것은 법현 한 사람뿐이었다고 한다.

법현이 기록한 여행기는 《불국기》(佛國記)라는 제목으로, 당시 중앙아시아와 인도에 관한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돈황]](敦煌)에서 흐르는 모래를 건너던 때의 모습에 대해 「사하(沙河)에는 악령(悪霊)과 뜨거운 바람이 많이 있어서 모두 죽고 단 한 명도 그 목숨을 보전하지 못했다. 하늘에는 새도 날지 않고 땅에는 뛰는 짐승도 없다. 멀리 보아도 눈 닿는 데 없고 갈 곳도 알지 못한다. 다만 죽은 자의 해골이 이정표가 될 뿐이다.」라고 적었다.

귀국한 뒤 법현은 건강(建康)에서 불타발타라(仏陀跋陀羅)를 만나 그가 가져온 《대반열반경》(大般涅槃経), 《[[대반니원경]]》 등 많은 불교 서적을 [[번역]]하고, 열반종(涅槃宗) 성립의 기초를 닦았다.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40권을 번역하였다. 법현은 형주(荊州)의 신사(辛寺)에서 죽었다. 향년 86세. 입적한 뒤, 《오분율》(五分律)도 불태습(仏駄什)이 번역하였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15년 4월 11일 (토) 16:53 판

법현(法顯: 함강 3년(337)~영초 3년(422))은 중국 동진승려이다. 속성(俗姓)은 공(龔), 평남군(平陽郡) 무양현(武陽縣, 지금의 산시 성) 사람이다.

생애

3 때부터 에 들어가 불도를 공부하였고, 20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당시 사람들은 「뜻과 행동이 명민하고 의궤는 엄숙하였다」(志行明敏、儀軌整粛)고 사람됨을 평하고 있다.

당시의 중국에는 불교 문헌이 한역된 것이 별로 없었으므로 경률에도 착오나 누락이 많았다. 법현은 융안(隆安) 3년(399년)에 혜경(慧景), 혜응(慧応), 혜외(慧嵬), 도정(道整) 등의 승려와 함께 장안(長安)을 출발해 서역으로 떠났다. 도중에 부탄 왕국을 거쳐 6년만에 중인도(중천축)에 닿았고, 범어를 배우고, 그곳에서 왕사성(王舎城) 등의 불전과 불적을 살펴본 뒤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잡아비담심론(雑阿毘曇心論), 스리랑카를 돌며 오분률(五分律), 장아함경(長阿含経) 등의 불교 서적을 구하고 의희(義熙) 9년(413년)에 남해 항로를 따라 청주(지금의 산둥 성)으로 귀국하였다. 귀국한 것은 법현 한 사람뿐이었다고 한다.

법현이 기록한 여행기는 《불국기》(佛國記)라는 제목으로, 당시 중앙아시아와 인도에 관한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돈황(敦煌)에서 흐르는 모래를 건너던 때의 모습에 대해 「사하(沙河)에는 악령(悪霊)과 뜨거운 바람이 많이 있어서 모두 죽고 단 한 명도 그 목숨을 보전하지 못했다. 하늘에는 새도 날지 않고 땅에는 뛰는 짐승도 없다. 멀리 보아도 눈 닿는 데 없고 갈 곳도 알지 못한다. 다만 죽은 자의 해골이 이정표가 될 뿐이다.」라고 적었다.

귀국한 뒤 법현은 건강(建康)에서 불타발타라(仏陀跋陀羅)를 만나 그가 가져온 《대반열반경》(大般涅槃経), 《대반니원경》 등 많은 불교 서적을 번역하고, 열반종(涅槃宗) 성립의 기초를 닦았다.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40권을 번역하였다. 법현은 형주(荊州)의 신사(辛寺)에서 죽었다. 향년 86세. 입적한 뒤, 《오분율》(五分律)도 불태습(仏駄什)이 번역하였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