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곱: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22번째 줄:


컵곱은 [[함자 (수학)|함자]]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연속 함수]] <math>f\colon X\to Y</math>에 대하여, 코호몰로지의 [[당김]]
컵곱은 [[함자 (수학)|함자]]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연속 함수]] <math>f\colon X\to Y</math>에 대하여, 코호몰로지의 [[당김]]
:<math>f^*\colon H^*(Y)\to H^*(X)</math>
:<math>f^*\colon H^\bullet(Y)\to H^\bullet(X)</math>
을 정의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임의의 <math>\alpha,\beta\in H^\bullet(Y)</math>에 대하여,
을 정의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임의의 <math>\alpha,\beta\in H^\bullet(Y)</math>에 대하여,
:<math>f^*(\alpha \smile \beta) =f^*(\alpha) \smile f^*(\beta),</math>
:<math>f^*(\alpha \smile \beta) =f^*(\alpha) \smile f^*(\beta),</math>

2015년 2월 7일 (토) 09:41 판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컵곱(영어: cup product)은 두 코호몰로지류를 더 큰 코호몰로지류로 이어붙이는 연산이다. 이에 따라, 코호몰로지호몰로지와 달리 등급환을 이룬다.

정의

쌍대사슬의 컵곱

위상 공간 가환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특이 쌍대사슬의 컵곱은 다음과 같은 -선형 변환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임의의 차 특이 쌍대사슬 차 특이 쌍대사슬 차 특이 사슬 에 대하여,

여기서 는 꼭짓점이 에 있는 -단체 안의 S에 의한 단체 다양화 호몰로지 매장이다. 여기서 각각 는 σ의 p번째 앞면이고, 는 σ의 q번째 뒷면이다.

코호몰로지류의 컵곱

쌍대사슬의 컵곱은 다음과 같이 쌍대경계 와 호환된다.

따라서, 쌍대사슬의 컵곱은 코호몰로지류 위에도 정의된다. 이에 따라, 코호몰로지류의 컵곱

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곱으로 삼으면, 코호몰로지 군 등급환을 이룬다.

성질

코호몰로지류의 컵곱은 다음과 같은 등급 교환환 법칙을 따른다.

컵곱은 함자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연속 함수 에 대하여, 코호몰로지의 당김

을 정의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즉, 등급환준동형사상을 이룬다.

역사

컵곱은 1935년~1938년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 · 에두아르트 체흐 · 해슬러 휘트니의 논문에서 처음 쓰였으며, 이후 1944년 사무엘 에일렌베르크가 일반화시켜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참고 문헌

바깥 고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