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관중: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3-07-23}}
{{출처 필요|날짜=2013-07-23}}
'''나관중'''(羅貫中, [[1330년]]? ~ [[1400년]])은 《[[삼국지 연의]]》를 집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 [[원나라|원]]말 [[명나라|명]]초의 인물로, '''관중'''(貫中)은 자(字)이며 이름은 ''''''(本)이다.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 [[산서성]] 에서 태어났다.
'''나관중'''(羅貫中, [[1330년]]? ~ [[1400년]])은 《[[삼국지 연의]]》를 집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 [[원나라|원]]말 [[명나라|명]]초의 인물로, '''관중'''(貫中)은 자(字)이며 이름은 '''나본'''(本)이다.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 [[산서성]] 에서 태어났다.


명나라가 건국되자 친구이자 먼 친척인 [[주서]]<ref>둘다 [[주유]]의 후손인데 주서는 직계, 나관중은 방계에 해당된다.</ref>와 같이 과거를 응시했는데 주서는 장원 급제 했지만 나관중은 탈락했다. 이에 나관중이 여러번 과거에 응시를 했으나 끝내 함격하지 못하고 결국 부친을 따라 산서성에서 소금장사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유야무야하고 나관중은 찻집에 드나들며 허송세월을 보냈다. 찻집에서는 삼국희곡(三國喜曲)을 즐겨 들으며 이 내용을 외워서 집필한 것이 삼국지 연의이다.
명나라가 건국되자 친구이자 먼 친척인 [[주서]]<ref>둘다 [[주유]]의 후손인데 주서는 직계, 나관중은 방계에 해당된다.</ref>와 같이 과거를 응시했는데 주서는 장원 급제 했지만 나관중은 탈락했다. 이에 나관중이 여러번 과거에 응시를 했으나 끝내 함격하지 못하고 결국 부친을 따라 산서성에서 소금장사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유야무야하고 나관중은 찻집에 드나들며 허송세월을 보냈다. 찻집에서는 삼국희곡(三國喜曲)을 즐겨 들으며 이 내용을 외워서 집필한 것이 삼국지 연의이다.

2014년 11월 9일 (일) 22:48 판

나관중(羅貫中, 1330년? ~ 1400년)은 《삼국지 연의》를 집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 초의 인물로, 관중(貫中)은 자(字)이며 이름은 나본(羅本)이다.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 산서성 에서 태어났다.

명나라가 건국되자 친구이자 먼 친척인 주서[1]와 같이 과거를 응시했는데 주서는 장원 급제 했지만 나관중은 탈락했다. 이에 나관중이 여러번 과거에 응시를 했으나 끝내 함격하지 못하고 결국 부친을 따라 산서성에서 소금장사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유야무야하고 나관중은 찻집에 드나들며 허송세월을 보냈다. 찻집에서는 삼국희곡(三國喜曲)을 즐겨 들으며 이 내용을 외워서 집필한 것이 삼국지 연의이다.

이전까지 민간의 구전으로 전하던 삼국시대의 이야기를 《삼국지통속연의》란 으로 정리했다고 한다. 또한 《수호전》의 편저에도 관여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나관중 개인의 삶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으나, 원나라 말기의 혼란기의 반란군 지도자 장사성 아래에 있었던 것으로 전해 내려오며, 《삼국지 연의》의 적벽대전의 묘사는 주원장과 진우량의 전투를 바탕으로 했다고 한다.

이 밖에 <수당지전> <잔당 오대지 연의> <송 태조 용호 풍운회> <평요전> 등의 희곡과 통속 소설이 전한다.

주석

  1. 둘다 주유의 후손인데 주서는 직계, 나관중은 방계에 해당된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