쾨니그의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어떤 그래프 <math>\Gamma</math>의 '''꼭지점 덮개''' <math>C\subset V(\Gamma)</math>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집합이다.
어떤 그래프 <math>\Gamma</math>의 '''꼭지점 덮개''' <math>C\subset V(\Gamma)</math>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집합이다.
* 모든 변 <math>e\in E(\Gamma)</math>에 대하여, <math>e</math>와 접하는 <math>c\in C</math>가 존재한다.
* 모든 변 <math>e\in E(\Gamma)</math>에 대하여, <math>e</math>와 접하는 <math>c\in C</math>가 존재한다.
<math>\Gamma</math>의 꼭지점 덮개들의 집합은 포함 관계에 따라서 [[부분 순서 집합]]을 이루며, '''최소 꼭지점 덮개'''는 부분 순서에 대한 최소 꼭지점 덮개'''이다.
'''최소 꼭지점 덮개'''는 크기가 최소인 꼭지점 덮개이다.


'''쾨니그의 정리'''에 따르면, [[이분 그래프]] <math>\Gamma</math>의 최대 매칭 <math>M\subset E(\Gamma)</math> 및 최소 꼭지점 덮개 <math>C\subset V(\Gamma)</math>에 대하여,
'''쾨니그의 정리'''에 따르면, [[이분 그래프]] <math>\Gamma</math>의 최대 매칭 <math>M\subset E(\Gamma)</math> 및 최소 꼭지점 덮개 <math>C\subset V(\Gamma)</math>에 대하여,

2014년 12월 2일 (화) 09:11 판

그래프 이론조합론에서, 쾨니그의 정리(Kőnig의定理, 영어: Kőnig’s theorem)는 이분 그래프에 대한 최소 꼭지점 덮개 문제와 최대 매칭 문제가 서로 동치라는 정리다.

정의

최대 매칭의 변(청색) 수는 최소 꼭지점 덮개의 꼭지점(적색) 수와 같다.

어떤 그래프 꼭지점 덮개 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집합이다.

  • 모든 변 에 대하여, 와 접하는 가 존재한다.

최소 꼭지점 덮개는 크기가 최소인 꼭지점 덮개이다.

쾨니그의 정리에 따르면, 이분 그래프 의 최대 매칭 및 최소 꼭지점 덮개 에 대하여,

이다.

홀 결혼 정리

조합적 집합론에서는 쾨니그의 정리를 일반화하는 홀 결혼 정리(영어: Hall’s theorem)가 존재한다. 쾨니그의 정리와 홀의 정리는 서로 동치이며, 이들은 딜워스의 정리와도 동치이다.

집합족 의 모든 원소가 유한집합이라고 하자. 홀 결혼 정리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289

  • (결혼 조건 영어: marriage condition) 모든 에 대하여,
  • (횡단의 존재)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가 존재한다. 이러한 순서쌍을 횡단(橫斷, 영어: transversal) 또는 변별 대표원계(辨別代表元系, 영어: system of distinct representatives)라고 한다.
    • 집합이다.
    • 전단사 함수이다.
    • 모든 에 대하여 이다.

횡단의 존재가 결혼 조건을 함의한다는 것은 자명하므로, 홀 결혼 정리에서 실제로 증명할 것은 결혼 조건이 횡단의 존재를 함의한다는 것이다.

"결혼 조건"의 어원은 다음과 같다. 명의 미혼 이성애자 남성과 명의 미혼 이성애자 여성이 있다고 하자. 이들이 배우자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요구한다고 하자.

  • 각 남성은 임의의 여성과 결혼할 수 있다.
  • 각 여성 은 어떤 남성의 집합 의 원소만을 결혼하고자 한다.

복혼 없이, 모든 사람들이 결혼할 는수 있는 방법은 의 횡단을 정의한다. 이 경우, 홀 결혼 정리는 모든 사람들이 결혼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필요충분조건을 제공한다.[1]:289

역사

헝가리의 수학자 쾨니그 데네시(헝가리어: Kőnig Dénes)가 1931년에 증명하였다.[2][1]:289 영국필립 홀(영어: Philip Hall)이 쾨니그의 정리와 동치인 홀 결혼 정리를 1935년에 증명하였다.[3]

참고 문헌

  1. 윤영진 (2007). 《새로운 조합수학》. 교우사. ISBN 978-89-8172-379-8. 
  2. Kőnig Dénes (1931). “Gráfok és mátrixok”. 《Matematikai és Fizikai Lapok》 38: 116–119. Zbl 0003.32803. 
  3. Hall, Philip (1935). “On representatives of subsets”. 《Journal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10 (1): 26–30. doi:10.1112/jlms/s1-10.37.26. JFM 61.0067.01. Zbl 0010.34503.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