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곱: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cocycle = 쌍대순환 ([http://www.kms.or.kr/mathdict/list.html?key=ename&keyword=cocycle 대한수학회 용어집])
1번째 줄: 1번째 줄:
[[수학]], 특히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컵곱'''(cup product)은 인접한 두 [[쌍대륜체]] ''p'' ''q'' ''p'' + ''q'' 쌍대륜 다양체로 바꾸는 방법이다. 이는 단계화된 환 안의 코호몰로지 공간 ''X''를 [[코호몰로지 환]]이라고 하는 ''H''<sup>∗</sup>(''X'')로 바꾸는, 코호몰로지에서 연관된(또한 분배된) 단계화된 가환성 곱 연산이라고 할 수 있다. 컵곱은 1935년~1938년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 [[에두아르트 체흐]], [[해슬러 휘트니]]의 논문에서 처음 쓰였으며, 이후 1944년 [[사무엘 에일렌베르크]]이 일반화시켜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수학]], 특히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컵곱'''(cup product)은 차수가 ''p'' ''q''인 [[쌍대사슬]]을 차수가 ''p'' + ''q'' 쌍대사슬로 이어붙이는 방법이다. 이는 [[등급환]] 안의 코호몰로지 공간 ''X''를 [[코호몰로지 환]]이라고 하는 ''H''<sup>∗</sup>(''X'')로 바꾸는, 코호몰로지에서 연관된(또한 분배된) 등급 가환 곱 연산이라고 할 수 있다. 컵곱은 1935년~1938년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 [[에두아르트 체흐]], [[해슬러 휘트니]]의 논문에서 처음 쓰였으며, 이후 1944년 [[사무엘 에일렌베르크]]이 일반화시켜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 정의 ==
== 정의 ==
[[특이 코호몰로지]]에서, 컵곱은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X''의 [[단계환|단계환적]] [[코호몰로지 환]] ''H''<sup>∗</sup>(''X'') 곱을 만들어주는 연산이다.
[[특이 코호몰로지]]에서, 컵곱은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X''의 [[단계환|단계환적]] [[코호몰로지 환]] ''H''<sup>∗</sup>(''X'') 곱을 만들어주는 연산이다.


[[코호몰로지|코체인]]에서 곱 연산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만약 ''c''<sup>''p''</sup>이 ''p''-코체인이고
[[코호몰로지|쌍대사슬]]에서 곱 연산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만약 ''c''<sup>''p''</sup>이 ''p''-코체인이고
''d''<sup>''q''</sup>이 ''q''-코체인이라면,
''d''<sup>''q''</sup>이 ''q''-쌍대사슬이라면,
:<math>(c^p \smile d^q)(\sigma) = c^p(\sigma \circ \iota_{0,1, ... p}) \cdot d^q(\sigma \circ \iota_{p, p+1 ,..., p + q})</math>
:<math>(c^p \smile d^q)(\sigma) = c^p(\sigma \circ \iota_{0,1, ... p}) \cdot d^q(\sigma \circ \iota_{p, p+1 ,..., p + q})</math>
여기서 σ 는 [[특이 호몰로지|특이]] (''p'' + ''q'') -[[단체 (수학)|단체]]이고 <math>\iota_S , S \subset \{0,1,...,p+q \} </math> 는 정점이 <math>\{0,...,p+q \}</math>에 있는 <math>(p+q)</math>-단체 안의 S에 의한 단체 다양화 호몰로지 [[매장 (수학)|매장]]이다.
여기서 σ 는 [[특이 호몰로지|특이]] (''p'' + ''q'') -[[단체 (수학)|단체]]이고 <math>\iota_S , S \subset \{0,1,...,p+q \} </math> 는 정점이 <math>\{0,...,p+q \}</math>에 있는 <math>(p+q)</math>-단체 안의 S에 의한 단체 다양화 호몰로지 [[매장 (수학)|매장]]이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약식으로, 각각 <math> \sigma \circ \iota_{0,1, ..., p}</math>는 σ의 ''p''번째 '''앞면'''이고, <math>\sigma \circ \iota_{p, p+1, ..., p + q}</math>는 σ의 ''q''번째 '''뒷면'''이다.
약식으로, 각각 <math> \sigma \circ \iota_{0,1, ..., p}</math>는 σ의 ''p''번째 '''앞면'''이고, <math>\sigma \circ \iota_{p, p+1, ..., p + q}</math>는 σ의 ''q''번째 '''뒷면'''이다.


쌍대륜체 c<sup>''p''</sup>와 d<sup>''q''</sup>의 컵곱의 [[사슬 복합체]]는
쌍대사슬 c<sup>''p''</sup>와 d<sup>''q''</sup>의 컵곱의 [[사슬 복합체]]는
:<math>\delta(c^p \smile d^q) = \delta{c^p} \smile d^q + (-1)^p(c^p \smile \delta{d^q}).</math>
:<math>\delta(c^p \smile d^q) = \delta{c^p} \smile d^q + (-1)^p(c^p \smile \delta{d^q}).</math>
로 주어진다.
로 주어진다.


쌍대륜체의 컵곱은 다시 쌍대륜체가 되며, 쌍대륜체 사슬 복합체의 컵곱은 다시 사슬 복합체가 된다. 컵곱 연산은 다음과 같은 코호몰로지 선형 연산을 유도할 수 있다.
쌍대사슬의 컵곱은 다시 쌍대사슬이 되며, 쌍대사슬의 [[사슬 복합체]]의 컵곱은 다시 [[사슬 복합체]]가 된다. 컵곱 연산은 다음과 같은 코호몰로지 선형 연산을 유도할 수 있다.
: <math> H^p(X) \times H^q(X) \to H^{p+q}(X). </math>
: <math> H^p(X) \times H^q(X) \to H^{p+q}(X). </math>



2015년 2월 3일 (화) 11:05 판

수학, 특히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컵곱(cup product)은 차수가 pq쌍대사슬을 차수가 p + q인 쌍대사슬로 이어붙이는 방법이다. 이는 등급환 안의 코호몰로지 공간 X코호몰로지 환이라고 하는 H(X)로 바꾸는, 코호몰로지에서 연관된(또한 분배된) 등급 가환 곱 연산이라고 할 수 있다. 컵곱은 1935년~1938년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 에두아르트 체흐, 해슬러 휘트니의 논문에서 처음 쓰였으며, 이후 1944년 사무엘 에일렌베르크이 일반화시켜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정의

특이 코호몰로지에서, 컵곱은 위상 공간 X단계환적 코호몰로지 환 H(X) 곱을 만들어주는 연산이다.

쌍대사슬에서 곱 연산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만약 cpp-코체인이고 dqq-쌍대사슬이라면,

여기서 σ 는 특이 (p + q) -단체이고 는 정점이 에 있는 -단체 안의 S에 의한 단체 다양화 호몰로지 매장이다.

약식으로, 각각 는 σ의 p번째 앞면이고, 는 σ의 q번째 뒷면이다.

쌍대사슬 cp와 dq의 컵곱의 사슬 복합체

로 주어진다.

두 쌍대사슬의 컵곱은 다시 쌍대사슬이 되며, 쌍대사슬의 사슬 복합체의 컵곱은 다시 사슬 복합체가 된다. 컵곱 연산은 다음과 같은 코호몰로지 선형 연산을 유도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