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숙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경운(景雲) 2년 ~ [[762년]]: 상원(上元) 3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다. 본명은 이여(李與)였으나, [[738년]]에 황태자로 책봉된 후 이형으로 개명하였다. 한편, 고려의 사서를 바탕으로 기록한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등에는 그를 [[고려 태조|태조 왕건]]의 고조부로 기록하고 있으나, 고려 말의 학자 [[이제현]](李齊賢)은 《[[왕대종족기]]》를 저술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부정하였다.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경운(景雲) 2년 ~ [[762년]]: 상원(上元) 3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9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다. 본명은 이여(李與)였으나, [[738년]]에 황태자로 책봉된 후 이형으로 개명하였다. 한편, 고려의 사서를 바탕으로 기록한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등에는 그를 [[고려 태조|태조 왕건]]의 고조부로 기록하고 있으나, 고려 말의 학자 [[이제현]](李齊賢)은 《[[왕대종족기]]》를 저술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부정하였다.
== 생애 ==
== 생애 ==
[[756년]] 6월, 안·사의 난으로 부황 이융기가 [[양귀비 (당나라)|양귀비]](楊貴妃) 등과 함께 도피하자, 부황을 호송하였다. 이때 [[양귀비 (당나라)|양귀비]]가 부황의 명령으로 죽자 호송한 조정 대신과 관중의 부로들은 이융기에게 당장 분조를 조직하라 주청을 올렸고, 이융기는 태자에게 분조를 명해 자신은 서촉의 성도로 들어갔다. 태자는 영무로 가는 길에 7월 금군의 추대로 황제에 올랐고, 이 소식이 촉의 현종에게 전해지자 마침내 이융기는 태자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으로 물려앉았다.
[[756년]] 6월, 안·사의 난으로 부황 이융기가 [[양귀비 (당나라)|양귀비]](楊貴妃) 등과 함께 도피하자, 부황을 호송하였다. 이때 [[양귀비 (당나라)|양귀비]]가 부황의 명령으로 죽자 호송한 조정 대신과 관중의 부로들은 이융기에게 당장 분조를 조직하라 주청을 올렸고, 이융기는 태자에게 분조를 명해 자신은 서촉의 성도로 들어갔다. 태자는 영무로 가는 길에 7월 금군의 추대로 황제에 올랐고, 이 소식이 촉의 현종에게 전해지자 마침내 이융기는 태자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으로 물려앉았다.

2014년 11월 8일 (토) 12:40 판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경운(景雲) 2년 ~ 762년: 상원(上元) 3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9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다. 본명은 이여(李與)였으나, 738년에 황태자로 책봉된 후 이형으로 개명하였다. 한편, 고려의 사서를 바탕으로 기록한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등에는 그를 태조 왕건의 고조부로 기록하고 있으나, 고려 말의 학자 이제현(李齊賢)은 《왕대종족기》를 저술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부정하였다.

생애

756년 6월, 안·사의 난으로 부황 이융기가 양귀비(楊貴妃) 등과 함께 도피하자, 부황을 호송하였다. 이때 양귀비가 부황의 명령으로 죽자 호송한 조정 대신과 관중의 부로들은 이융기에게 당장 분조를 조직하라 주청을 올렸고, 이융기는 태자에게 분조를 명해 자신은 서촉의 성도로 들어갔다. 태자는 영무로 가는 길에 7월 금군의 추대로 황제에 올랐고, 이 소식이 촉의 현종에게 전해지자 마침내 이융기는 태자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으로 물려앉았다.

이형은 황제로 즉위하자 연호를 천보에서 지덕(至德)으로 바꿨다. 이형은 장군 곽자의이광필에게 반란군 토벌 명령을 내렸다. 757년 정월에 안록산(安祿山)이 결국 자신의 아들 안경서에게 살해당하자 자연스레 반란군의 힘은 약해졌고, 그 해 9월에 곽자의와 함께 수도 장안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12월에는 태상황제 이융기 역시 돌아왔다.

머지않아, 안·사의 난은 진압되었으나, 나라는 엉망이 되어 있었다. 이형은 당을 부흥시키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였으나, 이미 당나라는 쇠퇴하기 시작하고 있었다.

762년 5월 3일, 아버지인 태상황제 이융기가 사망하였고, 얼마 안되어 이형 역시 병이 들고 말았다. 이 때, 황후 장씨가 태자 이예를 끌어내고 그 자리에 자신의 소생인 월왕 이계를 올리려 하였다(5월 16일). 그러나 환관 이보국이 이를 알아차리고, 황후 장씨를 시해하였다. 그러나 이형은 병이 심하여 그런 일을 돌볼 겨를이 없었다. 결국 762년 5월 18일, 이형은 황궁에서 5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숙종 문명무덕대성대선효황제(肅宗 文明武德大聖大宣孝皇帝)이다. 능호는 건릉(建陵)이다.

가족관계

황후와 후궁

자녀

아들들

  1. 광평왕 이숙 <廣平王 李俶> (개명) -> 황태자 이예 (당 대종) <皇太子 李豫>
  2. 건녕왕 이담 <建寧王 李倓> <이보국의 모함으로 762년 사망>
  3. 월왕 이계 <越王 李係> <장황후와 함께 유폐, 사망>
  4. 제왕 이염 <齊王 李倓>
  5. 위왕 이필 <衛王 李佖>
  6. 경왕 이정 <涇王 李侹>
  7. 운왕 이영 <鄆王 李榮>
  8. 양왕 이광 <襄王 李僙>
  9. 기왕 이수 <杞王 李倕>
  10. 소왕 이시 <召王 李偲>
  11. 흥왕 이소 <興王 李佋>
  12. 정왕 이동 <定王 李侗>
  13. 송왕 이희 <宋王 李僖>
  14. 의조 작제건

연호

  1. 지덕(至德) 756년 ~ 758년
  2. 건원(乾元) 758년 ~ 760년
  3. 상원(上元) 760년 ~ 762년


전임
아버지 당 현종 이융기
제7대 중국 당나라 황제
756년 - 762년
후임
장남 당 대종 이예
전임
아버지 당 현종 이융기
중국 황제
756년 - 762년
후임
장남 당 대종 이예